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쑥 사료 급여에 의한 거세한우 비육개발

쑥(Artemisia montana Pampan)은 번식력이 강한 다년생 식물로서 국화과에 속하며, 우리나라의 자생종만도 30여종이 있다(육, 1988). 쑥은 식용 및 약용식물(藥用植物)로 질병예방이나 진료수단에는 이용되어 왔지만 종자와 지하경으로 번식하고 군락을 형성하여 생육하며 초지에 한번 발생하면 단기간에 우점(優占)하여 다른 식물의 성장을 저해한다. 특히 초지에 한번 발생하면 목초의 생육을 억제하여 초지의 생산성, 품질 및 기호성(嗜好性)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축산에서는 유해한 식물로 간주되어왔다(구, 1994; 박 등, 1994b; 김 등, 1997). 그러나 쑥은 Alkaloid, 비타민-A, B, C, 철분 칼슘, 및 인 등이 다량 함유되어 있고(이 등. 1995), 거담, 혈청 콜레스테롤의 감소 및 지혈제(정과 신, 1990)로 이용되고 있으며, 쑥 액즙의 약리성분 효과(류와 황, 1994)와 암세포 증식억제 효과(황 등, 1998)도 있다.
5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08.11.27 최종저작일 2007.10
5P 미리보기
쑥 사료 급여에 의한 거세한우 비육개발
  • 미리보기

    소개

    쑥(Artemisia montana Pampan)은 번식력이 강한 다년생 식물로서 국화과에 속하며, 우리나라의 자생종만도 30여종이 있다(육, 1988). 쑥은 식용 및 약용식물(藥用植物)로 질병예방이나 진료수단에는 이용되어 왔지만 종자와 지하경으로 번식하고 군락을 형성하여 생육하며 초지에 한번 발생하면 단기간에 우점(優占)하여 다른 식물의 성장을 저해한다. 특히 초지에 한번 발생하면 목초의 생육을 억제하여 초지의 생산성, 품질 및 기호성(嗜好性)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축산에서는 유해한 식물로 간주되어왔다(구, 1994; 박 등, 1994b; 김 등, 1997). 그러나 쑥은 Alkaloid, 비타민-A, B, C, 철분 칼슘, 및 인 등이 다량 함유되어 있고(이 등. 1995), 거담, 혈청 콜레스테롤의 감소 및 지혈제(정과 신, 1990)로 이용되고 있으며, 쑥 액즙의 약리성분 효과(류와 황, 1994)와 암세포 증식억제 효과(황 등, 1998)도 있다.

    목차

    서론(序論)
    본론(本論)
    1)체중, 증체량, 사료 섭취량 및 사료요구율
    2)육량 및 육질 등급
    3)육색(肉色)
    4)지방산(脂肪酸) 조성
    5)수익성 분석
    결론(結論)
    참고문헌(參考文獻)

    본문내용

    서론(序論):
    쑥(Artemisia montana Pampan)은 번식력이 강한 다년생 식물로서 국화과에 속하며, 우리나라의 자생종만도 30여종이 있다(육, 1988). 쑥은 식용 및 약용식물(藥用植物)로 질병예방이나 진료수단에는 이용되어 왔지만 종자와 지하경으로 번식하고 군락을 형성하여 생육하며 초지에 한번 발생하면 단기간에 우점(優占)하여 다른 식물의 성장을 저해한다. 특히 초지에 한번 발생하면 목초의 생육을 억제하여 초지의 생산성, 품질 및 기호성(嗜好性)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축산에서는 유해한 식물로 간주되어왔다(구, 1994; 박 등, 1994b; 김 등, 1997). 그러나 쑥은 Alkaloid, 비타민-A, B, C, 철분 칼슘, 및 인 등이 다량 함유되어 있고(이 등. 1995), 거담, 혈청 콜레스테롤의 감소 및 지혈제(정과 신, 1990)로 이용되고 있으며, 쑥 액즙의 약리성분 효과(류와 황, 1994)와 암세포 증식억제 효과(황 등, 1998)도 있다. 쑥 추출물 5% 첨가 시 흰쥐의 증체량과 사료섭취량 향상, 장내 유익균(有益菌)인 bifidobacteria는 증가 및 유해균인 clostridia와 E.coli는 감소하며(이 등, 1995), 한우에 건조 쑥을 5% 첨가할 경우 생산성과 육질 향상(고 등, 2001), 한우 육의 EPA 함량 증가(Kim 등, 2002a;b), 쑥 pellet 3% 급여 시 반추위內 발효특성의 개선효과가 있다(김. 2005c). 또한 쇠고기의 육질을 평가할 수 있는 주요한 지방산 중 ῳ3계열의 eicosapentaenoic acid(EPA)와 docosahexaenoic acid(DHA)는 산쑥 사일리지를 대체한 시험구에서 검출되었는데 특히 5%와 15% 대체구는 DHA, 10% 대체구는 EPA가 많이 검출되었다. ῳ3와 ῳ6의 비율이 산쑥 사일리지를 대체한 시험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크게 개선되었다.

    참고자료

    · 1. 고영두, 김재황, 김삼철, 김영민, 박기동, 신재형, 김정태, 이주환. 2001. 두충의 생리활성 물질을 이용한 한우의 고급육 생산. 경상남도연구 보고서.
    · 2. 구자옥. 1994. 귀화 잡초의 문제점과 대책. 농약정보. 9:26.
    · 3. 김덕웅, 최강주. 1985. 쑥의 건조 방법에 따른 지방산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14:95.
    · 4. 김영진, 박근제, 최선식, 황석중. 1997. 제초제 처리에 의한 쑥(Artemisia princeps) 우점초지의 갱신 효과. 한국초지학회. 17:357.
    · 5. 김재황. 2005c.쑥 pellet이 면양의 영양소 이용율과 반추위 내 발효특성에 미치는 영향. 동물자원지. 47(3): 419 ~ 428.
    · 6. 金三喆. 2003.2. 쑥 사일리지 사료 개발에 관한 연구(The Study of Feed Development with Wormwood(Artemisia montana Pampan) Silage.). 慶尙大學校 博士 학위논문.
    · 7. 류익상, 황주황. 1994. 자생식물 쑥, 돌외 및 환상덩굴의 지역별, 재배방법별 생육 특성과 주요 약리성분. 藥作誌. 4(1):27 ~ 30.
    · 8. 박병훈, 박근제, 김영진. 1994b. 초지 잡초방제 핸드북. 축산기술연구소보. p13.
    · 9. 박병성, 황보종, 이상진, 이영철. 1994a. 오메가 지방산. 효일문화사.
    · 10. 육창수. 1998. 한국약품식품자원도감. 진명출판사. p385.
    · 11. 이선화, 우순자, 구영조, 신현경. 1995. 쑥, 양파 및 원지가 흰쥐의 장내환경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과학학회지. 27:598.
    · 12. 임병용. 1992. 쑥으로부터 추추한 정유의 항균효과. 한국식품안정성학회지. 7:157.
    · 13. 원유석, 정준, 윤충근. 2001. 고급육 만들기. 농협중앙회 가축개량사업소.
    · 14. 정보섭, 신민교. 1990. 도해향악(생약) 대사전 식물편. 영림사. p551.
    · 15. 황윤경, 김동처, 황우익, 한용봉. 1998. 쑥(Artemisia princeps Pampan) 추출성분의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 한국영양학회. 31:799.
    · 16. Deans, S. G. and Ritchie, G. 1987. Antibacterial properties of plant essential oils. International J. Food Microbiol. 5:165.
    · 17. Kim, J. H., YoKota, H. , Ko, Y. D., Okajima, T. and Ohshima, M. 1993b. Nutritional quality of whole crop corn forage ensiled with cage layer manure. Ⅱ. in situ degradability and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in the rumen of goats. Asian-Aust. J. Anim. Sci. 6(1):53 ~ 59.
    · 18. Kim, Y. M. J. H. Kim, S. C. Kim, H. M. Ha, Y. D. Ko and C. H. Kim 2002b. Influence of Dietary Addition of Dried Wormwood (Artemisia sp.) on the Performance, Carcass Characteristics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Muscle Tissues of Hanwoo Heifers. Asian-Aus. J. Anim. Sci. 15:390.
    · 19. Kim, J. H., C. H. Kim, and Y. D. Ko. 2002a. Influence of Dietary Addition of Dried Wormwood (Artemisia sp.) on the Performance, Carcass Characteristics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Muscle Tissues of Hanwoo Steers and the Nutrient Digestibility of Sheep. Asian-Aus. J. Anim. Sci. 15:390.
    · 20. Leng, R. A. 1989. In ruminant physiology and nutrition in Asia(Eds. C. Devendra and E. Imaizumi). Jap. Soc. Zootech. Sci.
    · 21. Mehrez, A. Z., Orskov, E. R. and McDonald,Ⅰ. 1997. Rates of rumen fermentation in relation to ammonia concentration. Br. J. Nutr. 38:437.
    · 22.Page, J. K., D. M. Wulf and T. R. Schwotzer. 2001. A survey of beef muscle color and pH. J. Anim. Sci. 79:678.
    · 23. Satter, L. D. and Slyter, L. L. 1974. Effect of ammonia concentration on rumen microbial protein prodution on vitro. Br. J. Nutr. 32:199.
    · 24. Tharib, S. M. Gnan, S. O. and Veitech, G. D. A. 1983. Antimicrobial activity of compounds from Artemisia campestris. J. Food Protection. 46: 185.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는 항상 기대 이상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특히 학업에도 활용할 수 있어 매우 만족스럽습니다. 여러분께도 추천합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1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