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고려고분의 종류

고려시대 고분의 분포와 입지를 간단히 살펴보며 고려시대 묘제를 구조에 따라 분류해보겠다. 또한 고고학적 자료의 검토를 통해 고려시대 계층별 묘제의 양상을 석곽분, 방형분, 벽화고분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더 나아가 고려고분의 계통을 도출해 보고자 한다.
48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08.12.22 최종저작일 2008.12
48P 미리보기
고려고분의 종류
  • 미리보기

    소개

    고려시대 고분의 분포와 입지를 간단히 살펴보며 고려시대 묘제를 구조에 따라 분류해보겠다. 또한 고고학적 자료의 검토를 통해 고려시대 계층별 묘제의 양상을 석곽분, 방형분, 벽화고분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더 나아가 고려고분의 계통을 도출해 보고자 한다.

    목차

    Ⅰ. 머리말
    Ⅱ. 분포와 입지
    Ⅲ. 고려고분의 묘제와 유적의 분포
    1. 각 묘제간 특징
    (1) 석실묘
    (2) 석곽묘
    (3) 석관묘
    (4) 토광묘
    2. 유적의 분포
    (1) 벽화고분
    (2) 방형분
    (3) 석곽묘
    (4) 석관묘
    (5) 토광묘
    Ⅳ. 고려고분의 계통
    Ⅴ. 맺음말
    【 참고 문헌 】
    【 참고 사진 】

    본문내용

    고분은 과거 인간의 사후에 대한 관념이 물질자료로 표출된 것으로, 과거 사회와 문화를 복원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사후에 대한 관념은 당시 사회구조를 반영하기 때문에 현재의 우리가 과거 사회를 이해하기 위해 고분을 이용 하고 있다.
    그런 의미에서 고려시대는 한국사 시대구분에서 중세로 규정될 만큼 이전사회와 비교해 사회구조의 제 측면에서 활발한 변화가 일어났던 시기로서 사회구조를 반영하는 고분에서도 이러한 변화가 나타난다.
    이렇듯 고려시대 역사연구 및 생활상 복원에 활용될 수 있는 고려고분은 조성형태상 대체로 석실분. 석곽분. 토광묘 등으로 분류되며, 피장자의 계층에 따라 각기 다른 묘제가 채택되었다고 알려져 있다. 즉 왕족(왕릉)을 비롯한 상층계급은 판석으로 만든 석실분, 중류층은 할석으로 만든 석실분, 일반 서민과 하층계급은 토광묘와 소형석곽묘를 사용하였다고 보고 있다.
    이와 같이 고려시대가 묘제의 흐름에서 중요한 시기이지만, 연구 성과는 통일신라 이전시기에 비해 현격하게 부족한 설정이다. 이는 고려시대가 본격적인 역사시대로서 고고학 연구자들의 관심에서 벗어나 있었고 한 시대의 고분을 연구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지배층의 무덤이 대부분 개성지역에 밀집되어 있어 자료를 직접 접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다행히 1990년대 후반 이후 국토개발지역에 대한 전면 발굴기법이 도입되면서 경북 상주 청리유적과 충북 청주 용암동 유적 등과 같이 대량의 고려기 이후의 고분이 발견되고 있다.
    이에 본 글에서는 이와 같은 인식을 기초로 고려시대 고분의 분포와 입지를 간단히 살펴보며 고려시대 묘제를 구조에 따라 분류해보겠다. 또한 고고학적 자료의 검토를 통해 고려시대 계층별 묘제의 양상을 석곽분, 방형분, 벽화고분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더 나아가 고려고분의 계통을 도출해 보고자 한다.

    Ⅱ. 분포와 묘지
    고려 고분은 도읍이 있었던 개성을 비롯하여 인근의 경기도 장단군•개풍군•광화군•파주 등지에 다수가 분포되어 있고, 지방에서는 진주•부여•논산• 금산•무주• 보령•거창 등지에서도 약간씩 발견 보고되어 있다.

    참고자료

    · 1. 사료
    · *『高麗圖經』
    · *『高麗史』
    · *『高麗史節要』
    · *『朱子家禮』
    · 2. 단행본
    · * 申千湜, 「晉州 平居洞 高麗 古墳群 硏究」, 景仁文化社, 2002.
    · * 姜仁求, 「韓半島의 古墳」,아르케, 2000.
    · 「古墳硏究」, 학연문화사, 2000
    · * 서울대학교出版部, 「金元龍․安輝濬, 韓國美術史」, 1993.
    · * 리화선, 「조선건축사」, 백산자료원, 1989.
    · * 윤세영, 「고분출토 부장품 연구」,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88.
    · * 김원룡, 「한국의 고분」. 세종대왕기념사업회 교양국사 총서 2, 1974.
    · 「진주 평거동 기년 고려고분군」,미술자료9, 1964.
    · * 문화재관리국,「고분목록」,1973
    · * 舊朝鮮總督府,『朝鮮古蹟圖譜 7』, 名著出版社, 1973.
    · * 전주농, 「공민왕현릉」, 『고고학자료집』3. 1963.
    · 「고려공민왕 현릉발굴개보」,『문화유적』, 1960-4
    · * 이홍식, 「고려 벽화고분 발굴기(장서군 진서면 법당방)」, 을유문화사, 1954.
    · * 고유섭, 「송도고적」, 박문출판사, 1946.
    · 3. 논문
    · * 高賢守, 「南韓地域의 高麗 古墳의 副葬品 埋納方式 硏究」. 漢陽大學校碩士學位論文, 2004.
    · * 朱榮民,「高麗時代 墳墓 硏究-陶器編年을 中心으로-」.新羅大學校碩士學位論文, 2004.
    · * 李羲仁,「中部地方 高麗時代 古墳 硏究-石槨墓와 土壙墓를 中心으로-」,成均館大學校碩
    · 士學位論文, 2003.
    · * 안휘준,「松隱 朴翊 墓의 壁畵」,『고고역사학지 제17·18합집 』, 2002.
    · * 黃晸郁,「高麗時代 石槨墓 硏究-중부지방을 중심으로-」,檀國大學校碩士學位論文,2001.
    · * 정길자, 「고려귀족의 조립식석관과 선각화 연구」, 『역사학보』108, 1999.
    · * 임명미,「高麗王朝代 高麗와 교류하였던 諸國과 高麗의 服飾制度에 관한 硏究」,『동대 논총』,1993.
    · * 왕성수, 「개성일대 고려왕릉에 대하여」, 『조선고고연구』, 1990.
    · * 강현숙, 「수혈식 석곽묘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0.
    · * 鄭吉子, 「高麗時代 火葬에 대한 考察」, 『釜山史學.7』, 釜山史學會, 1983.
    · * 강인구, 「무주유동리의 고려고분과 출토유물」『미술자료』26호, 1980.
    · 「부여지방 고려고분과 출토유물」, 『호남문화연구』7, 1975.
    · 4. 보고서
    · * 忠北大學校 ․博物館․淸州市,『淸州鳳鳴洞遺蹟(Ⅰ)-Ⅰ地區調査報告-』,2002.
    · * 경기도박물관,『용인 마북리 고려고분군』 2001.
    · * 公州大學校博物館,『白石․業成洞遺蹟』, 2000.
    · * 고수길 외, 『淸州明岩洞遺蹟(Ⅰ)-1998年度發掘調査報告書-』, 2000.
    · * 朴喜顯,「丹陽 玄谷里 高麗古墳群 發掘調査槪報」,『박물관 휘보』제9호,서울시립대학교 博物館, 1998.
    · * 忠州博物館,, 『忠州 虎岩洞遺蹟 發掘調査報告書』,1998.
    · * 忠州博物館, 『충주 호암동유적 발굴조사보고서』1998.
    · * 단국대학교 한국민족학연구소, 『용인마북리유적』 1997.
    · * 충주박물관 • 한국도로공사, 『단양 하방리고분군 발굴조사 보고서』,1997.
    · * 충주박물관, 『충주 단월동 고려고분군, 제2차 발굴조사보고서』 1996.
    · 『충주 단월동 고려묘 발굴조사보고서』, 1992.
    · *충주공업전문대학박물관,「충주직동고분발굴조사보고」,『충주산성및직동고분군발굴조 보고서』, 1996.
    · * 李漢詳, 『天安南山里高麗墓』, 國立公州博物館, 1995.
    · * 단국대학교중앙박물관,「안산 부곡동 옛무덤 발굴조사보고」,『서해안고속도로 건설구 간(안산-안중간)유적 발굴조사 보고서 (l)』, 1995.
    · * 명지대학교박물관,『용인 좌항리 고려고분군 발굴조사 보고서』, 1994.
    · * (財團法人)百濟文化開發硏究院 ․ 公州大學校博物館,『公州 新基洞․ 金鶴洞 百濟․ 高麗古 墳群 發掘調査報告書-1991年度發掘調査』, 1993.
    · * (財團法人) 百濟文化開發硏究院․公州大學校博物館, 『論山 茅村里 百濟古墳群發掘調査報 告書-1992年度發掘調査』, 1993.
    · *申千湜․嚴翼成,「더부골 古墳群(Ⅰ)發掘調査報告」,高陽中山地區文化遺蹟<發掘調査報告書>, 한양대학교․경기도, 1993.
    · * 한양대학교박물관, 『고양 중산지구 문화유적 발굴조사』 1993.
    · * 국립문화재연구소,『파주 서곡리 고려벽화묘 발굴조사보고서』, 1993.
    · * 충북대학교박물관,『중원 루암리 고분군 발굴조사 보고서』, 1993.
    · * 국립문화재연구소,『중원 루암리 고분군 발굴조사 보고서』, 1992.
    · * 『중원 루암리 고분군 발굴조사 보고서』, 1991,
    · * 公州大學校博物館,『公州보통골 百濟古墳群發掘調査報告書-1990年度發掘調査-』,1992.
    · * 忠北大學校博物館,『鎭川聖石里遺蹟發掘調査報告書』,1992.
    · * 忠北大學校博物館,『鎭川松斗里遺蹟發掘調査報告書』,1991.
    · * 한국선사문화연구소․ 김해허씨시중공파중앙회,『가락허시중공무덤 발굴조사보고』,1988.
    · * 『居昌屯馬里壁畵古墳 및 灰槨墓發掘調査報告書』,1974
    · *今西龍,「高麗諸陵墓調査報告」,『朝鮮古蹟調査報告大正五年度朝鮮總督府大正六年 度』,1917.
  • 자료후기

      Ai 리뷰
      판매자가 제공한 자료는 체계적인 구성으로 되어 있어 복잡한 내용을 과제에 쉽게 활용 할 수 있었습니다. 앞으로도 이러한 좋은 자료들이 많이 등록되기를 기대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함께 구매한 자료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9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