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기본자료
· 정종길,「우리통치구조 기본원리에 수용된 18세기후반의 프랑스 헌법사상」,『세계헌법연구』 Vol.12 No.1, 국제헌법학회 한국학회, 2006.
· 류시조,「헌법의 기본원리로서 반독점원리」,『외대논총』Vol.22 No.1, 부산외국어대학교, 2001.
· 이윤환,「한국 정부형태의 권력분산적 개편 가능성에 관한 고찰」,『한국동북아논총』 Vol.27 No.-, 한국동북아학회, 2003.
· 김세진,「헌법과 제도」,『공법연구』Vol.34 No.4-2, 한국공법학회, 2006.
· 문광삼,「현행 헌법상 통치구조 개편의 쟁점과 방향」,『공법연구』, Vol.34 No.1, 한국공법학회, 2005.
· 한태연,「한국헌법에 있어서의 가치질서」,『고시 연구』Vol.30 No.4, 고시연구사, 2003.
· (2) 단행본
· 구병삭,『신헌법원론』, 박영사, 1990.
· 권영성,『헌법학원론』, 법문사, 2003.
· 김철수,『헌법학개론』, 박영사, 2005.
· 문흥주,『한국헌법』, 해암사, 1987.
· 박인수,『국민주권과 인민주권』, 고시계, 1990.
· 박인수,『E.J 시에예스 제3신분이란 무엇인가』, 책세상, 2003.
· 성낙인,『권력분립론 : 프랑스 헌법의 이론과 실제』, 고시계, 1994.
· 성낙인,『헌법학, 법문사』, 2001.
· 안용교,『한국헌법』, 고시연구사, 1989.
· 이재원,『한국의 국무총리』, 나남출판사, 1998.
· 정종섭,『대의원리와 주권론의 관계』, 고시계, 1990.
· 정종섭,『한국헌법사문류』, 박영사, 2002.
· 조병륜.『형식적 국민주권과 실질적 국민주권』, 고시계, 1997.10.
· 조석준,『한국행정조직론』, 법문사, 1994.
· 허 영,『한국헌법론』, 박영사, 1990.
· 허 영,『한국헌법론』, 박영사, 2001.
· 홍성방,『헌법학』, 현암사, 2005.
· 몽테스키외, Ecrits politiques, Livre de poche, 1992.
· 몽테스키외, L`Esprit des lois Livres I à V, Nathan, 1994.
· 몽테스키외, L`Esprit des lois Livres I à V, op.cit
· (3) 논문
· 김효전,「한국헌법에 있어서의 대통령제」,『한국헌법학회』, 학술발표논문 제3집, 1995. 11.
· 남복현,「형행헌법상 권력구조의 개편필요성에 관한 검토」,『공법연구』 제26집 제3호.
· 민경식,「우리나라 대통령제의 현실과 전망」,『한국헌법학회 학술 발표 논문 제7집』
· 오동석,「지방자치의 제도적 보장론 비판」,『공법연구』제29집 제1호, 2001.
· 이종수,「기본권의 보장과 제도적 보장의 준별론에 관한 비판적 보론」,『헌법실무연구회』27회 발표문, 2002.
· 장석권,「헌법의 운용과 개혁」,『한국공법학회 학술발표회합본집』(Ⅵ).
· 정종섭,「기본권조항 이외의 헌법규정으로부터의 기본권 도출에 대한 연구」,『헌법논총 제 5집』, 1994.
· 최대권,「헌법개정론-정부형태를 중심으로」,『헌법개정의 과제와 전망』, 한국공법학회, 제69회 학수발표회, 1997. 6.
· 허 경,「내각제 개헌의 당위성」,『공법연구』 제 27집 제3호.
· 동아일보, 2002. 8. 12, 헌법의 눈
· 문화일보, 2002년 8월 13일자 포럼.
· 조선일보,「책임 안지는 대통령책임제」, 2002. 7. 12자 시론
· 중앙일보, 2003년 3월 12일자, 4면.
· 중앙일보, 2003년 3월 13일자, 5면.
· 헌제 1992.2.25, 90헌가69, 91헌바3(병합)
· 헌제 1995.7.21, 92헌마1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