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교육훈련과 필요성 인식에 관한 선행연구
박준섭(1987)의 교육훈련과 성과분석에 관한 실증적 연구에서는 기업 내 교육훈련도 기업 환경의 변화와 경영패턴의 전환에 대한 새로운 시대인식에서 출발하여 기동성 있고 탄력적인 적응을 전진해 나기기 위해서는 첫째, 교육훈련에 포함 될 내용의 종합 패키지 프로그램의 개발이 이루어져야 하며, 둘째, 교육훈련이 자사의 인사정책이나 인사고과제도, CDP와 유기적인 관계가 형성되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박충희(1988)의 연구에서는 관광호텔 인적서비스 질의 관리에 관한 실증분석연구로 호텔 서비스 질과 직무만족과는 정의 상관관계가 있음이 검증되었는데 서비스 질의 향상 방안으로서 임금, 인간관계, 성취도, 승진, 직장생활의 질 그리고 리더행동 등 6개 항목이 고려될 수 있음이 지적되었다. 상기 연구에서는 인간관계의 개선과 성취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서 교육훈련 프로그램의 개발과 종사원 교육의 과학화가 강조되었다.
송기헌(1993)의 연구인 관광호텔 종사원 교육훈련의 실증적 연구에서는 호텔이 인적자원의 개발을 위하여 종사원에게 실시하는 교육훈련 즉, 교육훈련과 종사원 사이의 역학적 관계를 심도 있게 관찰, 분석하고 이어서 교육훈련의 발전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데에 연구의 초점을 두었으며 종사원 교육훈련은 호텔의 발전에 크게 기여하고 있는 바 호텔은 현재의 수준에서 만족치 않고 계속 성장 발전키 위하여 교육훈련을 어떠한 방향으로 전개해 나가야 하는지를 제시하고 있다.
박한나(2001)는 외식업체의 교육훈련과 근무동기유발의 상관관계 연구에서 서울시내 특급호텔 3곳과 전문외식업체 3곳을 대상으로 실증조사를 실시한 바, 직원의 교육훈련에 관한 만족도가 높을 수 록 직무향상 및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직원의 교육 훈련에 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직무몰입도가 높아진다는 결과를 얻었다.
윤기열, 노민경(2003)은 특급호텔 식음료부서 직원의 서비스교육과 고객만족 및 재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에서, 직원이 교육에 만족하는 정도는 직원이 지각하는 고객만족과 상당한 유의성을 띠고 있으며 직원의 교육훈련이 서비스 제공수준에 영향을 미치고 서비스 제공수준이 고객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박기범(2005) 브랜드이미지에 대한 직원 자아일치성이 내부고객만족과 직무몰입 및 고객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연구, 전북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박준섭(1988) 교육훈련의 성과분석에 관한 실증적 연구, 조선대학교 대학원 석 사학위 논문.
· 박철호. 김기석(2001) 관광호텔 판매촉진사원의 교육훈련 인식에 관한 연구「문화관광연구」, 3(4), p143-161.
· 박한나(2001) 외식업체의 교육훈련과 근무동기유발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Tourism Research」, 15, p231-260.
· 박혜원(2004) 호텔 교육훈련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호텔관광연구」, 제6권 제3호, p153-165.
· 배성지(2007) 내부고객의 브랜드 동일시가 고객 만족 활동에 미치는 영향: 호텔 종사원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국제관광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변재우(2006) 호텔종사원의 교육훈련유효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 특1급 호텔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관광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윤기열, 노민경(2003) 호텔직원의 서비스교육이 고객만족과 재방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관광경영학연구」, 7(1), p105-128.
· 이유재, 라선아(2002b) 구매후 만족도 평가, 기대의 조정, 재구매 의도의 흐름에 관한 연구: 고객충성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소비자학 연구」,13(3), p51-78.
· Csikszentmihalyi, M., Larson, R.(1984) Being adolescent: Conflict and growth in the teenage years, New York: Basic Books Publishers.
· Dutton, Jane M., Janet, M. Dukerich, and Celia, B. Harquail. (1994) Organizational Images and Member Identification,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39(34), p239-263.
· Josiam, B. M., Clements, C. J.(1994) Training: Quantifying the financial benefits,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mporary Hospitality Management, 7(1).
· Katz D. and Kahn, R. L.(1978) The social psychology of organization behavior, Behavioral Science, 9, p131-146.
· Keller, K. L.(2003) Strategic Brand Management : Building, Measuring, and Managing Brand Equity. 2th ed. NJ: Prentice Hall.
· Kelman, H. C.(1958) Compliance, identification, and internalization : three processes of opinion change, Journal of Conflict Resolution, 2, 5, p1-60.
· Lassar, Walfried Banwaari Mittal, and Arun Sharma(1995) Measuring Customer-Based Brand Equity. Journal of Consumer Marketing, 12(4), p11-19.
· Lodahl, T. M. & M. Kejner(1965) The definition and measurement of job involvemen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49, p24-33.
· Long, M. M. and Schiffman, L. G.(2000) Consumption values and relationships : segmenting the market for frequency programs, Journal of Consumer Marketing, 17, 3, p214-232.
· Mahoney F. X. (1984) Human Resource Management, 2nd ed, by L. Nadler, John Wiley & Sun, NY.
· Mathieu, J. E., Tannenbaum, S. I., Salas, E.(1992) Influence of individual and situational characteristics on measures of training effectivenes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5(4), p828-847.
· Porras, J. I & Robertson, P. J.(1992) Organizational development: Theory, practice, and research. In M. D. Dunnette, & L. M. Hough(Eds.). Handbook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3. Palo Alto, CA: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p719-822.
· Siegel, A. L. & Ruh, R. A.(1973) Job involvement, participation in decision making, personal background and job behavior.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Performance, 17, p211-212.
· Sirgy, M. Joseph(1982) Self-concept in Consumer Behavior: A Critical Review,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9(December), p287-299.
· Sirgy, M. J., Grewal, D. and Mangleburg, T.(2000) Retail environment, self-congruity, and retail patronage: An integrative model and a research agenda,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49, p127-138.
· Slims, H. P., & Szilagyi, A. D.(1976) Job characteristic relationships: individual and structural moderators.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Performance, 17, p211-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