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왕안석의 신법(송대)

"왕안석의 신법(송대)"에 대한 내용입니다.
23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08.05.16 최종저작일 2007.04
23P 미리보기
왕안석의 신법(송대)
  • 미리보기

    목차

    Ⅰ. 序

    Ⅱ. 당쟁의 흐름
    1. 송대 붕당의 형성
    ①사회적 측면
    ②제도적 측면
    2. 송대 당쟁의 시초
    3. 당쟁의 심화
    ①태조ㆍ太宗ㆍ진종시기(960~1022)
    ②인종ㆍ영종시기(1023~1067)
    ③신종ㆍ철종시기(1068~1100)
    ④휘종ㆍ흠종시기(1101~1127)
    ⑤고종시기(1127∼1162)
    5. 당 - 과거제도의 시행

    Ⅲ. 왕안석의 개혁안과 결과
    1. 개혁을 실시하게 되는 배경
    2. 부국책
    ①청묘법
    ②시역법
    ③균수법
    ④모역법
    ⑤방전균세법
    ⑥농전수리법
    3. 강병책
    ①보갑법
    ②보마법
    4. 서리정책
    5. 인재양성론
    ①과거제도의 개혁
    ②삼사법
    6. 구법당과의 대립
    7. 왕안석 은퇴 후부터 북송 멸망까지의 신법당과 구법당의 대립
    8. 왕안석에 대한 평가

    Ⅳ. 結
    Ⅵ. 참고문헌

    본문내용

    唐 中期 安ㆍ史의 亂 이전부터 성장해 온 節度使 세력은 결국 唐을 멸망으로 이끌게 된다. 唐末ㆍ五代를 거치면서 화려했던 당의 성세는 그 끝을 고하고, 그와 함께 번성했던 당의 귀족문화도 쇠퇴했다. 특히, 唐末의 藩鎭 節度使와 재지 세력의 성장은 귀족중심의 지배체제가 약화되었다는 것을 의미할 정도로 시대에 미친 영향이 매우 크다. 즉, 이 시기에는 지배 세력의 교체가 이루어지고 있었던 것이다.
    五代十國의 혼란기를 거쳐 宋을 건국한 太祖 趙匡胤은 唐의 멸망원인을 節度使 체제에서 보았고, 또한 五代를 거치면서 중앙집권체제를 확립해야한다는 필요성을 절실히 느꼈다. 때문에 이를 극복하기 위해 지방 군벌의 세력을 견제하게 되었고 武보다는 文을 중시하는 文治主義로 송을 다스렸다. 이는 宋代에서 士大夫 宋代 이후의 사대부는 기존 귀족이나 관료 계급과는 조금 다른 의미의 지배층이라고 할 수 있다. 본문에서는 무관에 대비되는 과거를 볼 수 있는 문관 지식인 계층을 뜻한다.
    들의 성장을 불러오게 되는 중요한 원인으로 작용하게 되며 유학에서 큰 발전을 가져오게 되었다. 士大夫들의 성장은 유학의 발전과 함께 이루어졌는데, 學界에서는 다양한 이론이 제기 되었고 계속해서 기존의 유교 경전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이 과정에서 다양한 學派가 성립되었고 각 학파는 다른 학파의 이론에 대해 논쟁을 벌이면서 성장했는데 黨爭의 기본적인 속성도 이 學理의 대립이라고 볼 수 있었다. 즉, 宋太祖가 文治主義를 제창하고 황제권을 강화시키며 유학을 숭상하는 순간부터 이미 朋黨의 발생은 필연적이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黨爭은 宋代 전반에 걸쳐 여러 차례 모습을 보였는데, 그 중 대표적인 예를 꼽자면 仁宗代의 范仲淹과 呂夷簡으로 대표되는 세력의 대립, 神宗代의 王安石과 司馬光의 대립, 그리고 南宋代의 岳飛와 秦檜의 대립을 들 수 있다. 본문에서는 宋代 전반적인 黨爭의 흐름과 神宗代 王安石의 개혁과 王安石으로 대표되는 新法黨과 司馬光으로 대표되는 舊法黨의 대립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참고자료

    · 1. 저서
    · 梁鍾國 著, 『宋代士大夫社會硏究』, (三知院, 1996)
    · 三浦國雄, 『王安石, 황하를 거스른 개혁가』, (책세상, 2005)
    · James Liu, Reform in Sung Chima : Wang An - Shih and His New Policies(李範鶴譯, 『王安石과 改革政策』, (지식산업사, 1991))
    · 申採湜, 「司馬光ㆍ王安石의 君子ㆍ小人論」, 『歷史와 人間의 對應』(한울, 1984)
    · 申泰光,「王安石의 胥吏政策」『宋代史硏究論叢』, (三知院, 2000)
    · 淸水茂, 『王安石』, (岩波書店, 1962)
    · 佐伯富, 『王安石』, (中央公論社, 1990)
    · 東一夫, 『日本中ㆍ近世の王安石硏究史』, (風間書房, 1987)
    · 申採湜, 「宋代官僚制硏究 -宋史列傳分析을 통하여- 」, (三英社, 1981)
    · 高羽榮, 『고우영 십팔사략』, (애니북스, 2004)
    · 진순신(이성림譯), 『소설 십팔사략』, (자음과모음, 2004)
    · 2. 논문
    · 申採湜, 「王安石 改革의 性格檢討 - 특히 新法의 保守性에 관하여 -」, 『東洋史學硏究』, 51(東洋史學會, 1995)
    · 成長健ㆍ師君侯, 「從三篇 ‘朋黨論’ 看北宋黨爭」, 『中國文學硏究』
    · 梁種國, 「北宋 初 趙普와 盧多遜의 政爭」, 『中國史硏究』, 21(中國史學會, 2002)
    · 梁種國, 「北宋初의 실력자 晉王 趙光義와 帝位繼承問題」, 『東洋史學硏究』, 66(東洋史學會, 1999)
    · 梁種國, 「北宋初 三大疑案의 내용과 性格--太宗 趙光義의 帝位繼承問題와 관련하여--」, 『宋遼金元史硏究』, 3(1999. 5)
    · 梁種國, 「北宋初의 실력자 晉王 趙光義와 帝位繼承問題」, 『東洋史學硏究』, 66(東洋史學會, 1999)
    · 朱子彦ㆍ陳生民, 『朋黨政治硏究』 (華東師範大學出版社, 1992)
    · 임현숙, 「王安石의 과거제도 개혁에 대한 일고찰」이화여자대학교 사학과 석사학위논문
  • 자료후기

      Ai 리뷰
      구매한 자료가 제가 필요로 하는 모든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 매우 만족스러웠습니다. 판매자의 자료는 다음에도 다시 이용하고 싶습니다. 정말 감사드립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