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식회계의 정의 와 사례 및 시사점
- 최초 등록일
- 2008.05.07
- 최종 저작일
- 2008.05
- 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분식회계의 정의 를 알아보고 왜 분식회계를 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
분식회계의 사례와 시사점 에 대해 자세히 설명 되어 있습니다
교수님께 A+ 맞은 자료 입니다
목차
1.분식회계의 정의
2.분식회계의 사례
(1)한국의 분식회계의 사례-요약, 시사점
(2)미국의 분식회계의 사례-요약, 시사점
3.원본 기사 첨부
본문내용
1.분식회계의 정의 :기업이 재정 상태나 경영 실적을 실제보다 좋게 보이게 할 목적으로 부당한 방법으로 자산이나 이익을 부풀려 계산하는 회계. 한자로는 粉(가루분) 飾(꾸밀식)을 쓰고, 영어로는 accounting froud로 쓰고, 가루로 보기좋게 얼굴에 분칠로 꾸몄다는 뜻으로 회계 장부를 과장되게 쓰거나 자금을 차입 할때나 회사 주식의 주가관리를 위해서 자기 상품이 팔리지도 않은것은 팔았다고 꾸미고, 고의로 기업이 회사의 실적을 좋게 보이기 위해서 자산이나 이익을 부풀려서 회계장부를 조작한다. 또한 부채를 적게 계상 하거나, 재무상태나 경영성과 재무상태 변동을 고의로 조작하는것, 재무제표상의 수치를 왜곡하는것이 분식회계이다. 다른 용어로는 분식 결산이라고 한다. 특히 심각한 경제적 상태가 침체 되있을때 또한 영업 실적이 좋지 않았을때, 분식회계 조작하는 사태가 많이 일어난다. 분식회계의 여파로 인해 금리가 폭등할 수 있고 주가가 하락 할수 있다. 즉 비효율적인 자본시장을 초래한다. 분식회계는 의도적으로 사실과 다르게 꾸미는 다는 뜻이므로 의도적으로 좋게 꾸미는것과 반대로 나쁜게 꾸민다는 뜻을 다 포함 한것이다. 거의 실제 좋게 꾸미는 것이 많아서 분식회계라는 단어는 안좋은 인식이 있다. 분식회계의 대표적 방식은 가공매출의 계상 , 재고 재산의 과대계상, 부채의 누락 등이 있다. 분식회계는 한마디로 거짓 정보를 공개 한다는것이며 정보 이용자들(users)의 판단을 왜곡하기 때문에 분식회계에서 가장 피해를 보는 사람들은 주주(external users) 와 채권자(internal users) 들이다.
2.분식회계의 사례
(1)한국의 분식회계 사례
1)요약-대우그룹에 대한 회계감사에서 천문학적인 분식회계가 들어났고 기업은 공중분해 됐다. 대우그룹 계열사에 대한 특별감리결과 분식회계금액은 모두 22조9000억원의 드러났고, 기업개선작업 관련 실사결과 나타난 차 액 42조9000억원의 53%에 해당된다.
참고 자료
회계의 이해- 김흥식
밀레니엄 회계원리
삼성경제 연구소 발표논문-분식회계
LG 경제 연구소 발표논문-분식결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