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Brucellosis (브루셀라증)

최근 국내의 Human Brucellosis의 급증 추세에 따라, 인체로의 감염이 가능한 동물의 브루셀라증(개, 돼지, 산양, 소)의 특징들을 살펴보고, 인간 브루셀라증 발병의 차단 및 예방을 위한 방법을 소개.
26 페이지
워드
최초등록일 2007.10.27 최종저작일 2007.10
26P 미리보기
Brucellosis (브루셀라증)
  • 미리보기

    소개

    최근 국내의 Human Brucellosis의 급증 추세에 따라,
    인체로의 감염이 가능한 동물의 브루셀라증(개, 돼지, 산양, 소)의 특징들을 살펴보고,
    인간 브루셀라증 발병의 차단 및 예방을 위한 방법을 소개.

    목차

    1. 서론
    2. 본론
    (1) 브루셀라병(Brucellosis)
    1) 원인체
    2) 세계적 발생 현황
    (2) 동물의 브루셀라병(Animal Brucellosis)
    1) 소의 브루셀라병 (Bovine Brucellosis)
    2) 돼지의 브루셀라병 (Swine Brucellosis)
    3) 산양의 브루셀라병 (Caprine Brucellosis)
    4) 개의 브루셀라병 (Canine Brucellosis)
    (3) 사람의 브루셀라병 (Human Brucellosis)
    3. 결론
    4. 참고자료들

    본문내용

    1. 서론
    브루셀라병은 Brucella 속 세균에 의해 사람 및 동물에게 감염되는 전염병이며, 브루셀라병은 인수 모두에 감염될 수 있는 zoonotic disease이므로 수의학적 질병 중에서도 특별한 관심을 요한다. 최근 국내에서는 통계적 기록이 이뤄진 2000년도부터 작년까지 사람 브루셀라병이 급증하는 추이를 나타내고 있어, 이의 예방 및 관리의 필요성이 더욱더 증가하고
    그림 1 국내 사람브루셀라병 발생추이(1996-2006) 있다. 본 조에서는 이와 같은 브루셀라병의 추세와 관련하여 사람에게 전파될 수 있는 동물들의 브루셀라병을 살펴보고, 동물로부터의 전파 차단 및 예방, 치료 방법에 대해 중점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2. 본론
    (1) 브루셀라병(Brucellosis)
    브루셀라병은 세균성 번식장애 질병으로 소, 돼지 등의 가축, 개 등의 애완동물 및 기타 야생동물에 감염하여 생식기관 및 태막의 염증과 유산, 불임 등의 증상이 특징인 제2종 법정 전염병이다. 브루셀라병은 우군의 90% 이상까지 감염시켜 폭발적인 유산을 일으키기도 하며 1년 또는 그 이상까지 지속한다.

    1) 원인체
    브루셀라균은 그람음성의 작은 간균이며 운동성이 없는 세포내 기생세균이다. 잘 알려진 원인체로는 B. melitensis, B. abortus, B. suis, B. ovis, B. neotomae, B. canis의 6 균종이 있다
    표 1에서 볼 수 있는 브루셀라 균들 중 인간에 병원성을 지니는 종은 B.melitensis, B.abortus, B.suis, B.canis, B.pinnipediae, B.cetoceae이며, 이 중 B.pinnipediae와 B.cetoceae의 동물 숙주가 밍크 고래, 돌고래, 작은 돌고래, 물개이므로 실제로 사람과의 접촉 빈도가 극히 낮을 것으로 생각된다.

    참고자료

    · 서적
    · 국립수의과학검역원, ‘07년 3/4분기 가축전염병중앙예찰협의회 자료, 2007. 10. 12
    · Hagan and Bruner’s Microbiology and Infectious Diseases of Domestic Animals-8th edition, p143 John F. Timoney외 3명
    · 전염병 교과서.
    · -브루셀라병 p74~77
    · 웹 사이트
    · Bovine Brucellosis
    · Dennis Kunkel Microscopy, Inc. [ http://www.denniskunkel.com/ ]
    · type=2
    · ction=2
    · Canine Brucellosis
    · Recent Advances in Canine Infectious Diseases, Carmichael L. (Ed.), International Veterinary Information Service, Ithaca NY (www.ivis.org), 1999; (http://www.ivis.org/advances/Infect_Dis_Carmichael/shin/chapter_frm.asp?LA=1)
    · s been diagnosed with brucellosis. Is that a risk for me? (http://www.cdc.gov/ncidod/dbmd/diseaseinfo/brucellosis_g.htm)
    · First brucella diagnosis in the UK (http://www.ehn-online.com/cgi-bin/news/news1/EpFpykZpuuXJWnBZmE.html)
    · Investigation of possible Brucella canis underway (New Zeland) (www.maf.govt.nz/mafnet/press/archive/2000/050900bru.htm )
    · Diagnosis of human brucellosis caused by Brucella canis (http://jmm.sgmjournals.org/cgi/content/abstract/54/5/457)
    · Brucellosis - Encyclopedia of Canine Veterinary Medical Information (http://www.vetinfo.com/dencyclopedia/debrucel.html)
    · Brucella species as potential biological weapons (http://www.asanltr.com/newsletter/03-5/articles/035b.htm)
    · http://agr.georgia.gov/vgn/images/portal/cit_1210/43/31/60503769Canine%20Brucellosis%20Kennel%20and%20Owner%206-13-06.pdf
    · http:// www.wildsidekennels.com/articles/brucellosis.html
    · Caprine Brucellosis
    · Brucellosis in sheep and goats, report of the Scientific Committee on Animal Health and Animal Welfare European commission
    · Swine Brucellosis
    · G.G. Alton J.R.L. Forsyth 028.htm
    · http://www.genomenewsnetwork.org/resources/sequenced_genomes/genome_guide_p1.shtml
    · http://gmgbreeding.com/new/index.php
    · http://www.sanidadanimal.info/cursos/curso/13/nombre.htm
    · http://www.sanidadanimal.info/cursos/curso/13/epidemi.htm
    · http://www.science.mcmaster.ca/biology/faculty/baronc/baronc_research.htm
    · Human Brucellosis
    · 질병관리본부-전염병정보망 http://dis.cdc.go.kr/
    · 국립수의과학 검역원 http://www.nvrqs.go.kr/
    · Frontier times, 2006.3.25자 기사, ‘특종 3탄, 사람 브루셀라 환자가 늘고 있다!’,
    · USDA APHIS VS Status Report
    · (.gov/vs/nahps/brucellosis/bruc_erad.html)
    · USDA APHIS Cattle and Bison
    · (http://www.aphis.usda.gov:80/vs/nahps/Brucellosis/cattle.htm)
    · WHO Fact Sheet Brucellosis(http://www.who.int/inf-fs/en/fact173.html)
    · Brunet Publication (http://progress.box.co.il/brunet/public_sub2_pl.html)
    · USDA APHIS (http://www.aphis.usda.gov/oa/pubs/bruumr.pdf)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는 제가 필요로 하는 지식을 완벽하게 충족시켜주었습니다. 과제 제출일이 얼마 남지 않아 시간이 부족했는데, 이 자료 덕분에 과제를 제출 할 수 있었습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함께 구매한 자료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