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4.3 항쟁 레포트
- 최초 등록일
- 2007.12.11
- 최종 저작일
- 2007.12
- 1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제주 4.3 항쟁 관련 레포트입니다.
목차
※ 제주4.3항쟁 /목 차
제주4.3항쟁의 원인, 경과, 결과‥‥‥‥‥‥‥‥‥3
4.3 항쟁 관련 사진 자료‥‥‥‥‥‥‥‥‥‥p5
4.3 항쟁 인명 피해 조사 현황‥‥‥‥‥‥‥‥‥p7
문답으로 보는 4.3 항쟁‥‥‥‥‥‥‥‥9
제주4.3항쟁 대통령 발표문‥‥‥‥‥‥‥‥‥p10
제주 4.3 항쟁 학습 자료‥‥‥‥‥‥‥‥‥11
연표로 보는 4.3 항쟁‥‥‥‥‥‥‥‥‥‥p13
제주 4.3항쟁의 원인, 경과, 결과
본문내용
제주 4.3항쟁의 원인
먼저 제주 4.3항쟁에 관해 간단히 설명하자면 1948년 4월3일, 새벽 1시경 김달삼(제주 4.3항쟁 당시 무장대 측의 군사부 책임자이자 남로당 제주도 당책)을 중심으로 500여명의 무장대가 11개의 지서 및 서청, 대청 우익단체 요인의 집을 습격하면서 시작된 무장봉기이다.
시간을 거슬러 그 이면을 보자면 제 2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과 소련으로 분할되던 제주도의 정치․경제․사회적 여건, 저항의 역사를 총체적으로 살펴봐야 할 것이다. 크게 정치, 경제, 사회적 여건을 고려한 3분류의 측면을 중심으로 그 요인을 간단히 알아보자.
우선 정치적인 측면으로, 해방 후 제주도는 주민자치기구인 인민위원회가 부정되고 미군정이 들어선 뒤 친일파, 모리배들이 여전히 활개를 쳤다. 이에 더해 친일경찰 뿐만 아니라 서북청년회라는 테러단체까지 가세한 만행으로 도민의 삶은 오히려 일제시대보다 더욱 힘들게 되고 도민들에게 실망과 좌절감을 안겨 주었다. 3.1 발포사건 이후 4.3항쟁의 발발 직전까지 1년동안 도민 2,500여 명이 구금되었고 특히 1948년 3월 경찰에 의한 3건의 고문치사 사건이 발생하면서 민중의 불만도 더욱 거세어 갔다. 그런 상황 속에서 이 모든 불행의 원인이 친미 단독정부를 수립하려는 미국과 이승만 세력의 야욕 때문이라는 정치적 주장이 점점 설득력을 얻어 가게 된 것이다.
경제적 측면 또한 중요하다. 인구급증으로 인한 실업문제, 계속되는 흉년과 미군정의 반강제적인 곡물수집 정책, 일본에서의 송금 중단, 대일교역의 금지로 인한 생필품 부족 등이 도민의 삶을 육체적이나 정신적으로 피폐하게 만들어 갔다.
사회적 측면에서 볼 때, 해방 직후 귀환 인구의 급증은 사회변화의 큰 요인이 되었다. 일본에서의 귀환 및 징병․징용에서의 귀환이 6만 인구의 증가를 가져오고 해외에서 얻은 노동운동의 경험과 선진사상의 유입, 실업문제는 사회변동의 잠재적인 요인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당시 유행했던 전염병(콜레라)도 민심을 불안하게 한 하나의 요소가 되었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