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러시아의 확대와 시베리아 개발 - 역사적 배경과 문제점

러시아의 확대와 시베리아 개발을 역사적 배경과 문제점을 중심으로 연구보고 했습니다. 많은 서적을 참고하여 작성하였으므로 많은 도움이 되리라 생각됩니다. 주석도 꼼꼼히 달았습니다.
45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08.02.16 최종저작일 2008.02
45P 미리보기
러시아의 확대와 시베리아 개발 - 역사적 배경과 문제점
  • 미리보기

    소개

    러시아의 확대와 시베리아 개발을
    역사적 배경과 문제점을 중심으로 연구보고 했습니다.
    많은 서적을 참고하여 작성하였으므로 많은 도움이 되리라 생각됩니다.

    주석도 꼼꼼히 달았습니다.

    목차

    1. 머리말

    2. 러시아의 확대
    1) Why? - 발제의 가치.
    2) How? - 러시아의 확대변천과정에 대한 선로(船路)
    - 전환시점으로의 진행변화(연혁)
    - 문제점

    3. 시베리아 개발에 대한 고찰
    1) Why? - 발제의 가치.
    2) 역사적 배경(개발과정)
    - 고르바초프의 시베리아․극동지역의 개발
    - 체제전환기의 시베리아․극동 개발
    - 푸틴 정부의 시베리아․극동지역 개발전략
    3) 시베리아 개발의 잠재력과 장애요인(문제점)
    <참고> 시베리아 철도(연결)의 기대효과

    4. 맺음말

    ※ 사용된 프로그램
    ※ 참고문헌 및 논문, 학회지

    본문내용

    1. 머리말

    세계의 초강대국으로 미국과 어깨를 나란히 하던 소련이 붕괴되고, 새로운 러시아가 부상한 지도 15년이 지났다. 새로운 러시아가 부상한 이후 그동안 러시아 사회와 정치는 급변하여 왔다. 소련 붕괴의 주역이었던 옐친은 퇴장하고, 13년 전에는 무명 인사였던 푸틴 대통령이 현재는 그 거목의 자리를 차지한지 오래다. 의사당에 포탄을 퍼부어 권력투쟁을 끝냈는가하면, 대외부채에 대한 지불불능 상태에서 순식간에 상당한 성장경제로 전환되었고, 옐친이 스스로 조기 은퇴하고 푸틴이 대권을 잡았다는 것 등 러시아 사회는 연구자들의 상상력을 초월하는 연속된 변화를 겪었다. 전통적으로 러시아를 곰(bear)에 비유하여 왔었는데, 요즘 이 곰은 동면을 하기는커녕 쉴 사이 없이 뛰고 있어 연구자들이 추적하기 어려운 목표물이 되고 있다고 한다.

    (생략)

    이 시점에서 러시아의 정치*지리적 확대와 그 확대의 적환점을 이어주었던 시베리아 개발에 대한 고찰이 필요함은 이번 발제의 가치를 돋보이게 할 만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즉, 정치적 급변과정에서의 역동적인 러시아의 확대를 전환시점에 대해 연혁별로 그 흐름을 파악함은 물론이며, 문제점에 대한 고찰을 해보았다. 더불어 시베리아 개발에 대한 고찰을 역사적 배경과 효과, 문제점에 대한 보편적 관점으로 파악해 봄으로서 그 시사성에 대한 충분한 의미를 찾아보도록 노력했다.


    2. 러시아의 확대
    1) Why? - 발제의 가치.
    “러시아의 확대”는 굴곡이 많고 장황한 러시아의 역사에 틀을 두고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어떠한 역사에 따라 그 확대변천과정은 어떠하였는가를 아는 것은 다음 4가지의 가치성에 의해 근거될 수 있다고 정리해 보았다.
    첫째, 러시아는 유럽과 아시아 대륙에 걸쳐 지구 표면의 8분의 1이 넘는 거대한 영토라는 점에서 지리적으로 영향력이 미치는 범위가 넓다는 것이다. 둘째, 100여 개의 여러 민족들이 살고 있는 복합 다민족 국가라는 점에서 다양성과 문화의 복합성을 고려한 접근용이성, 체제 합일화의 어려움, 가치관의 충돌로 이어지는 여러 종합적 메커니즘이 생성과 소멸한다는 점이다. 예컨대, 문화의 다채롭고 역동적 측면과 험난한 역사를 들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러시아는 때로 동쪽과 서쪽으로 나뉘어 분열하고 때로는 양쪽을 잇는 국가를 건설하면서 융합을 거부하는 다양한 민족이 거대한 인종의 항아리를 형성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넷째, 소연방 해체로 소비에트 시대 그 자체뿐만 아니라 그 이전의 러시아역사에 대한 관심이 크게 증가했다는 점이다.

    참고자료

    · ※ 참고문헌 및 논문, 학회지
    · ⋅강윤희 외, 『러시아학 입문』, 인간사랑, 2006
    · ⋅신범식 편, 『21세기 유라시아의 도전과 국제관계』, 한울아카데미, 2006
    · ⋅원학희, 한종만, 공우, 『러시아의 지리』, 서울: 아카넷, 2002.
    · ⋅이철, 시베리아 개발사(대우학술총서 인문사회과학43) , 민음사, 1990.
    · ⋅임덕순, 「정치지리학 원리」, 서울 : 법문사. 1997,
    · ⋅하용출 편, 『러시아의 선택』, 서울대학교출판부, 2006
    · ⋅한종만, 『시베리아*극동지역의 자연*인문 지리적 특성』, <한국시베리아 연구>, 1996.
    · ⋅한종만*성원룡, 『21세기 러시아의 시베리아*극동지역 개발전략에 관한 연구』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1.
    · ⋅Department of Economic and Social Affairs Population Division (2006). "World Population Prospects, Table A.2" (.PDF). 2006 revision. United Nations. Retrieved on 2007-06-30.
    · ⋅Map of the city of Moscow, Russia, 1784, from Travels into Poland, Russia, Sweden, and Denmark. William Coxe, A.M. and F.R.S. (1784). D965.C6 vols. 1-2.
    · ※ 참고 Internet Web Site
    · ⋅http://www.mid.ru/ - Министерство иностранных дел России, МИД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of Russia, 러시아 외무부)
    · ⋅http://president.kremlin.ru/ - Президент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kremlin, 러시아 정부의 대통령 사이트, 크레믈린)
    · ⋅http://en.wikipedia.org/wiki/Siberia -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위키페디아 리서칭 프리웹사이트)
    · ⋅www.flickr.com/ - (Share your photos. Watch the world. 플리커, 세계포토공유)
    · ⋅http://www.moscowtimes.ru/ (The Moscow Times, 모스크바 타임즈)
    · ⋅http://www.libraries.uc.edu
    · ⋅http://www.mofat.go.kr/ (주한 러시아연방 재외공관)
    · ※ 첨부된 서식의 출처
    · ⋅Конституция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Статья 65 (Constitution of Russia, Article 65). In 1993,
    · ⋅http://www.mid.ru/bul_newsite.nsf/karta
    · ⋅http://president.kremlin.ru/eng/photoalbums/detail45821.shtml?page=3
    · ⋅http://en.wikipedia.org/wiki/Image:Siberia_Federal_Subjects.png
    · ⋅http://www.flickr.com/photos/elizabethsalib/399158778/
    · ⋅http://www.libraries.uc.edu/libraries/arb/archives/exhibits2/travel/FrameSet.html
    · ⋅http://maps.google.com/maps?hl=ko&t=h&ie=UTF8&ll=55.755786,37.617633&spn
    · =0.305246,0.925598&z=10&om=1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는 과제에 적용할 수 있는 유용한 내용이 많아,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함께 구매한 자료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