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자가면역질환 : 당뇨병과 류머티즘

자가면역질환에 대한 리뷰 논문 형식의 레포트입니다.
35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07.12.11 최종저작일 2007.05
35P 미리보기
자가면역질환 : 당뇨병과 류머티즘
  • 미리보기

    소개

    자가면역질환에 대한 리뷰 논문 형식의 레포트입니다.

    목차

    ABSTRACT
    1. 서론
    1.1. 자가면역질환의 정의
    1.2. 자가면역질환의 원인 및 발생 기전
    1.3. 자가면역질환의 종류 및 일반적 증상
    1.3.1. 장기 특이적 자가면역질환(organ specific autoimmune disease)
    1.3.2. 전신성 자가면역질환(systemic autoimmune disease)

    2. Type 1 Diabetes Mellitus
    2.1. Type 1 Diabetes Mellitus 의 발병기전
    2.1.1. 유전적 감수성
    2.1.2. 자가 반응 임파구 (autoreactive lymphocyte)의 발생
    2.1.3. 자가 반응 임파구의 양적 증폭 및 질적 변화
    2.1.4. 자가반응 임파구에 의한 islet cell 의 파괴
    2.1.5. 임상적 당뇨병의 발생
    2.2. Type 1 Diabetes Mellitus 의 주요 증상
    2.3. Diabetes Mellitus 의 합병증
    2.3.1. 만성 합병증
    2.3.2. 급성 합병증
    2.4. Type 1 Diabetes Mellitus 의 치료방법

    3. Rheumatism
    3.1. Rheumatoid arthritis, RA
    3.2. Rheumatoid arthritis 의 발현양상
    3.2.1 활액막내 T cell 및 림프구의 대량 침윤
    3.2.2 Rheumatoid factor(RF)의 축적
    3.3. Rheumatism 의 주요증상

    4. 최근 자가면역질환 연구 동향

    5.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외부의 병원체나 내부의 비정상 세포들을 제거함으로서 개체를 건강하게 유지하고 세포의 재순환과정에 관여하여 항상성 유지에 기여하는 면역체계는 정상상태에서는 건강을 유지하는데 필수적이지만 그 조절이 교란되어 self / non-self에 대한 인식에 오류가 생기면 자가 항원에 반응함으로서 정상세포들을 공격하고 이로서 생명에 치명적인 손상을 가져오기도 한다.
    이러한 자가 면역반응으로부터 나타나는 여러 가지 자가면역질환은 오래전부터 연구되어져온 질병들 중 하나이며 사회가 점차 발달해가고 환경이 오염됨에 따라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는 질환이다. 또한 최근 분자생물학적인 연구방법들의 발달에 의해 그 연구가 더욱 활발해져가는 추세이다.
    자가면역질환은 국소적인 증상으로서 가볍게 나타나는 정도에서부터 생명을 위협하는 수준에 이르기까지 여러 가지 형태로 나타나며 작용범위 및 형태에 따라 여러 가지로 분류된다. 자가면역 질환은 대부분 세포성 면역의 인식오류로서 발생되어지며 여러 가지 세포내 신호전달 기작이 관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자가면역질환의 원인과 그 과정에 대한 연구는 여러 가지 생체내 조절기작을 밝히는 데에도 중요한 의의가 있다고 보여 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자가면역반응에 대한 근본적인 치료법은 개발되어있지 않을 실정이고 그 원인과 기작 또한 불분명한 상태이다. 하지만 계속적으로 이에 대한 새로운 이론과 치료법이 개발되고 있다. 매우 심각하며 비교적 흔하게 발생되고 있는 질환임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자가면역질환에 대한 뚜렷한 해답을 찾기란 쉽지 않기 때문에 이것에 대한 연구적 중요성이 더욱 크다 할 수 있다. 여기에, 이러한 자가면역반응에 의한 질환들 중 우리가 흔히 접할 수 있으며 현재까지 비교적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온 제1형 당뇨병과 류마티즘에 관하여 조사해보았다.

    참고자료

    · 1. Voltarelli JC, Couri CE, Stracieri AB, Oliveira MC, Moraes DA, Pieroni F, Coutinho M, Malmegrim KC, Foss-Freitas MC, Simoes BP, Foss MC, Squiers E, Burt RK. / 2007 / Autologous nonmyeloablative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in newly diagnosed type 1 diabetes mellitus / JAMA / 2007 Apr 11;297(14):1568-76.
    · 2. Nelson JL, Gillespie KM, Lambert NC, Stevens AM, Loubiere LS, Rutledge JC, Leisenring WM, Erickson TD, Yan Z, Mullarkey ME, Boespflug ND, Bingley PJ, Gale EA / 2007 / Maternal microchimerism in peripheral blood in type 1 diabetes and pancreatic islet beta cell microchimerism / PNAS / 2007 Jan 30;104(5):1637-42. Epub 2007 Jan 23
    · 3. Zheng Y, Josefowicz SZ, Kas A, Chu TT, Gavin MA, Rudensky AY / 2007 / Genome-wide analysis of Foxp3 target genes in developing and mature regulatory T cells / Nature / 2007 Feb 22;445(7130):936-40. Epub 2007 Jan 21
    · 4. Marson A, Kretschmer K, Frampton GM, Jacobsen ES, Polansky JK, MacIsaac KD, Levine SS, Fraenkel E, von Boehmer H, Young RA / 2007 / Foxp3 occupancy and regulation of key target genes during T-cell stimulation / Nature / 2007 Feb 22;445(7130):931-5. Epub 2007 Jan 21
    · 5. Wan YY, Flavell RA / 2007 / Regulatory T-cell functions are subverted and converted owing to attenuated Foxp3 expression / Nature / 2007 Feb 15;445(7129):766-70. Epub 2007 Jan 14
    · 6. Gavin MA, Rasmussen JP, Fontenot JD, Vasta V, Manganiello VC, Beavo JA, Rudensky AY. / 2007 / Foxp3-dependent programme of regulatory T-cell differentiation / Nature / 2007 Feb 15;445(7129):771-5. Epub 2007 Jan 14
    · 7. Lee JW, Epardaud M, Sun J, Becker JE, Cheng AC, Yonekura AR, Heath JK, Turley SJ. / 2007 / Peripheral antigen display by lymph node stroma promotes T cell tolerance to intestinal self / Nat Immunol. / 2007 Feb;8(2):181-90. Epub 2006 Dec 31
    · 8. Robert volpe / Autoimmune diseases of the endocrine / crc press / ISBN 0-8493-6893-6849-9
    · 9. Jae-Kwon Lee*, Sung-Eun Yang / Application of Mesenshymal Stem Cell in Autoimmune Disease
    · 10. Gratwohl A, Passweg J, Gerber I, Tyndall A / Stem cell transplantation for autoimmune diseases.
    · 11. Bell GI, Horita S, Karam JH / A polymorphic locus near the human insulin gene is associated with insulin- dependent diabetes mellitus / Diabetes 33:176-83,1984 63-7
    · 12. Todd JA / 1997 / Genetics of type 1 diabetes / Pathol Biol (Paris) 45:219-27
    · 13. Jenson AB, Rosenberg HS, Notkins AL / 1980 / Pancreatic islet-cell damage in children with fatal viral infections / Lancet 2:354-8
    · 14. Bottazzo GF, Florin-Christensen A, Doniach D / 1974 / Islet-cell antibodies in diabetes mellitus with autoimmune polyendocrine deficiencies / Lancet 2:1279-83
    · 15. Myung-Sik, Lee* / 1997 / Injury and Repair of Islet Cells.
    · 16. R.C. WILLIAMS, JR. / 1996 / AUTOIMMUNE MECHANISMS INVOLVED IN THE PATHOGENESIS OF RHEUMATOID ARTHRITIS.
    · 17. Gerald Weissmann, M.D., M.A.C.R. / The Pathogenesis of Rheumatoid Arthritis.
    · 18. Aryeh M. Abeles, M.D., and Michael H. Pillinger, M.D. / The Role of the Synovial Fibroblast in Rheumatoid Arthritis - Cartilage Destruction and the Regulat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s.
    · 19. Yuji Morita, Seiya Katoh, Hideaki Watanabe, Hisao Harada, Eiji Uno. / 1992 / Rheumatoid Nodules of the Lung in a Patient with Palindromic Rheumatism.
    · 20. C W. Hutton, W. Vennart / 1995 / Osteoarthritis and magnetic resonance imaging: potential and problems / Annals of the Rheumatic Diseases 1995; 54: pp.237-243
    · 21. Hiroshi Terasaki,* Kiminori Fujimoto,* Naofumi Hayabuchi,* Yoshio Ogoh,** Takaaki Fukuda,*** and Nestor L. Müller****/ 2004 / Respiratory Symptoms in Rheumatoid Arthritis: Relation between High Resolution CT Findings and Functional Impairment / Radiation Medicine: Vol. 22 No. 3, pp.179-185
    · 22. Tissue engineering and regenerative medicine / 2005 / vol2, no.3, pp. 245-250.
    · 23. Molecular and cellular biology news / 2005 / vol17, no.2, pp. 29-36.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는 주제에 대한 깊이 있는 분석이 돋보입니다. 과제를 작성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이런 좋은 자료가 많이 등록되기를 기대합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함께 구매한 자료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08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