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가상세포

최근 시스템 생물학의 진보는 연구자들로 하여금 ‘few-reactions-based`에서 `whole-cell-based` 혹은 `whole-organ-based` 모델로의 전환을 요구하고 있다. 시스템 생물학 분야에서 날로 증가하고 있는 막대한 양의 정보와 실험적 데이터에서 새로운 지식을 도출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생물학적 시스템의 전산 모델링 및 모사가 필수적이다. 생명체와 같은 복잡한 시스템을 이해하고 응용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구성요소의 개별적 기능뿐 아니라 그들의 상호작용에 대한 이해가 필요한데 전산 모델은 전체 시스템에 대한 수식적 모사를 가능케 함으로서 동적 거동을 예측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전산 모델 및 모사에 기반을 둔 정량적 분석을 위한 다양한 모델링 프로젝트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Virtual Cell, E-Cell, MetaFluxNet 그리고 WebCell을 사례연구와 함께 소개하고 현 단계에서의 문제점과 향후 전망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21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07.11.09 최종저작일 2007.11
21P 미리보기
가상세포
  • 미리보기

    소개

    최근 시스템 생물학의 진보는 연구자들로 하여금 ‘few-reactions-based`에서 `whole-cell-based` 혹은 `whole-organ-based` 모델로의 전환을 요구하고 있다. 시스템 생물학 분야에서 날로 증가하고 있는 막대한 양의 정보와 실험적 데이터에서 새로운 지식을 도출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생물학적 시스템의 전산 모델링 및 모사가 필수적이다. 생명체와 같은 복잡한 시스템을 이해하고 응용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구성요소의 개별적 기능뿐 아니라 그들의 상호작용에 대한 이해가 필요한데 전산 모델은 전체 시스템에 대한 수식적 모사를 가능케 함으로서 동적 거동을 예측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전산 모델 및 모사에 기반을 둔 정량적 분석을 위한 다양한 모델링 프로젝트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Virtual Cell, E-Cell, MetaFluxNet 그리고 WebCell을 사례연구와 함께 소개하고 현 단계에서의 문제점과 향후 전망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목차

    Ⅰ Introduction
    Ⅱ Main discourse
    1. Quantitative Cell Biology: Systemic and integrative strategy for developing improved strains
    2. Virtual Cell
    1) A look at the Virtual Cell System
    2) A case study for quantitative cell biology with the Virtual Cell: Calcium dynamics in a neuronal cell
    3. E-CELL
    1) Program Overview
    2) A case study for quantitative cell biology with the E-Cell: E. coli osmoregulatory switch
    4. MetaFluxNet
    1) Program overview
    2) A case study for MFA with MetaFluxNet: Mannheimia succiniciproducens
    5. WebCell
    1) System overview
    2) Unique feature

    Ⅲ Conclusion
    1. Future challenges
    2. Concluding Remarks
    Ⅳ References

    본문내용

    (1) Virtual Cell is a computational environment designed for cell biologists to facilitate the construction of models and the generation of predictive simulations from them, providing a formal framework for modeling biochemical, electrophysiological, and transport phenomena while considering the subcellular localization of the molecules that take part in them.[5] (2) E-CELL is a computational system for constructing whole cell models and allows the user to perform multi-algorithm calculations by incorporating both deterministic[2-3](which give more accurate pictures of metabolic and regulatory behavior but currently limited by the lack of kinetic data) and stochastic models(based on the steady state of a system by excluding the time-dependent characteristics of variables[6]), which are also provided in CellWare.[7] (3) MetaFluxNet is a program package for managing information on the metabolic reaction network[8] and for quantitatively analyzing metabolic fluxes in an interactive and customized way, allowing users to interpret and examine metabolic behavior in response to genetic and/or environmental modifications.[9-12] (4) WebCell, which is complementary to the MetaFluxNet, is a web-based environment for managing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information on cellular networks and for interactively exploring their steady-state and dynamic behaviors in response to systemic perturbations. (5) GEPASI has been one of the most widely used programs for dynamic simulation and metabolic control analysis.[11] (6) Jarnac/Scamp allows dynamic simulation, steady-state analysis and metabolic control analysis, and provides an interface to the Systems Biology Workbench(SBW). (7) DBSolve can handle both ordinary differential equations and non-linear algebraic equations with improved numerical solution algorithms. (6) BioSpice is a more recently developed modelling framework for metabolic as well as genetic networks with particular strengths in analyzing prokaryotic genetic circuits. (7) StochSim permits the user to follow individual molecules in a regulatory pathway through stochastic simulations. (8) MCell is another stochastic simulator that is designed for the study of subcellular processes such as synaptic transmission and is the only system other than Virtual Cell that can explicitly accommodate structural information. (9) CellWare offers a multi-algorithmic environment for modeling and simulating both deterministic and stochastic events in the cell. (10) A-Cell is a tool for constructing comprehensive models for complex and complicated biochemical reactions with commonly used graphical expressions by importing previously constructed models and combining them.[13]

    참고자료

    · [1] 노성환 et al. (2006) 진핵세포의 시스템 생물학 연구. Molecular and Cellular Biology News. 18, 17-29.
    · [2] S Y Lee, et al. (2005) Systems biotechnology for strain improvement. Trends Biotechnol., 23, 349-358.
    · [3] Schaff, J. et al. (2001) The Virtual Cell: a software environment for computational cell biology. Trends Biotechnol., 19, 401-6.
    · [4] S Y Lee. et al. (2006) WebCell: a web-based environment for kinetic modeling and dynamic simulation of cellular networks. bioinformatics, 22, 1150-1.
    · [5] Leslie M. Loew. et al. (2003) Quantitative cell biology with the Virtual Cell. Trends Biotechnol., 13, 570-6.
    · [6] Ishii, N. et al. (2004) Toward large-scale modeling of the microbial cell for computer simulation. J. Biotechnol. 113, 281-294.
    · [7] Pawan Dhar, et al. (2003) CellWare-a multi-algorithmic software for computational systems biology. bioinformatics, 20, 1319-1321.
    · [8] S Y Lee, et al. (2003) MetaFluxNet: the management of metabolic reaction information and quantitative metabolic flux analysis. bioinformatics, 19, 2144-6.
    · [9] 이상엽 et al. (2004) 대사공학(Metabolic Engineering). NICE, 22, 436-444.
    · [10] 정의섭 et al. (2006) 대사공학 기술을 이용한 미생물 대사 네트워크의 동역학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 방법. News & Information for chemical engineers, 24, 35-41.
    · [11] 김진식 et al. (2006) 시스템 생물학을 통한 대사회로 관련 연구. NICE, 24, 26-30.
    · [12] 김진식 et al. (2006) 원핵세포의 시스템 생물학 연구. Molecular and Cellular Biology News. 18, 30-39.
    · [13] Kazuhisa Ichikawa (2001) A-Cell: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the construction of biochemical reaction models. bioinformatics, 17, 483-484.
    · [14] Fink, C.C. et al. (2000) An image-based model of calcium waves in differentiated neuroblastoma cells. Biophys. J. 79, 163-183.
    · [15] Schaff, J. et al. (1999) The Virtual Cell. Pacific Symposium on Biocomputing, 4, 228-239.
    · [16] Virtual Cell version 4.2 Tutorial 3: Diffusion - Facilitated calcium diffusion in the intestinal epithelial cell.
    · [17] Fink, C.C. et al. (1999) Morphological control of inositol-1,4,5-trisphosphate-dependent signals.J. Cell Biol. 147, 929-935.
    · [18] http://www.nrcam.uchc.edu/applications/published%20_models.html
    · [19] Tomita, M. et al. Development of E-Cell kinetic model interoperability environment.
    · [20] 박선원. et al. (2005) Quantitative analysis of Biological Models under the Internet Environment. Journal of Control, Automation, and Systems Engineering, 11, 837-842.
    · [21] Tomita, M. (2001) Whole-cell simulation: a grand challenge of the 21st century. Trends Biotechnol. 19, 205-210.
    · [22] Masaru Tomita. E-CELL 프로젝트 세포의 컴퓨터 시뮬레이션, Life Science & Biotechnology, 8-11.
    · [23] 김영창. (2003) 인공세포 기술과 가상세포 기술. Life Science & Biotechnology, 32-35.
    · [24] 김영창. 인공세포와 가상세포 기술개발 동향 및 전망. R&D 동향.
    · [25] K. Takahashi. et al. (2003) E-Cell 2: Multi-platform E-Cell simulation system. bioinformatics, 19, 1727-9.
    · [26] http://www.e-cell.org
    · [27] http://ecell3d.iab.keio.ac.jp/
    · [28] Tomita, M. et al. E-Cell simulation Environment and E-Cell 3D visualization front-end.
    · [29] KV Srividhya. et al. (2004) A simulation model of Escherichia coli osmoregulatory switch using E-CELL system. BMC Microbiology, 4:44.
    · [30] Tomita, M. et al. (1999) E-CELL: software environment for whole-cell simulation. Bioinformatics 15, 72-84.
    · [31] Tomita, M. (2001) Towards computer aided design (CAD) of useful microorganisms. Bioinformatics 17, 1091-1092.
  • 자료후기

    Ai 리뷰
    이 자료는 깊이 있는 내용과 함께 과제에 적용 가능한 내용이 많아 도움이 되었습니다. 과제에 바로 활용할 수 있어 매우 만족스러웠습니다. 감사합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21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