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기본자료
· 최인훈, 『웃음소리』, 민음사, 2005.
· ______, 『문학과 이데올로기(최인훈 전집12)』, 문학과 지성사, 1979.
· ______, 『최인훈·가면고』, 지식더미, 2007.
· ______. 『광장/구운몽』,문학과지성,. 1993.
· _______, 『회색인』, 문학과 지성사, 1991,
· 김미영, 『최인훈 소설 연구』, 깊은샘, 2005.
· 김인호, 『해체와 저항의 서사: 최인훈과 그의 문학』, 문학과지성사, 2004.
· 서은선, 『최인훈 소설의 서사 형식 연구』, 국학자료원, 2003.
· 조동일, 『한국문학통사5』, 지식산업사, 2005.
· 지그문트 프로이트, 김명희 역, 「늑대인간」, 『늑대인간』, 열린책들, 1996
· 2-1. 학위논문
· 박혜주, 「최인훈소설의 사실성과 비사실성 연구: 화자의 시점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 교석사학위 논문. 1984.
· 이평전, 「최인훈 소설에 나타난 유토피아 의식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7.
· 채정상, 『최인훈 소설의 기호학적 분석: 단편소설<웃음소리>, <열하일기>, <금오신화>를 중심테마로』, 동국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1.
· 2-2. 평론 및 단평
· 김기주, 「상징계 진입의 고통, 혹은 표류하는 기호들-최인훈「구운몽」 새롭게 읽기」,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제7집』,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00.
· 김갑수, 「최인훈 소설에서의 꿈과 리얼리즘의 관계」,『동국대학교논문집 vol.12』, 동국대 학교 국어국문학회, 1983.
· 김주연, 「관념소설의 역사적 당위 -최인훈, 이청준, 박상륭 등과 관련하여」,『문학정신 no.68』, 문학정신사, 1992.
· 남기택, 「「구운몽」의 판타지적 욕망」, 『비평문학 제24호』, 한국비평문학회, 2006.
· 이만우, 「정신분석과 근대 과학의 `맞/엇물림`- 과학과 윤리의 갈림길에 선 라깡의 정신분 석적 실천(→ `주체`의 진리)」,『라깡과 현대정신분석 제6권 제2호』, 한국라깡과 현대정신분석학회, 2004.
· 이재봉, 「근대 인식의 추상성과 구체성- 1910년대의 단편소설 -」,『한국문학논총 제29 집』, 한국문학회, 2001.
· 임경순, 「[특집:1960년대 소설의 근대성과 주체] 1960년대 소설의 주체와 지식인적 정체 성」,『상허학보 제12집』, 상허학회, 2004.
· 주지영, 「최인훈의 <구운몽>에 나타나는 ‘환상’과 욕망의 구조」, 『한국현대문학연구 제 17집』, 한국현대문학회, 2005.
· 홍준기, 「후설, 데카르트, 라캉의 주체 개념 」,『철학 사상 no.14』, 서울대학교 철학사상 연구소,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