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민족주의와 부정부패
- 최초 등록일
- 2008.06.13
- 최종 저작일
- 2008.05
- 1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소개글
중국의 민족주의와 부정부패 리포트 입니다
목차
Ⅰ. 중국의 민족주의
◆ 민족주의의 개념
◆ 중국 민족주의의 형성기반
1) 천하관 2) 화하중심주의
◆ 중국의 근대 민족주의 형성과정
1) 서방의 침입과 중화질서의 붕괴
2) 근대국가 관념과 민족주의 관념의 출현
◆ 중국 근대 민족주의의 특징
◆ 민족주의 관련 사례
Ⅱ. 중국의 부정부패
◆ 부정부패의 원인
◆ 부정부패의 사례
◆ 해결책 및 결론
본문내용
Ⅰ. 중국의 민족주의
◆ 민족주의의 개념
민족주의란, 민족에 기반을 둔 국가의 형성을 지상목표로 하고, 이것을 창건(創建) ·유지 확대하려고 하는 민족의 정신 상태나 정책 원리 또는 그 활동이라고 요약할 수 있다. 이러한 민족주의라는 말은 그것이 어떠한 시대적, 역사적 상황에 놓이는가에 따라 다르게 쓰이기도 한다.
민족주의는 프랑스 혁명 시기와 같은 때에 유산계급을 중심으로 공화제와 민주주의를 쟁취하는 데에 필요한 이데올로기로서의 역할을 하기도 했지만, 아울러 지배계층으로 하여금 민중을 동원하여 전쟁 및 지배를 원활하게 할 수 있는 기제로서의 성격을 갖기도 하고 제국주의에 의해 식민화가 되었던 수많은 국가들에 의해 저항과 투쟁의 기제로서의 역할도 했다.
◆ 중국의 민족주의의 형성 기반
중국의 전통 역사 속에서 근대 민족주의의 사상적인 기반은 무엇인가?
중국 민족주의의 기반은 고대 중국의 중국이 세계질서관을 지배한다는 ‘천하관’과 중국을 지리적인 중심으로 한 ‘화하중심주의’이다.
1) 중국인의 천하관 천하공동체
천하공동체는 현실세계의 교화된 부분과 蠻夷(야만적인 오랑캐)로 구분되는 동급 공동체일 뿐만 아니라, 또한 유가의 천하귀인(天下歸仁)의 도덕적 이상의 추구를 대표한다. 그것은 위로는 하늘의 뜻과 통하고, 밑으로는 인심에 도달하는 것으로 이것이 바로 중국인이 세계를 이해하는 핵심이었다. 고대 중국인들은 천하는 일종의 보편화된 문화질서로, 종족이나, 변경이나 주권의 명확한 구분이 없었다. 천하에 비하여 하급의 공동체가 왕조 공동체로, 천하가 일종의 문화적 가치를 내포한다면, 왕조는 정치질서를 대표한다. 그러나 이는 정통적인 중국의 문화질서와 정치질서가 유럽처럼 이원적으로 분리되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이들에게 왕조는 사적인 적이고 천하는 공적인 적인 것으로, 왕조의 정당성은 천하의 도덕적인 이상으로부터 온다고 보았다. 보편화된 천하의 문화질서는 왕조의 정치질서보다 높고 왕조는 교체될 수 있으나, 왕조의 근본인 천하귀인의 문화적인 이상은 변경될 수 없다.
2) 화하중심주의
중국 근대 민족주의의 사상적 기반중 하나인 천하공동체 이념은 중국의 화이관념(華夷觀念)에 근거한 차등화 된 공동체이다. 이처럼 華와 夷를 구분하여 차별화하는 이른바 화이사상의 발전은 공간적인 개념과 자질로 설명되었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