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 문
· 1) 단행본
· 권영숙, 1996, 「미셸 푸코에서 ‘사회적인 것(the social)’에 대한 연구: 신체, 권력 그리고 사회방위 개념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사회학과 문학석사 학위논문.
· 권용현(외), 2001, ꡔ한국사회와 모더니티ꡕ, 이학사.
· 김성기, 1991, ꡔ포스트모더니즘과 비판사회과학ꡕ, 문학과지성사.
· 김일한, 1997, ꡔ현대 마르크스주의의 단절성과 연속성: 포스트마르크스주의를 중심으로ꡕ, 한국정신문화연구원 박사학위논문.
· 김욱동, 1997, ꡔ포스트모더니즘과 포스트구조주의ꡕ, 현암사.
· 김호기(외), 2001, ꡔ현대 비판사회이론의 흐름ꡕ, 한울.
· 남경태, 2001, ꡔ한눈에 읽는 현대철학ꡕ, 광개토.
· 노베르토 보비오, 윤홍근(역), 1989, ꡔ민주주의의 미래ꡕ, 인간사랑.
· --------------------, 황주홍(역), 1992, ꡔ자유주의와 민주주의ꡕ, 문학과지성사.
· 데이비드 헬드, 조효제(역), 2003, ꡔ전지구적 변환ꡕ, 창작과비평사.
· 리요타르, 이현복(역), 1992, ꡔ포스트모던적 조건ꡕ, 서광사.
· 박동진, 2000, ꡔ전자민주주의가 오고 있다ꡕ, 책세상
· 볼프강 벨쉬, 박민수(역), 2001, ꡔ우리의 포스트모던적 조건ꡕ, 책세상.
· 송영정, 1995, 「푸코 후기 사상에서 권력과 주체의 문제」, 연세대학교 대학원 사회학과 석사학위 논문.
· 송재룡, 2001, ꡔ포스트모던 시대와 공동체주의ꡕ, 철학과 현실사.
· 스티븐 사이드먼, 박창호(역), 1999, ꡔ지식논쟁ꡕ, 문예출판사.
· 신승환, 2003, ꡔ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한 성찰ꡕ, 살림.
· 손호철, 2002, ꡔ근대와 탈근대의 정치학ꡕ, 문학과지성사.
· 손호철(외), 1996, ꡔ현대민주주의론IIꡕ, 창작과 비평사.
· 안토니 기든스, 이윤희(역), 1991, ꡔ포스트모더니티ꡕ, 민영사.
· 알랭 로랑, 김용민(역), 2000, ꡔ개인주의의 역사ꡕ, 한길크세주.
· 양운덕, 1994, ꡔ해겔에서 리요타르까지ꡕ, 지성의샘.
· 에릭 홉스붐, 임지현(역), 2000, ꡔ노동의 세기 실패한 프로젝트?ꡕ, 삼인.
· 울리히 벡, 정일준(역), 2000, ꡔ적이 사라진 민주주의ꡕ, 새물결.
· 월러스틴, 강문구(역), 1996, ꡔ자유주의 이후ꡕ, 당대.
· 정보통신윤리위원회, 2002, ꡔ정보통신윤리백서ꡕ, 정보통신윤리위원회.
· 이봉철, 1994, ꡔ포스트모던 변화와 정치사상ꡕ, 인간사랑.
· 정재왈(외), 2002, ꡔ세계 지식인 지도ꡕ, 산처럼.
· 정정호·강내희, 1989, ꡔ포스트모더니즘론ꡕ, 터.
· 정헌주, 1996, 「현대 탈계급화이론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사회학과 문학박사학위논문.
· 칼리니스쿠, 이역욱(역), 1998, ꡔ모더니티의 다섯 얼굴ꡕ, 시각과언어.
· 토플러, 김진욱(역), 1992, ꡔ제3의 물결ꡕ, 범우사.
· 테리 이글턴, 김준환(역), 2000, ꡔ포스트모더니즘의 환상ꡕ, 실천문학사.
· 피에르 부르디외, 김주경(역), 2002, ꡔ세계의 비참ꡕ, 동문선.
· 피터 칼버트, 김동택(역), 2002, ꡔ혁명ꡕ, 이후.
· 홍성민, 2004, ꡔ피에르 부르디외와 한국사회: 이론과 현실의 비교정치학ꡕ, 살림.
· 황주홍, 2002, ꡔ미래학 산책ꡕ, 조선일보사.
· 2) 논문자료
· 강성학, 1994, 「역사의 종말과 포스트모던 국제정치: 20세기 말 지성적 위기의 철학적 배경을 중심으로」, ꡔ계간사상ꡕ, 여름호.
· 구범모, 1995, 「포스트모더니즘과 한국정치학의 전망」, ꡔ정신문화연구ꡕ, 제18권 2호.
· 김동택, 2003, 「정치이념: 민주주의의 취약함, 무엇으로 메울 것인가」, ꡔ역사비평ꡕ, 여름호.
· 김영필, 1998, 「포스트모던적 반란-그후(?)」, ꡔ철학연구ꡕ 제65집.
· 김용찬, 2000, 「니체와 포스트모더니즘」,ꡔ정치사상연구ꡕ 2집.
· 김진철(외), 1998, 「현대 사회과학의 패러다임 위기: 사회과학의 제패러다임의 위기와 주요 쟁점들」, ꡔ사회과학연구ꡕ 제6호.
· 민은경, 2003, "고대와 근대 논쟁: 템플과 워튼의 중국관을 중심으로", ꡔ영국연구ꡕ, 9호.
· 박성진, 2003, 「한국 사회 신뢰의 악순환과 민주주의의 공고화」, ꡔ동향과 전망ꡕ, 58호.
· 박주원, 2004, 「한나 아렌트와 칼 마르크스의 대의제 민주주의 비판」, ꡔ철학과 현실ꡕ, 제61권.
· 박종식, 2002, 「칸트철학과 리요타르의 포스트모더니즘」, ꡔ칸트연구ꡕ, Vol. 10.
· 박호성, 2002, 「자유주의적 인간론 서설」, ꡔ사회과학연구ꡕ 제10집.
· 양종근, 2002, 「포스트주의의 허와 실」, ꡔ문예미학ꡕ, 제9호.
· 양해림, 「포스트모더니즘의 정의와 이성비판: 반성적 고찰과 관련하여」, ꡔ강원인문논집ꡕ, 제7집.
· 양해림, 1998, 「과학기술시대에 이성비판: 호르크하이머와 아도르노의 ꡔ계몽의 변증법ꡕ을 중심으로」, ꡔ범한철학ꡕ.
· 엄태동, 1997, 「반정초주의적 교화의 철학으로부터 온 초대장: 교육적 인식론의 매력과 의의」, ꡔ교육원리연구ꡕ 2권 1호.
· 윤건차, 2001, 「현대 일본에서의 “포스트모던”과 국가」, ꡔ문화과학ꡕ, 26호.
· 이동수, 2000, 「포스트모더니즘과 한국 현대 정치사회의 이중성」, ꡔ정치사상연구ꡕ 3집.
· 이영애, 1996, 「성 정치학의 포스트모더니즘적 조망」ꡔ한국정치학회보ꡕ, Vol. 30, No. 3.
· 이재열, 1998, 「민주주의 사회적 신뢰, 사회적 자본」, ꡔ계간사상ꡕ, 66집.
· 이현복, 2000, 「모던과 포스트모던의 논쟁: 거인의 어깨위에 앉아 있는 난장이?」, ꡔ문화과학ꡕ, 제22호.
· 조희연, 2002, 「‘제2기 민주화’ 단계의 구조적 의미와 개혁담론의 방향」, ꡔ2002 대선 평가 토론회ꡕ, 2002 대선 교수네트워크, (2002, 12. 23)
· 진중권, 2000, 「근대적인, 너무나 근대적인 우리의 포스트모던에 관하여」, ꡔ문화과학ꡕ, 제22호.
· 최문규, 1992, 「포스트모더니즘과 장엄합의 미학-칸트와 리요타르를 중심으로」, ꡔ문학과 사회ꡕ, 제19집.
· 최종욱, 1990, 「탈근대 - 또 하나의 이데올로기인가 아니면 이데올로기의 해체인가?」, ꡔ철학과 현실ꡕ, 제7권.
· --------, 1994, 「탈현대론의 한국적 수용에 대한 비판적 소론」, ꡔ“포스트논쟁”과 사회의식 연구ꡕ, 한국정신문화연구원.
· --------, 1998, 「‘비판이론’과 ‘포스트 모던 철학’에서의 주체의 문제: 프랑스 ‘신철학’을 중심으로」, ꡔ어문학논총ꡕ, Vol. 17.
· 홍원표, 1996, 「포스트모더니즘과 정치공동체: 배제·과잉·균형의 정치」, 한국정치학회 96년 연례학술논문집 2.
· 홍태영, 2004, 「대의제민주주의와 정쟁의 구조화: 서구의 경험」, ꡔ철학과 현실ꡕ 제61권.
· 황주홍, 1993, 「민주주의와 소유집착적 개인주의」, ꡔ사회비평ꡕ 제9호.
· --------, 2002, 「자유주의의 문제: 탈 자유주의적 자유주의의 관점」, ꡔ정치사상연구ꡕ, 7집.
· 황태연, 1992, 「포스트모더니즘적 근대비판의 비판적 고찰: Jeremy Bentham의 정치기획에 대한 Michel Foucault의 ‘계보학적’ 분석을 중심으로」, ꡔ한국정치학회보ꡕ, Vol. 26, No. 2.
· 영 문
· Barber, Benjamin, 1998, “Three Scenarios for Future of Technology and Strong Democracy,” Political Science Quarterly, Vol. 113 No. 4.
· --------, Benjamin R., 2001, “How to Make Society Civil and Democracy Strong,” in The Global Third Way Debate, eds., by Anthony Giddens, Polity Press.
· Baron, Stephen, ed., 2000, “Social Capital: A Review and Critique,” Social Capital, Oxford University Press.
· Barss, Patchen, 2004, This Magazine, May-June, Vol. 37.
· Bellamy, Richard & R. J. Barry Jones, 2000, “Globalization and Democracy―an after word,” in Global Democracy, ed., by Barry Holden, Routledge.
· Birch, Anthony H., 2001, “Globalization and The National State,” Concepts & Theories of Modern Domocracy, Routledge.
· Brzezinski, Zbigniew, 2000, “Epilogue: Democracy`s Uncertain Triumph,” in Marc F. Plattner & Aleksabder Smolar eds., Globalization, Power, and Democracy,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 Cahoone, Lawrence, 2003, From Modernism to Postmodernism, Blackwell.
· Chambers, Somone & Jeffrey Kopstein, 2001, “Bad Civil Society,” Political Theory, Vol. 29, No. 6.
· Cohen, Jean, 2001, “Trust, Voluntary association and workable democracy: the contemporary American discourse of civil society,” Democracy and Trust, Cambridge University Press.
· Collier, David and Steven Levitsky, 1997, “Democracy with Adjectives,” World Politics, 49(3),
· Cosgrove, Lisa, 2003, “Femism, Postmodernism and Psychological Research,” Hypatia, Vol. 18, No. 3.
· Crook, S., J. Pakulski and M. Waters, 1992, Postmodernization: Change in Advanced Society, Sage,
· Deutsch, Eliot, eds., 1991, Culture And Modernity, University of Hawaii Press.
· Fukuyama, Francis, 2002, “Has History Started Again?,” Policy, winter.
· Giddens, Anthony, 2000, The Third Way and its Critics, Polity Press.
· Gordon, Daniel, eds., 2001, Postmodernism and the Enlightenment: New Perspectives in Eighteenth Century French Intellectual History, Routledge.
· Haber, Honi Fern, 1994, Beyond Postmodern Politics, Routledge.
· Habermas, Jurgen, 1981, “Modernity versus Postmodernity,” New German Critique, Vol. 22.
· Hardin, Russel, 1999, Liberalism, Constitutionalism, and Democracy, Oxford University Press.
· Harvey, David, 1989, The Condition of Modernity: An Enquiry into the Origins of Cultural Change, Oxford, Blackwell.
· Hollinger, Robert, 1994, Postmodernism and the Social sciences, Sage Publications.
· Horkhimer, Max, 1972, “Traditional and Critical Theory,” Critical Theory: Selected Essays, trans, O`Connell, Matthew, et al., Herder and Herder.
· Huyssen, Andreas, 1998, “Mapping the Postmodern,” in Postmodernism Critical Concepts, Vol II, Routledge,
· Inglehart, Ronald, 1997, Modernization and Postmodernization: Cultural, Economic, and Political Change in 43 Socities, Princeton University Press.
· Leiss, William, 1988, C. B. Macpherson: Dillemmas of Liberalism and Socialism, St. Martin`s Press.
· Macpherson, C. B., 1973, Democratic Theory: in Retrieval, Oxford University Press.
· Montgomery, John D. & Alex Inkeles eds., 2001, Social Capital as a Policy Resource, Kluwer Academic Publishers.
· Paul, R. Abramson, R. & Ronald Inglehart, 1995, Value Change in Global Perspective, Th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 Poster, Mark, 1989, Critical Theory and Poststructuralism, Cornell University Press.
· Putnam, Robert D., 1993, Making Democracy Work: Civic Traditions in Modern Italy, Princeton University Press.
· ----------, Robert D., 2000, Bowling Alone: The Collapse and Revival of American Community, Touchstone.
· Taylor, Bill, 2001, “Trade unions and social capital in transitional communist states: The case of China,” Social Capital as a Policy Resource, Kluwer Academic Publishers.
· Vincent, Andrew, 1992, Modern Political Ideologies, Blackwell.
· Waters, Malcolm, eds., 1999, Modernity: Critical Cncepts, Vol. IV, Routled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