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윤영, ‘우리나라의 기후변화협약 대응정책 및 에너지절약시책’, 한국지구시스템공학학지 Vol.40, No.4, 2003
· 강희정, 기후변화협약 대응 국가기술개발 체계분석,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2005
· 기상연구소, 기후변화협약 대응을 위한 적응부문 시책 수립 방안 연구, 국무조정실, 2004
· 국가과학기술위원회,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보고서, 2006
· 과학기술부 보도자료, “지구온난화 극복을 위한 범정부 차원의 R&D 추진키로”, 2006. 5. 24
· 곽결호, ‘기후변화,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국토시론, 2004
· 권원태, 기후변화의 현황과 전망, 기후변화와 국토관리, 2005
· 김정인, 기후변화가 산업에 미치는 영향과 각국의 대응전략, 기후변화와 국토관리, 2005
· 김환석, 기술경제 패러다임의 변화와 환경문제, 한울, 1993
· 독일의 재생가능에너지 보급계획, 환경포럼 9권 5호, 2004
· 마크 라이너스, ‘지구의 미래로 떠난 여행’, 돌베개, 2004
· 백명수 외, 환경기술 혁신을 위한 전략 및 시스템에 대한 연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3
· 신의순, ‘기후변화협약과 기후정책’, 집문당, 2005
· 서세욱, ‘재생가능에너지 보급배경과 보급지원책’, 국회 예산정책 처, 2004
· 이상훈, 독일의 재생가능에너지 발달현황, 에너지대안센타 해외리포트, 2002
· 기후변화협약과 정부대응정책, 에너지관리공단, 2005
· 이창훈, 「신재생에너지전력 시장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 에너지경제연구원, 2005
· 유의선, 기후변화 협약 대응의 이슈와 의제(혁신정책 Brief, 통권 제11호),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6
· 이정재, 주요 선진국의 에너지․환경 분야 정부연구개발 투자현황 분석, 한국과학재단, 2006
· 임기철, “지구환경문제에 대응한 새로운 기술혁신 방향의 모색”-기후변화가 한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심포지움, 한국과학기술연구원, 1993
· 임기철, 환경친화적 기술혁신 패러다임의 모색, 과학기술정책관리연구소, 1994
· 임기철, 김재영, 환경문제의 국내외 현황과 기술정책적 대응, 과학기술정책기획본부, 1992
· 조현재, ‘CO2 전쟁’, 매일경제신문사, 2006
· 정선양, 환경정책론, 박영사, 1999
· 한화진, ‘기후변화 영향평가 및 적응시스템 구축1’, 환경부, 2005
· 한화진, 기후변화 대응 환경부문 종합계획 수립, 환경부, 2003
· C.Freeman, The Economics of Hope: Essays on the Technical Change, Economic Growth and the Environment, London/New York: Pinter Publishers, 1992
· IEA, Dealing with Climate Change, 2002
· R.Kemp and L.Soete, "The Greeting og Technological Progress," Futures, June, pp.437-457, 19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