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고전문학사] 시조의 기원, 종류, 음악성, 현대시조 총체적 고찰

[고전문학사] 시조의 기원, 종류, 음악성, 현대시조 총체적 고찰한 보고서입니다. 보고서 내용이 상당히 많습니다. 보고서라기보다 레포트 쓰시는데 필요한 정보를 모아놓은 자료서라고 보시면 됩니다. 특성상 내용은 새로운 내용이 많이 들어가지 않습니다. 본 자료가 많은 도움 되길 바랍니다.
27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07.08.31 최종저작일 2006.09
27P 미리보기
[고전문학사] 시조의 기원, 종류, 음악성, 현대시조 총체적 고찰
  • 미리보기

    소개

    [고전문학사] 시조의 기원, 종류, 음악성, 현대시조 총체적 고찰한 보고서입니다. 보고서 내용이 상당히 많습니다. 보고서라기보다 레포트 쓰시는데 필요한 정보를 모아놓은 자료서라고 보시면 됩니다. 특성상 내용은 새로운 내용이 많이 들어가지 않습니다. 본 자료가 많은 도움 되길 바랍니다.

    목차

    1. 시조의 형식
    1). 초장 3·4 4·4
    2). 중장 3·4 4·4
    3). 종장 3·5 4·3
    1-1. 음수율
    1-2. 구수율
    1-3. 6구체
    2. 시조의 형성과 전개
    3. 현대적인 양상과 과제
    4. 현대 시조
    5. 음악적 성격
    6.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시조의 형식
    문학부류로서의 시조는 3장 45자 내외로 구성된 정형시라고 할 수 있다. 시조는 3행으로써 1연을 이루며, 각 행은 4보격(四步格)으로 되어 있고, 이 4보격은 다시 두 개의 숨묶음으로 나뉘어 그 중간에 사이쉼을 넣게 되어 있다. 그리고 각 음보는 세 개 또는 네 개의 음절로 구성되는 것이 보통이다. 이제 그 기본형을 도시(圖示)하면 다음과 같다.
    1). 초장 3·4 4·4
    2). 중장 3·4 4·4
    3). 종장 3·5 4·3
    그러나 이 기본형은 어디까지나 하나의 가상적인 기준형에 지나지 않는 것이고, 절대 불변하는 고정적인 제약을 받는 것은 아니다. 우리말 자체의 성질에서 오는 신축성이 어느 정도 허용되는 기준이다.
    1. 음수율
    먼저 음수율을 살펴보면 3·4조 또는 4·4조가 기본운율로 되어 있다. 이 기본운율에 1음절 또는 2음절 정도를 더 보태거나 빼는 것은 무방하다. 그러나 종장은 음수율의 규제를 받아 제1구는 3음절로 고정되며, 제2구는 반드시 5음절 이상이어야 한다. 이 같은 종장의 제약은 시조형태의 정형(整型)과 아울러 평면성을 탈피하는 시적 생동감을 깃들게 한다.
    2. 구수율
    다음 구수율(句數律)을 살펴보면 이광수(李光洙)·이은상(李殷相)은 12구체로 파악한 일이 있고, 이병기(李秉岐)는 초장과 중장을 각각 2구로 보고 종장의 특이성을 살리기 위하여 종장만을 4구로 보아 8구체를 주장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안확(安廓)·조윤제(趙潤濟) 등은 6구체를 주장해왔으며, 오늘에 와서는 6구체로 보는 것이 정설로 인정되고 있다.
    3. 6구체
    6구체로 볼 경우의 구수(句數)는 제각기 두 구절씩 짝이 되어 하나의 행(行), 즉 한 장(章)을 이루고 있다. 이상과 같은 음수율과 구수율을 지닌 기준형에 해당하는 모든 시조를 단형시조(短型時調) 또는 평시조(平時調)라고 부르는데, 그 보기는 다음과 같다.

    참고자료

    · 石北集, 林園經濟志, 歐邏鐵絲琴字譜, 韓國詩歌史綱(趙潤濟, 博文出版社, 1937), 時調詩學(安廓, 朝光社, 1940), 國文學硏究崇(李熙昇, 乙酉文化社, 1946), 古長時調選註(高晶玉, 正音社, 1949), 李朝時調史(李能雨, 以文堂, 1956), 時調의 槪說과 創作(李秉岐, 全北日報社出版局, 1957), 時調槪論(李泰極, 새글社, 1959), 韓國文學史(趙潤濟, 東國文化社, 1963), 時調硏究論叢(李泰極編, 乙酉文化社, 1965), 時調文學事典(鄭炳昱編著, 新丘文化社, 1969), 國文學槪說(金東旭, 民衆書館, 1971), 時調의 文獻的 硏究(沈載完, 世宗文化社, 1972), 歷代時調全書(沈載完編著, 世宗文化社, 1972), 時調音樂論(張師勛, 韓國國樂學會, 1973), 韓國現代詩文學史(鄭漢模, 一志社, 1974), 時調文學論(金東俊, 우성문화사, 1974), 時調의 史的 硏究(李泰極, 二友出版社, 1975), 開化期時調에 대한 檢討(權寧珉, 學術院論文集 15, 大韓民國學術院, 1976), 韓國詩歌構造硏究(金大幸, 1976) 한국고전시가론(정병욱, 신구문화사, 1977), 古時調硏究(崔東元, 螢雪出版社, 1977), 時調論叢(沈載完博士 華甲紀念論叢刊行委員會, 一潮閣, 1978), 시조론(박철희, 일조각, 1978), 韓國時調文學全史(朴乙洙, 성문각, 1978), 韓國詩史硏究(朴喆熙, 一潮閣, 1980), 韓國古典詩歌의 硏究(金學成, 圓光大學校出版局, 1980), 韓國現代時調詩의 理解(李祐鍾, 國際出版社, 1981), 朝鮮國民文學으로서의 時調(崔南善, 朝鮮文壇, 1926.5), 時調란 무엇인가(李秉岐, 東亞日報, 1926.12.9), 時調의 字數考(趙潤濟, 新興, 1931.1), 時調의 歷史的 形態考(鄭炳昱, 현대문학 45, 1958.9).(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는 질이 높고, 각 분야의 전문 지식을 바탕으로 한 콘텐츠가 많아 학습하는 재미가 쏠쏠합니다. 앞으로도 많은 유익한 자료를 기대합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함께 구매한 자료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08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