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문헌
· 정규복, 『구운몽원전의 연구』, 일지사, 1977
· 조동일, 「영웅소설 작품구조의 시대적 성격」, 『한국소설의 이론』, 지식산업사, 1977
· 조동일, 『한국문학통사』3, 지식산업사, 1984
· 정출헌, 「<九雲夢>의 作品世界와 그 理念的 基盤」, 『金萬重文學硏究』, 國學資料院, 1993
· 박일용, 「인물형상을 통해서 본 <구운몽>』의 낭만적 경향성」,『조선시대의 애정소설』, 집문당, 1993
· 신재홍, 「몽유양식의 소설사적 전개양상」,『한국몽유소설연구』,계명문화사,1994
· 우쾌재 외, 『韓國 古小說史의 視角』, 國學資料院, 1996
· 김병국, 「九雲夢 著作 時期 辨證」,『고소설 연구1』, 국어국문학회, 1997
· 김광순 외, 『고소설 연구1』, 국어국문학회, 매학사, 1997
· 설성경, 『구운몽 연구』, 國學資料院, 1999
· 정출헌, 「구운몽의 작품세계와 그 이념적 기반」,『고전소설사의 구도와 시각』, 소명출판사, 1999
· 박일용, 『조선시대의 애정소설-사실과 낭만의 소설사적 전개양상-』, 집문당, 2000
· 전용문, 「<구운몽>과 <장국진전>의 비교연구」, 『한국고전문학연구』, 영락출판사, 2000,
· 최운식 외, 『설화·고소설 교육론』, 민속원, 2002
· 장효현, 『韓國古典小說史硏究』, 이환기획인쇄, 2002
· 김영희, 「세책 <구운몽> 텍스트의 형성과정연구」,『貰冊 古小說硏究』, 혜안, 2003
· 이복규, 『우리 고소설 연구』, 역락, 2004
· 전성운, 「구운몽의 서사 전략과 텍스트 읽기-고전 읽기 방법의 재검토 측면에서」,『문학교육학』제17호, 한국문학교육학회, 2005
· 한국고소설학회, 『고전소설 교육의 과제와 방향』, 月印, 2005
· 김만중, 옮긴이 설성경, 『구운몽』, 책세상, 2006
· 설성경, 『구운몽의 통시적 연구』, 새문사, 2007
· 2. 논문
· 정규복, 「구운몽 노존본의 이분화」, 『동방학지』59, 연세대, 1988
· 정규복, 「구운몽 서울대학본의 재고」, 『대동문화연구』26, 성균관대, 1991
· 김선아, 「<구운몽>의 人物命名, 그 구조와 의미」, 『어문논집』, 숙명여자대학교, 1991
· 이주영, 「구운몽 연구의 현황과 과제」, 서원대 학사논문, 2002
· 한상옥, 「서포소설의 양면적 특징 고찰」,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2002.
· 정미숙, 「<구운몽>에 나타난 인물들의 관계양상」, 순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 길준경, 「구운몽(九雲夢) 등장 인물 연구」, 동국대 석사논문,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