· ◎ 논문
· 김태수, 「기록관리의 전문교육과정 및 전문인력제도」, 한국기록관리학회 『기록관리학회지』제2권 제1호, 2002. 3, pp. 7-40.
· 지수걸, 「기록연구직렬 제도화를 위한 현실적 조치」, 한국기록학회, 『기록학연구』제7호, 2003. 4, pp. 165-178.
· 김익한, 「전문요원제도와 기록관리교육의 질적 제고」, 한국기록학회, 『기록학연구』제7호, 2003. 4, pp. 129-148.
· 김태수, 「기록관리 전문요원의 자격구분」, 한국기록관리협회, 기록관리보존, 『기록관리 보존과 관리』제7호, 2002. pp. 117-122.
· 김희정, 「국외 기록관리 전문직 유형 및 역할 분석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 『한국기록관리학회지』, 제7권, 제1호, 2007, 6, pp. 129-143.
· 김정하, 「기록관리전문가의 양성교육에 관한 사례연구-이탈리아의 기록관리학전통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한국기록관리학회, 한국기록관리학회지 『기록관리학회지』제1권 제1호, 2001. 3, pp. 201-230.
· 최정태, 윤송원, 「기록관리학의 정립과 기록전문가 양성교육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학회, 한국기록관리학회지, 『기록관리학회지』, 제1권 제1호, 2001. 3, pp. 95-130.
· 송기호, 「유럽의 기록관리제도 및 체계에 관한연구 -영국, 프랑스, 독일을 중심으로-」, 한국기록관리학회, 한국기록관리학회지, 『기록관리학회지』, 제4권 제1호, 2004. 6, pp. 117-147.
· 김기석, 「아키비스트의 양성 어떻게 할 것인가?」, 한국기록학회, 『기록학연구』, 제1호, 2000. 4, pp. 77-106.
· 정연경, 「기록학 대학원 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비교 연구 -한국과 북미를 중심으로-」, 한국문헌정보학회,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37권 제1호, 2003. 3, pp. 81-100.
· 김영애, 「독일의 아키비스트 양성제도 - 마르부르크 기록학교를 중심으로-」, 한국기록학회, 『기록학연구』, 제2호, 2000. 10, pp. 195-230.
· 서혜란, 옥원호「기록연구사의 근무실태 및 제도운영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기록학회, 『한국기록학회지』, 제8권 제1호, 2008. 6, pp. 235-255.
· ◎ 기타 자료
· 행정자치부, 공공기관의 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 1999.
· 행정자치부,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일부개정 2008.2.29 법률 제8852호)
· 행정자치부,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일부개정 2008.5.21 대통령령 제20789호)
· 행정자치부,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전부개정 2007.4.5 행정자치부령 제380호)
· 연구직 및 지도직공무원의 임용 등에 관한 규정 ((타)일부개정 2008.6.27 대통령령 제20888호)
· 국가기록원, 「국가기록관리혁신 로드맵」, 2005.
· 국가기록원, 「기록관리 전문인력의 체계적 양성 및 교육방안」, 2006.
· ◎ 참고사이트
· 한국외대 정보기록관리학과 홈페이지(http://archivist.cafe24.com/)
· 충남대학교 대학원 기록관리학과 홈페이지(http://www.archives.or.kr/)
· 원광대학교 홈페이지(http://www.wonkwang.ac.kr/)
· 부산대학교 대학원 홈페이지(http://www.pusan.ac.kr/KOR_PNU/03_college/s3_02.asp)
·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http://www.archives.ac.kr/)
· 이화여대 정책과학대학원(http://home.ewha.ac.kr/~gspsewha/)
· 한국기록관리학교육원(http://www.archivist.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