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존 리빙스턴 네비우스(John L. Nevius, 1829-1893) 선교사

"존 리빙스턴 네비우스(John L. Nevius, 1829-1893) 선교사"에 대한 내용입니다.
16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08.06.29 최종저작일 2008.05
16P 미리보기
존 리빙스턴 네비우스(John L. Nevius, 1829-1893) 선교사
  • 미리보기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초기 선교시 한국의 상황
    1. 지정학적 지형적 특성
    2. 사회적 정치적 배경
    3. 종교적 문화적 배경

    Ⅲ. 네비우스의 생애와 사역
    1. 출생과 성장, 죽음-중국에서의 활동
    2. 한국방문

    Ⅳ. 네비우스 선교의 원리와 방법, 적용
    1. 선교의 원리
    2. 선교의 방법
    3. 방법의 적용

    Ⅴ. 네비우스 선교의 공헌
    1. 영적 각성운동
    2. 사회변혁과 미신타파
    3. 자립․자치․근면․봉사
    4. 주체성 애국심

    Ⅵ. 네비우스 선교 정책에 대한 비판

    Ⅶ. 네비우스 선교정책에서 본 한국 선교의 부정적인 면
    1. 성과(업적) 중심 선교
    2. 후원단체의 압력
    3. 선교사의 공명심

    Ⅷ. 나가는 말

    Ӝ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들어가는 말

    "이 천국 복음이 모든 민족에게 증거 되기 위하여 온 세상에 전파되리니 그제야 끝이 오리라"(마24:14)

    지금도 우리는 아름다운 소식을 전하는 복된 발을 가지고 세계 각처로 전진하고 있다. 주님께서는 ‘땅 끝까지 이르러 내 증인이 되어라’고 말씀하셨고, 우리는 그 일에 기꺼이 참예(參預)함으로서 하나님 나라의 도래(到來)를 희망하고 있다. 이러한 때에 우리는 선교에 더욱 매진(邁進)하여 복음이 전파되지 않은 곳으로 뻗어 나가야 하며, 나아가 보다 효과적인 선교방법을 모색(摸索)해야 할 것이다. 그래서 필자는 역사를 통해 진행된 선인(先人)들의 지혜를 본받아, 현재를 되새기고, 미래로의 준비를 함으로써 보다 발전적인 선교의 방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세계 선교사에 유래가 없을 정도로 성장의 진척을 보인 한국교회는 선교 1세기를 맞아 민족 복음화 운동과 해외 선교운동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많은 사람들이 한국교회 성장에 관심을 가지고 그 이유를 다각적인 측면에서 고찰하고 있다. 그 결과 한국교회의 성장 배경에는 초대 선교사들이 채택한 선교정책 즉 <네비우스 선교방법>이 있었다는 사실을 파악할 수 있었다. John L. Nevis, 『네비우스 선교방법』, 김남식역, (서울: 성광문화사, 1995), 13.
    네비우스는(John L. Nevius, 1829-1893)는 중국에서 선교사역을 감당하였지만, 한국에 2주간 방문하면서 많은 영향을 주었다. 이것은 한국교회의 성장을 촉진시킨 것이었고, 선교의 표본으로 이해되어 새롭게 양성되는 선교사들에게 필수적 요소로 자리매김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이 모든 나라에서 성공적이었던 것은 아니다. 그러나 분명 한국에서는 어느 곳보다 효과적이었음에는 부인(否認)할 수 없다. 그래서 우리는 네비우스에 의해 이야기된 선교방법에 대해 살펴보고 이 정책이 한국교회에 미친 영향에 대해 언급하려고 하는 것이다.

    참고자료

    · 이호운, 『한국교회 초기사』,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70).
    · 이영현, 『한국 기독교사』, (서울: 컨콜디아사, 1982).
    · 김인주, 『한국기독교 교회사』, (서울: 한국장로교 출판사, 1994).
    · 곽안전, 『한국 교회사』, (서울: 대한기독교 서회, 1973).
    · 한국기독교 역사연구소, 『한국기독교의 역사 Ⅰ』, (서울: 기독교문사, 1997).
    · 김해연, 『한국 교회사』, (서울: 성광문화사, 1993).
    · 박근원, 『한국교회성숙론』, (서울: 대한기독교출판사, 1986).
    · 유동식, 『한국종교와 기독교』, (서울: 기독교대한 서회, 1996).
    · 서광선, 『한국 기독교의 새인식』, (서울: 대한기독교출판사, 1985).
    · 김수진, 『호남선교100년과 그 사역자들』(서울: 고려글방, 1992).
    · 박종구, 『세계선교 그 도전과 갈등』, (서울: 신망애출판사, 1994).
    · 김인수,『한국 기독교회의 역사』(서울 : 장로회신학대학교출판부, 1998).
    · 이광순·이용원,『선교학개론』(한국장로교출판사, 1993).
    · 오만균, 『네비우스 선교정책과 한국개신교 초기의 성장에 관한 연구』(호남신학대학교 목회대학원, 1997).
    · 박 건, “선교적 멘토 네비우스를 다시 생각한다”, 『월간목회』, 1999.
    · 김영재, “네비우스 선교정책에 대한 재평가”,『신학 지남 가을호』(1984. 9).
    · 장지현, 『네비우스 선교방법과 초기한국 개신교회의 성장』(장신대신학대학원), 1988.
    · 배향섭, “개항기 민중들의 일본에 대한 인식과 대응”,『역사비평』계간27호 (1994,겨울).
    · 김남식, “네비우스 선교방법 연구”, 『신학지남』, 1985.9.
    · 이영호, 『네비우스 선교정책이 언드우드 선교사역과 한국교회에 미친 영향연구』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대학원, 2002).
    · 김영자, “현장 경험을 통한 실천적 방향과 전략”, 『선교와 신학』제8집(2001.12.).
    · Everett N. Hunt. Jr., `John Livingston Nevius`, Mission Legacies, Ed. by O.M.S.C., (New York, New Haven : Orbis Books, 1994).
    · H. G. Underwood, The Call of Korea, (New York: U. S. A., 1908).
    · John L. Nevis, 『네비우스 선교방법』, 김남식역, (서울: 성광문화사, 1995).
    · 곽안련, 『한국교회와 네비우스 선교정책』, 박용규 &#8228; 김춘섭 역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94).
    · Martha Huntley, 『한국 개신교 초기의 선교와 교회성장』, 차종순 옮김, (서울:목양사, 1985).
    · R. E. Shearer, 『한국교회성장사』, 이승익 역,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66).
    · Herbert J. Kane, "A Concise History of the Christian World Mission", 박광철역, 『기독교세계선교사』, (서울: 생명의 말씀사, 1978).
  • 자료후기

    Ai 리뷰
    매번 새로운 인사이트를 제공해 주어 지식의 폭이 넓어지는 기분입니다. 지식판매자 덕분에 많은 것을 배우고 있습니다. 정말 추천하고 싶습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함께 구매한 자료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06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5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