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inda Brannon & Jess Feist(2002). 『 건강심리학 』. Thomson
· 앨버트 엘리스ㆍ잭 고돈ㆍ미첼 나난ㆍ스테픈 발머 공저 『 스트레스 상담;인지ㆍ정서ㆍ행동 적 접근』, 민지사
· 김순실(2002), 「여자대학원생의 스트레스 수준과 반응양상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김윤리 외(2002), 정상인에서 측정한 바이오피드백의 정신생리학적 특성.「수면ㆍ정신 생리」.9(1), 61-67.
· 김지수 외(1997), 국내 긴장형 두통의 역학 및 임상특성 연구, 「대한신경정신과학회지」,15(3), 615-623.
· 백기청(1991), 스트레스와 생활사건, 정신건강 연구, 10, 10-36
· 점겸구(1992), 신체 병리에 대한 심리치료적 접근; 심리치료연구, 2, 28-35
· 노재규 외(1997), 국내 편두통의 역학 및 임상 특성 연구, 「대한신경과학회지」,15,1-18.
· 박은영(1999), 두통집단의 완벽주의 성향, 스트레스 강도, 대처방식 특성:남녀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손애리ㆍ장경자(1995), 만성 두통 집단의 심리적 특성 분석.
· 조현섭(1988), 긴장성 두통에 미치는 내외 통제감, 장기효율성 및 우울수준에 미치는 바이 오피드백의 효과,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이지영ㆍ손정락, EMG바이오피드백 훈련과 인지치료가 긴장성 두통환자의 두통감소, 자기 효율성 및 건강내외 통제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임상심리학회지, 12, 94-107.
· 한인순ㆍ손정락, 긴장성 두통에 미치는 EMG biofeedback과 이완훈련의 상대적 효과, 한국 심리학회지,6, 10-20.
· 최현림(2004), 두통과 스트레스, 대한스트레스학회지, 12, 29-34.
· 박주언, 유범희(2004), 편두통:정신과적 문제와 바이오피드백 치료.「두통」,5(1),10-22.
· 이태규 외(2000), 한국 성인에서의 편두통 유병률 조사 연구,「두통」,1,57-66.
· 오명옥(2002), 「만성두통환자의 스트레스 지각, 대처방식, 우울간의 관계 연구」, 고려대학 교 석사학위 논문.
· 장명선(2004), 「바이오피드백 훈련이 만성 두통 환자의 스트레스 반응에 미치는 효과」,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 최소영(2003), 「진단유형과 유병기간별 두통환자의 심리 사회적 특성」, 계명대학교 석 사학위논문.
· 김경의(1994), 「두통환자들의 MMPI 반응특성」,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손애리(1994), 「만성 두통 집단의 심리적 특성 분석」,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유성은(1997), 「완벽주의적 성향, 사회적 지지,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방식이 중년 여성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이별인(1992), 두통, 대한통증학회지:5, 2, 188-198.
· Arena, J, G., Hobbs, S.H.(1995), Reliability of psychophysiological responding as a function of trait anxiety, 「Biofeedback and self regulation」,20(1),19-37.
· Bussone, G., Grazzi, L., D`Amico, D., Leone, M., Andrasik, F.(1998) Biofeedback-assisted relaxation training for young adolescents with tension-type headache: a controlled study, 「Cephalalgia」,18(7),463-467.
· Adler, C, S., & Adler, S. M.(1987), Clinical and Psychodynamic aspects of tension headache. In Williams & Wilikins(Eds.), Psychiatric Aspects of Headache, 111-130.
· Bilings, A. G., & Moos, R. H.(1982). The role of coping responses and social resources in attenuating the stress of life events. Journal of Behavioral Medicine, 4, 157-189.
· Blanchard, E. B., & Andrasik, F.(1984). Psychological assesment and treatment of headache: Recent development and emerging issue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50, 859-879.
· Donald, G, F., Randy, R., Allison J. O.(1993), Headache on College Students: A Comparison of Four populations. Headach, 33, 182-190.
· Kowal, A.,(1990), Pst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ho siffer from Headache: A Research Note,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11, 4, 637-649.
· Lzarus, R, S., & Folkman, S.(1984),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ew York: Springer Publishing Company.
· Van den Bree, M. B. M., Passchier, J, & Emmen, H. H. (1990). Influence of Quality of life and stress coping behavior on Headaches in Adolescent Male students: an Explorative Study. Headache, 30, 165-1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