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심지연, 『현대 정당정치의 이해』 서울 : 백산서당, 2003
· 신정현, 『한국 정치제도의 개혁 : 정당과 국회를 중심으로』 서울 : 집문당, 2002
· 강정인, 『민주주의의 한국적 수용 : 한국의 민주화, 민주주의의 한국화』
· 서울: 책세상, 2002
· 김병국, 『한국의 보수주의』 서울 : 인간사랑, 1999
· 박근, 『한국의 보수여, 일어나라 : 어용보수, 기생보수, 눈치보수는 가라!』
· 서울 : 월간조선사, 2002
· 조진만, 『낙선운동이 16대 총선에 미친 영향』
· 서울 : 연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1
· 조기숙, 『16대 총선과 낙선운동 : 언론보도와 논평을 중심으로』
· 서울 : 집문당, 2002
· 관훈클럽, 한국정치학회 『제 16대 총선 무엇을 남겼나』 서울 : 관훈클럽, 2000
· 진영재, 『한국의 선거. 4, 16대 총선을 중심으로』
· 서울 : 한국사회과학데이터센터, 2002
· 한국정당정치연구소, 『4.13 총선 : 캠페인 사례연구와 쟁점 분석』
· 성남 : 문형출판사, 2000
· 손호철, 『현대 한국정치 : 이론과 역사』 서울 : 사회평론, 1997
· 현대사회연구소,
· 『민주화과정에 있어서의 이념논쟁 : 정당의 이념적 성격을 중심으로』
· 서울 : 현대사회연구소, 1989
· 강원택, 『한국의 선거 정치 : 이념, 지역, 세대와 미디어』 서울 : 푸른길, 2003
· 오창헌, 『유신체제와 현대 한국정치』 서울 : 오름, 2001
· 정해구, 『대안은 없는가? : 21세기 한국 정치의 진로』 서울 : 두리, 1995
· 김용호, 『한국 정당정치의 이해』 서울 : 나남출판, 2001
· 백영철, 『제 1공화국과 한국 민주주의 : 의회정치를 중심으로』
· 서울 : 나남출판, 1995
· 김세균, 『16대 대선의 선거과정과 의의』서울 :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3
· 김원홍, 『여성유권자의 정책지향적 투표형태에 관한 연구』
· 서울 : 한국여성개발원, 2003
· 민주노동당 정책위원회,『D-730 김대중 정부 3년 평가와 대안』
· 서울 : 이후, 2001
· 김성수, 『국민의 선택과 변화 - 16대 대선의 정치학적 분석』
· 서울 : 역락, 2004
· 안순철, 한국정치학회,
· 『한국정치의 이데올로기적 예측공간 분석 : 16대총선을 중심으로』
· 한국정치학회보 , 2001
· 김영명, 『고쳐쓴 한국 현대 정치사』 서울 : 을유문화사, 1999
· 이정석, 『분단과 반민주로 본 한국정치 이야기(하)』 서울 : 무당미디어 1997
· 정용대, 『한국정치학회, 한국 진보정당과 정치발전』 한국정치학회보, 1989
· 신명순, 『한국 정당과 정당정치』 연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1994
· 이봉희, 한국정치학회『유럽과 미국의 보수주의』한국정치학회보, 1995
· 배병룡,『정부불신의 원인과 결과』한국행정학보, 1988
· 정진민,『미국정당정치의 변화 - 뉴딜연합의 약화를 중심으로』
· 한국정치학회보, 1996
· 정치학대사전편찬위원회,『21세기 정치학대사전』서울 : 아카데미아리서치, 2002
· 권용립, 『미국 - 보수적 정치문명의 사상과 역사』 서울 : 역사비평사, 1991.
· 서문기, 『한국사회의 정부신뢰구조』 한국사회학회, 2001
· 주대환, 『진보정당은 비판적 지지를 넘어설 수 있는가』 서울 : 이후, 2002
· 이정복, 『한국의 정치적 과제』 서울 :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7
· 안희수, 『한국 정당 정치론』 서울 : 나남출판 , 1995
· 정진민, 『후기 산업사회 정당정치와 한국의 정당발전』 서울 : 한울, 1998
· 박세길, 『고쳐 쓴 한국 현대사』 서울 : 돌베개, 1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