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오완섭, 2003, 파워사회복지학, 서울고시각
· - 보건복지부, 2002, 보건복지백서
· - 현외성, 양서원, 2001, 한국사회복지법제론
· - 이인재 외, 2001, 사회보장론, 나남- 김태성 외, 2001, 사회보장론, 청목출판사
· - 장동일, 2001, 한국사회복지법의 이해, 학문사- 전광석, 법문사, 2000, 한국사회보장론법
· - 보건의료정책과 간호, 2003,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모듈,
· - 이광찬 2002. 한국사회복지의 개혁과 과제전망 &사회복지정책. 한국사회복지학회 춘계학술 자료집- 김미혜, 김소희 2002, 만성질환 노인의 의료비부담 관련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제 48호
· - 양봉민, 원석조 2002. 한국사회복지의 개혁과 과제전망 &건강보험의 발전적 과제」한국사회복지학회 춘계학술자료집.- 문경태, 2002, 국민건 강보험정책의 방향 및 과제, 건강보험 포럼.
· - 권순원, 2002, 바람직한 의료보험개혁방안-의료비 절감과 보험재정기반 확충을 중심으로
· -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와 지속가능한 재정구조구축을 위한 제도개선방향,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포럼, 2002. 5.
· - 고현신, 2001, 국민건강보험의 제도분석과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숙명여대 대학원 사회복지 석사
· - 이혜훈. 2001. 6. 국민건강보험공단의 과제와 발전방향 &국민건강보험의 성과와 발전 방향. 국민건강보험공단 창립 제1주년기념세미나자료집.
· - 국민건강보험과 민간보험의 협력을 통한 의료보장체계의 개선방안, 2001, 민간의료보험활성화, Task Force.
· - 노운녕·박명준, 2001, 국민건강보험의 구조적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신흥대학 학회지(vol.24).
· - 이광찬, 2001, 국민건강보험 관리운영의 효율화 방안,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논문집(vol. 12).
· - 국민건강보험공단, 2001, 외국의 건강보험제도 비교조사.
· - 김병익, 2001, 건강보험 재정파탄 어떻게 할 것인가?
· - 김진현, 2001, DRG지불제도의 성과와 평가, 한국보건경제학회 발표논문.
· - 김창엽, 2001, 건강보험 재정문제의 현황과 과제.
· - 배은영·김진현, 2001, 보험 약가 관리제도 개선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 조홍준, 2001, 건강보험 파탄의 구조적 원인과 과제.
· - 이규식, 2001, 의보파탄 어떻게 막을 것인가. 한나라당주최 정책토론회 발표자료.
· - 이준영, 2000, 4. 한국의료보험의 새로운 운영 방식 모색, 한국사회복지학회 학술대회,
· - 손명세, 2000, 의료보험제도의 최근변화와 예방의학회의 역할, 대한예방의학회 동계학술
· 심포지움. P.37-47.
· - 이규식, 2000, 의료보장정책의 형성과 문제점, 보건행정학회지, 10(1), P.57-94.
· - 전병율,2000,의료보험급여정책,제2차대한노인병학회 추계학술대회심포지움, P. 189-193
· - 김용익, 2000, 국민건강보험과 노인보건
· - 국민건강보험공단, 2000, 선진국의 의료보장제도.
· - 변재환 외, 2000, DRG지불제도의 문제점과 정책개선방안, 한국병원경영연구원.
· - 서창진 외, 2000, "DRG 지불제도 제2차 시범사업의 평가결과와 향후 전망", 보건경제연구.
· - 이선희 외, 2000, DRG 지불제도 시범사업 평가 및 도입 타당성 검토, 범의료계 의료 보험제도 개선위원회.
· - 이진석, 2000, 우리나라 의료보험제도의 문제점과 발전방향-진료비 할인제도가 아닌 건강보장제도로,
· - 권순원, 2000, 적정부담-적정급여-적정수가의 길
· - www.mohw.go.kr 보건복지부 홈p
· - www.nhic.or.kr 국민건강보험공단 홈p
· - www.hira.or.kr 국민건강보험 심사평가원 홈p
· - www.healthinsure.co.kr
· - www.bunup.mohw.go.kr 의약분업 홈p
· - www.yakup.com 약업신문
· - med.hallym.ac.kr/~hippo/dae_5.htm
· - boheom.emoney.co.kr
· - [기고/김진현]의료서비스, 시장에 맡기기엔 시기상조 columns
· 2007/05/18 08:59 http://blog.naver.com/plz100/140037915640 [동아일보]
· - http://kr.blog.yahoo.com/pjil2000/888486.html
· - 김대수 국민건강보험공단 보은지사장 2007.
· - 정기택, 보험개발원, 보험개발연구 통권 제17호 2002
· - 삼성경제 연구소
· - 보건복지부 자료 , 2006
· - http://blog.naver.com/nhic0301?Redirect=Log&logNo=80024900486&vid=0
· - 고수경. 주요 국가의 진료비 본인부담 현황. 건강보험포럼 2002;1(3): 98-116.
· -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 비전달성을 위한 중기발전계획 2002-2006. 2002. 3.
· - 국민의료보험관리공단 경영개선실. 공보험의 보충을 위한 민간보험
· 도입 타당성 검토. 2000.4.
· - 권순만. “Managed Care의 경험”, 건강보장연구 1997; 1: 136-156.
· - 권순원. 선진국의 의료보험제도와 생명보험업계의 참여현황 - 일본
· 편. 월간생협 1997. 5.
· -선진형 의료보장을 위한 의료보험제도의 장기발전 방향.
· 보건경제연구 1998; 4: 1-27.
· - 권오성. 의료보험제도에 시장원리를 - 의료보험의 문제와 개혁방안. 자유기업센터 1998. 9.
· - 김용하. 공적연금과 사적연금의 조화적 발전방안. 한국보험학회. 2000. 11.
· - 김원식. 민영의료보험제도의 활성화 방안: 시장중심적 접근. 대한병
· 원협회지 2001. 8.
· - 우리나라 의료보험진료체계의 개선방안: 의료산업의 효율화를 중심으로. 2001.
· - 김응호. 의약분업시대의 민간의료보험 활성화 방안. 손해보험 2000. 12: 40-53.
· - 김창보, 전창배, 임정수, 박지연. OECD 국가들의 민간의료보험 현황과 한국 건강보험의 과제. - 국민건강보험공단. 민간의료보험 도입관련 자료집, 2001. 12; 1: 61-82
· - 김창보. 공보험의 위상과 발전 전망. 2001. 11.
· - 민간보험의 현황과 민간의보 도입논의 검토. 건강보험동향 2001. 10; 28: 1-21.
· - 김창엽. 민간의료보험의 역할: 그 한계와 영향. 국민건강보험공단 민간의료보험 활성화 Task Force. 국민건강보험과 민간보험의 협력을 통한 의료보장체계의 개선방안. 2001. 12. 14.
· - 박인화. OECD 국가의 국민의료비와 보건시스템 성과비교. 보건복지포럼 2001. 9: 76-83.
· - 박홍민, 김경환. 건강보험에서의 보험회사 역할 확대방안. 보험개발원 보험연구소, 2001. 9.
· - 변재환. 새 민간건강보험제도 도입방안. 국민건강보험공단 사회보장연구센터. 민간의료보험 도입 관련 자료모음집, 2001. 12.
· - 보건복지부. WTO/DDA 보건의료 서비스 분야 논의 동향. 2002.10. 17.
· - 보건복지부노동부. 사회보험 중장기 비젼과 과제. 1999. 12.
· - 보험개발원. 향후 10년간 보험산업의 시장규모 및 트렌드 분석. 2000. 11.
· - 사회보장연구센터. 건강보험 보장성 확보를 위한 급여확대의 내용 검토. 민간의료보험 도입 관련 자료모음집, 2001. 12.
· - 산업조사본부. 우리나라 의료보험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의료저축제도(MSA)의 도입을 중심으로 -. 2000. 12.
· - 삼성금융연구소. 보충의료보험 활성화 방향. 2000. 6.
· - 의료보험제도 효율화 방안 - 의료보험 부문의 공적 역할분담. 1999. 8.
· - 신기철. 산업재해보상보험과 민영보험의 효율적 연계방안. 한국보험학회. 2000. 11.
· - 신수식. 민영보험과 사회보험의 협력과 과제. 한국보험학회. 2000.11.
· - 양봉민 외. 재원조달 방식으로서의 MSA(Medical Savings Account)에 대한 고찰”, 보건경제연구 1999; 5: 44-60.
· - 오영수. 공사건강보험의 보완적 발전모형. 한국보험학회. 2000. 11.
· - 민간건강보험 활성화의 필요성과 과제. 대한병원협회지 2002: 29-36.
· - 윤병식.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를 위한 정책과제. 건강보험포럼 2002; 1(2): 2-13.
· - 이덕훈, 나동민, 김원식, 김진수. 사회보험과 민영보험의 효율적 연계방안. 한국개발원. 1998.
· - 이용하 외. 국민연금 민영화론의 허상. 국민연금관리공단연구센타, 1998.
· - 이진석. 민간의료보험 확대 도입과 보건의료운동 진영의 과제. 2000. 7.
· - 이태수 등. 건강보험공단의 보험자로서의 역할 재정립 방안. 건강연대, 2002. 7.
· - 장동민. 민간의료보험제도의 도입 방안 연구. 보건경제연구 1999;5: 61-94.
· - 전국경제인연합회. 우리나라 의료보험제도의 문제점과 개혁방안 -의료저축제도(MSA)의 도입을 중심으로 - 2000. 12.
· - 전창배. OECD 국가들의 민간보험 운영실태. 건강보험동향 2001.10; 28: 56-68.
· - 정기택. 민간의료보험의 발전방향. 의료산업 및 정책학술 심포지엄.2000.
· - 한국 민간건강보험의 현황과 전망. 대한병원협회지 2002;37-48.
· - 정수경, 김철웅. 민간의료보험 활성화 논리에 대한 경제학적 타당성 검토. 건강보험동향. 2001; 28(10): 22-34.
· - 정영호. OECD 국가들의 의료비 지출 및 관련지표 동향. 보건복지포럼 2000; 72-79.
· - 최병호, 홍석표, 신영석, 오영수, 김나영. 국민건강보험과 민간의료보험의 보완적 발전방안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0.
· - 최병호. 민간의료보험의 도입타당성 검토. 보건복지포럼 1997.15(12): 55-64.
· - 외국의 민간건강보험 실태와 유형. 대한병원협회지 2002.7,8: 49-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