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LD
GOLD 등급의 판매자 자료

의부전록 123두문 頭痛脈法 나경보위생보감 위역림득효방 명서춘보고금의통

의부전록 123두문 頭痛脈法 나경보위생보감 위역림득효방 명서춘보고금의통의 원문 및 한글번역
11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08.01.28 최종저작일 2008.01
11P 미리보기
의부전록 123두문 頭痛脈法 나경보위생보감 위역림득효방 명서춘보고금의통
  • 미리보기

    소개

    의부전록 123두문 頭痛脈法 나경보위생보감 위역림득효방 명서춘보고금의통의 원문 및 한글번역

    목차

    주진형 단계심법
    두통맥법頭痛脈法 대두병
    나경보위생보감
    두통 두풍 두종
    위역림득효방
    두통 맥법
    명서춘보 고금의통
    두통 두통대법분내외지인 분경용약치두통법 현운의심삼허 현운의심사기 진추약치현운수분표본

    본문내용

    眩運宜審四氣
    현운은 4기를 살펴야 한다.

    眩運挾風則有汗,寒則掣痛,暑則熱悶,濕則重滯,此四氣乘虛而眩運也。
    현운은 풍을 끼고 땀이 나니 한증이면 당기고 아프며, 서증이면 열로 답답하고 습증이면 무겁고 정체하니 이 4가지 기가 허증을 타고 현운한다.
    七情鬱而生痰動火,氣因上厥,此七情致虛而眩運也。
    7정의 울체면 담을 생겨 화를 동요케 하니 기가 상궐에 기인하니 이 7정이 허증이 되어 현운한다.
    淫慾過度,腎家不能納氣歸元,使諸氣逆奔而上,此氣虛眩運也。
    음욕이 과도하면 신병환자가 기를 납입하여 근원에 돌아가게 하지 못하고 여러 기를 상역하여 달아나 올라가게 하니 이는 기허로 현운함이다.
    吐血或崩漏,肝家不能收攝勞氣,使諸血失道,此血虛眩運也。
    토혈과 혹은 붕루가 되니 간병 환자는 노기를 수렴해 조섭하지 못하고 여러 혈이 길을 잃게 하니 이는 혈허하여 현운함이다.
    要尋致病之因,隨機應變其間,以鎮墜下行爲最,不可妄施汗下。
    요점은 병의 원인을 살핌이니 틀을 따라서 변화에 반응하는 사이에 다스려 무겁게 하고 하행함이 최상이니 망령되이 발한과 사하를 시행하지 말라.
    《玉機微義》云:眩運一證,皆稱爲上盛下虛所致,而不明言其所以然之故。
    옥기미의가 말하길 현운의 한 증상은 모두 칭하길 위는 성대하고 아래는 허하기 때문이니 그런 까닭을 분명하게 말하지 못한다.
    夫所謂虛者,氣血虛也;
    이른바 허증은 기와 혈이 허함이다.
    所謂盛者,痰涎風火也。
    이른바 성함은 담연과 풍화이다.
    原病之由,有氣虛者,乃清氣不能上升,或汗多亡陽,當升陽補氣;
    원 병의 유래가 기허가 있으니 청기는 상승하지 못하고 혹은 발한이 과다한 망양이니 양을 상승하고 기를 보한다.
    有血虛者,乃因亡血過多,陽無所附,當益陰補血,此皆不足之證。
    혈허가 있으면 망혈이 과다함에 기인하고 양이 붙음이 없으니 음을 더하고 혈을 보함이니 이는 모두 부족한 증상이다.
    有因痰涎鬱遏者,宜開痰導鬱,重則吐下;
    담연이 울체하여 막음에 기인하고 담을 열고 울체를 인도하니 중증이면 구토하고 사하한다.
    有因風火所動者,宜清上降火;
    풍화로 동요함에 기인하면 상부를 맑게 하고 화를 내린다.
    有因外感而得者,嚴氏雖分四氣之異,皆當散邪,此皆有餘之證也。
    외감에 기인하여 얻으면 엄용화가 비록 사기의 차이를 구분하니 모두 사기를 흩어지게 하니 이는 모두 유여한 증상이다.

    鎮墜藥治眩運須分標本
    진추약으로 현운을 치료하는데 표와 본을 구분해야 한다.

    世所謂氣不歸元,而用丹藥鎮墜,沉香降氣之法。
    세상에 이른바 기가 근원에 돌아가지 못하고 단약을 사용하여 다스려 떨어지게 함이니 침향의 강기의 방법을 사용한다.
    香燥散氣,其不歸之氣,豈能因此而復耶?
    향기나고 건조하여 기를 흩어지게 함은 어찌 이에 기인하여 회복하는가?
    凡用鎮墜,所謂急則治其標也。
    진추약을 사용함은 이른바 급하면 표를 치료함이다.
    若謂使氣歸元,必無是理。
    만약 기를 근원에 돌아가게 한다고 하면 반드시 이런 이치가 없다.
    既曰歸元,豈肯復作?
    이미 근원에 돌아간다고 말했는데 어찌 다시 생김을 긍정하는가?
    凡鎮墜少止又復眩者,此氣未歸元而未治其本也。
    진추는 조금 중지하면 다시 현훈이 일어나니 이는 기가 근원에 돌아가지 못함이니 아직 근본을 치료하지 못했다.
    要氣歸元,必求其本緩而治之。
    기가 근원에 돌아감이니 반드시 근본의 완만함을 구하여 치료한다.
    經曰:百病皆生於風寒暑濕燥火之動而爲變者。
    내경에서 말하길 모든 병이 모두 풍한서습조화의 동요에 기인하여 변화가 된다.
    岐伯歷舉病機一十九條,而屬火者五,此非相火爲病之出於臟腑者乎?
    기백의 여러 병기 19조를 들어서 화에 속함이 5가지이니 이는 상화가 병이 장부에서 나오지 않음인가?
    考諸《內經》少陽病爲瘛瘲,太陽病時眩仆,少陰病瞀暴瘖鬱,冒不知人,非諸熱瞀瘛之屬火者乎?
    내경의 소양병이 계종이 되고, 태양병일 때는 어지러워 넘어지고, 소음병이면 눈이 멀고 갑자기 말을 못하고 울체하여 혼모하여 사람을 알아보지 못한다고 고려되니 여러 열로 시력장애와 계종이 화에 속함이 아니겠는가?
    少陰嘔逆,厥氣上行;
    소음병 구역은 궐기가 상행한다.
    膀胱病衝頭痛;
    방광병은 충두통이다.
    太陽病厥氣上衝胷,少腹,控睪引腰脊,上衝心;
    태양병은 궐기가 가슴과 소복에 상충하여 고환을 당겨 허리와 척추를 당기며 위로 심장에 상충한다.
    少陰病氣上衝胷嘔逆,非諸逆衝上之屬火者乎?
    소음병은 기가 가슴에 상충하여 구역하니 상역하고 상충하는 화에 속함이 아닌가?
    頭目眩運,眼前黑暗,如坐舟車兀兀欲吐者,痰也。
    머리와 눈이 현운하고 눈 앞에 검은 어둠이 있음은 마치 배와 수레에 앉아서 올올하여 토하려고 함과 같으니 담이다.
    消渴數飲,其人必眩,背寒而嘔者,因利虛故也。
    소갈로 몇가지를 마시면 사람이 반드시 현운하니 등이 차고 구토하며 하리에 기인하여 허하기 때문이다

    참고자료

    · 의부전록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는 는 매번 기대 이상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특히, 다양한 주제를 깊이 있게 다루고 있어 학습할 때 지루함을 느끼지 않습니다. 학업에 적용할 수 있는 유용한 팁들이 많아, 학습한 내용을 실제로 활용할 수 있어 매우 만족스럽습니다. 앞으로도 계속해서 이 지식판매자의 자료를 이용할 생각입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18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