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TINUM
PLATINUM 등급의 판매자 자료

본초강목 경간 음증陰證 제감 초부

본초강목 경간 음증陰證 제감 초부 원문 한문 및 한글번역
7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07.08.26 최종저작일 2007.08
7P 미리보기
본초강목 경간 음증陰證 제감 초부
  • 미리보기

    소개

    본초강목 경간 음증陰證 제감 초부 원문 한문 및 한글번역

    목차

    경간 음증陰證
    제감 초부

    본문내용

    분저는 일체 감증을 주치하니 갈아 가루를 사향탕으로 복용한다. 혹은 감초가루를 넣는다. 혹은 태운 재를 음식물에 섞는다. 두꺼비에 생긴 구더기가 더욱 오묘하다.
    蜘蛛
    거미
    (燒啖,主大腹疳。)
    지주를 태워 먹으면 대복감을 주치한다.
    夜明砂
    야명사
    (一切疳病,研末,猪肉汁服,取下胎毒。無辜疳,末拌飯 食之。 病,絳袋 佩之。)
    야명사는 일체 감병에 간 가루를 돼지고기즙과 복용하면 태독을 내리게 한다. 무고감에 가루를 밥에 섞어서 먹는다. 감병은 강색 주머니로 야명사를 차고 다닌다.
    五靈脂
    오령지
    (五疳 潮熱 有蟲,同胡黃連、猪膽 丸服。)
    오령지는 5감증 조열로 벌레가 있음에 호황련, 돼지쓸개와 함께 환으로 복용한다.
    野猪黃
    야저황
    (水研 日服。膽同。)
    야저황을 물로 갈아 날마다 복용한다. 야생 돼지 쓸개도 주치가 같다.
    牡鼠
    수컷 쥐
    (炙食,主寒熱諸疳。作羹,甚瘦人。 哺露大腹,炙食之。)
    모서를 구워 먹으면 한열 여러 감증을 주치한다. 국을 만들어 매우 마른 사람이 먹는다.
    鼠屎
    쥐똥
    (疳病 大腹,同蔥、豉 煎服。)
    대복의 감병에 서시를 파, 메주와 함께 달여 먹는다.
    柴胡 前胡 甜瓜葉 阿勃勒
    시호, 전호, 첨과잎, 아발륵
    (並主疳熱。)
    시호, 전호, 첨과엽, 아발륵은 감열을 주치한다.
    萹蓄
    편축
    ( 鬾病。)
    편축은 아기귀신병을 치료한다.
    漏蘆
    누로
    (煮猪肝 食。)
    누로로 돼지간을 달여 먹는다.
    苦耽 離鬲草 白礬
    고침, 이격초, 백반
    (並主無辜疳疾。)
    고침, 이격초, 백반은 무고 감질을 주치한다.
    益母草
    익모초
    (煮粥。)
    익모초를 달여 죽을 만든다.
    樗根皮
    저근피
    (丸服。)
    저근피로 환을 만들어 복용한다.
    胡粉
    호분
    (同雞子 蒸 或炒)
    호분을 계란과 같이 찌거나 혹은 볶아서 쓴다.
    鷄子
    계란
    (入輕粉 巴豆 蒸食.)
    계자는 경분, 파두를 넣고 쪄 먹는다.
    豺皮 兎屎 獾肉 鶉
    승냥이 가죽, 토끼 똥, 오소리 고기, 메추라기
    (並主疳痢。)
    시피, 토시, 환육, 순은 감리를 주치한다.
    葛勒蔓
    갈륵만
    (疳痢,吹肛。)
    갈륵만은 감리에 항문에 불어 넣는다.
    鵜鶘觜
    사다새 부리
    (久痢成疳,燒末 水服。)
    제호자는 오래된 이질로 감증을 생성함에 태운 가루를 물로 복용한다.
    薔薇根 蕪荑 羊蹄根 虎膽熊膽 猪膽
    장미뿌리, 무이, 양제근, 호담, 웅담, 저담
    (並殺疳蟲。)
    장미근, 무이, 양제근, 호담, 웅담, 저담은 함께 감충을 없앤다.
    蚺蛇膽
    비단뱀쓸개
    (灌鼻,治腦疳。灌肛,治疳痢。)
    염사담을 코에 쏟으면 뇌감을 치료한다. 항문에 관장하면 감리를 치료한다.
    鯽魚膽
    붕어쓸개
    (灌鼻,治腦疳。)
    코에 쏟으면 뇌감을 치료한다.
    白棘針
    백극침
    (同瓜丁 研末, 㗜鼻,主諸疳。)
    백극침은 간 가루를 과자와 함께 코에 불어 넣으면 여러 감증을 주치한다.
    菖蒲 冬瓜 柳枝及白皮 郁李根 楮葉
    창포, 동과, 버들가지와 유백피, 욱리뿌리, 닥나무잎
    (並煎湯,浴兒。)
    창포, 동과, 유지와 유백피, 욱리근, 저엽은 달인 탕으로 소아를 목욕한다.
    柏勞 白馬眼
    백로 백마안
    (並小兒鬾病,佩之。)
    백로, 백마안은 소아 아기귀신병에 차고 다닌다.

    참고자료

    · 본초강목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는 과제에 적용할 수 있는 유용한 내용이 많아,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