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광합성 세균

광합성 세균 - cyanobacteria, purple bacteria, green bacteria
23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08.07.04 최종저작일 2008.06
23P 미리보기
광합성 세균
  • 미리보기

    소개

    광합성 세균 - cyanobacteria, purple bacteria, green bacteria

    목차

    서론
    광합성 세균의 정의와 특징

    본론
    -세균광합성의 원리
       진핵생물의 광합성과 세균 광합성의 차이
    광합성 세균이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광합성 세균의 분류
    광합성 소기관과 색소
    광합성 세균의 흡수 스펙트럼
    세균 광합성의 대사산물
       -산소발생형 광합성
       -산소비발생형 광합성
    -광합성세균의 종류

    결론
    광합성 세균의 이용

    본문내용

    ▪ 광합성 세균이란?
    : 광합성을 이용하여 스스로 영양분을 만드는 미생물.

    광합성균(phototroph)은 에너지를 빛에서 얻는 균으로 광합성 색소를 갖고 있다. 이 미생물의 광합성 색소는 고등동물의 chlorophyll과 비슷한 Mg-porphyrin이며 측쇄의 구조가 다르다. 대부분 평성 혐기성균이다. 광합성균은 홍색유황세균(sulfur purple bacteria),홍갈색세균( purple nonsulfur bacteria),녹색세균(green bacteria)으로 구분된다.
    홍색유황세균은 혐기적인 환경에서 다음과 같이 황화수소(H2S)를 산화시켜 환원력을 얻어서 CO2를 고정하는 균으로서 Chromatium, Thiospirillum등이 속한다.

    CO₂ 2H₂S --빛---> (CH₂O)n +H₂O+2S

    실물의 광합성에 있어서는 수소공여체로서 H2O이와의 환원된 화합물 (H₂S등)이 수소공여체가 되어 O₂의 발생은 볼 수 없다. 홍갈색세균(nonsulfur purple bacteria)은 황화수소 대신 수소와 지방산 알코올을 이용한다.

    ▪ 광합성 세균체의 일반적인 특성

    1. 균체의 세포벽이 유연하다.

    대부분의 광합성 세균은 운동성이 있으며 한 개 내지는 수 개의 편모를 가지고 있다. 이 편모는 갑각질을 함유하고 있으며 세포벽과 세포막은 클로렐라 등의 타 조류와 차이가 있어 아주 탄력성이 유연하다. 이것은 광합성 세균을 어류가 먹었을 시 소화 흡수율이 높음을 알 수 있다.

    2. 단백질 함량이 아주 높다.
    광합성 세균체의 단백질은 57.95%로 클로렐라 등 다른 단백원에 비해 그 함량이 극히 높으며 이 균체에서 추출된 단백질은 카세인 같은 양질의 단백질로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지고 있다.

    3. 양질의 필수아미노산을 함유하고 하고 있다.

    합성 균체의 아미노산 조성은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양질의 필수 아미노산을 균등하게 함유하고 있으며, 그량 또한 전반적으로 높다.

    참고자료

    · 1. van Gemerden, H. and Mas, J. 1995. Ecology of phototrophic sulfur bacteria. In: Anoxygenic Photosynthetic Bacteria . Kluwer Academic Publishers, Dordrecht, The Netherlands .pp. 49-85
    · 2. Overmann, J. 2001. Green sulfur bacteria. In: Bergey`s Manual of Systematic Bacteriology, 2 nd Edition,Springer-Verlag, New York. pp. 601-605.
    · 3. Manske, A. K., Glaeser, J., Kuypers, M. M. M., and Overmann, J. 2005. Physiology and phylogeny of green sulfur bacteria forming a monospecific phototrophic assemblage at a depth of 100 meters in the Black Sea. Appl. Environ. Microbiol. pp 71: 8049-8060.
    · 4. Frigaard, N.-U., Li, H., Gomez Maqueo Chew, A., Maresca, J. A. and Bryant, D. A. 2003. Chlorobium tepidum : insights into the physiology and biochemistry of green sulfur bacteria from the complete genome sequence. Photosynthesis Res. pp 78: 93-117.
    · 5. Frigaard, N-U. and Bryant, D. A. 2004. Seeing green bacteria in a new light: genomics-enabled studies of the photosynthetic apparatus in green sulfur bacteria and filamentous anoxygenic phototrophic bacteria. Arch. Microbiol. pp 182: 265-276.
    · 6. Nadson, G.A. 1906. The morphology of inferior algae. III. Chlorobium limicola Nads., the green chlorophyll bearing microbe. Bull. Jard. Bot. St. Petersb. 6: 190.
    · 7. 민경찬.1996,식품미생물학.광문사. pp 157-165.
    · 8. 강성태, 윤재형 공저. 2002. 식품미생물학, 형성출판사. pp 50-51,322-325.
    · 9. 남주현, 하상철, 김재근, 공저. 2003. 식품미생물학. 신정도서 출판사. pp 106-107.
    · 10. 강춘기 외 6명 공저. 2002 식품미생물학. 지구문화사. pp 144-146.
    · 11. Prescott Harley klein. 2003. 미생물학 제5판. 라이프 사이언스. pp 181-186.
    · 12. Michael T, Madigan . 2006 . BROOK의 미생물학 제 11판. 월드사이언스. pp 533-540.
    · 13. 김창한 외 6명. 2000. 일반 미생물학. 유한문화사. pp 122-129.
    · 14. Prescott, Harley, Klein. 2005. Microbiology pp. 195, 493, 597, 618-619, 339.
    · 15. Postgate, John. 1994 . The Outer Reaches of Life. Cambridge University Press. page 132-134.
    · 16. J.A. Eisen. 2002. The complete genome sequence of the green sulfur bacterium Chlorobium tepidum. Proc. Natl Acad. Sci. USA 99: 9509?9514.
    · 17 N.-U Frigaard, et al. 2006. Chlorophylls and Bacteriochlorophylls: Biochemistry, Biophysics, Functions and Applications 25. pp. 201-221.
    · 18. N.-U. Frigaard, et al. 2004. Genetic manipulation of carotenoid biosynthesis in the green sulfur bacterium Chlorobium tepidum. Proc. Natl Acad. Sci. USA 186: 5210-5220.
    · 19. J.A. Maresca, et al. 2005. in A. van der Est & D. Bruce, eds: Photosynthesis: Fundamental Aspects to Global Perspectives. Allen Press. pp 884-886.
    · 20. D.A. Bryant & N.-U. Frigaard. 2006. Prokaryotic photosynthesis and phototrophy illuminated. Trends Microbiol. p 488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를 통해 새로운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주제가 흥미롭고, 내용이 충실해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추천할 만한 자료입니다! 감사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함께 구매한 자료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18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