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의학약학]Autoimmune disease and NKT cell

Autoimmune disease and NKT cell - 에 대한 레포트입니다.
17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07.06.27 최종저작일 2007.01
17P 미리보기
[의학약학]Autoimmune disease and NKT cell
  • 미리보기

    소개

    Autoimmune disease and NKT cell - 에 대한 레포트입니다.

    목차

    1. 서 론
    2. 본 론
    가. NKT 세포와 면역 반응
    1) NKT 세포
    2) NKT 세포의 면역학적 기능
    가) T helper 세포의 분화에서의 역할
    나) NKT 세포에 의한 면역 반응 조절
    3)α-galactosylceramide (α-GalCer) : NKT 활성물질
    나. 자가 면역 질환 (autoimmune disease)
    1) NKT 세포와 자가 면역 질환 (autoimmune disease)
    가) 대표적인 자가 면역질환에서 NKT 세포의 역할
    (1) Type 1 diabetes
    (2) EAE
    (3) Colitisㅍ
    (5) Arthritis
    (6) CIA (collagen induced arthritis)
    (7) K/BxN serum transfer model
    3. 결 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 론
    Natural Killer T(NKT) 세포가 세상에 알려진 것은 얼마 되지 않았다. 이 세포는 그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T 세포의 수용체와 NK 세포 특이적인 surface marker를 발현하고 있으며, 독특한 성격을 가지고 있어, 다양한 면역질환(자가면역질환, 감염성 질환, 암 등)에서 면역 조절 작용 및 면역 강화작용을 수행하고 있는 T lymphocytes 이다.
    NK 세포 marker를 발현하는 T 세포를 종종 총체적으로 NKT 세포라고 부르지만 전형적인 NKT 세포는 매우 biased된 T 세포 수용체 (T cell receptor, TCR)를 가진다. 약60%의 NKT 세포는 CD4를 세포 표면에 발현하고 (CD4+) 나머지는 CD4/CD8 모두 발현하지 않는다 (CD4-CD8-). 이들 세포는 CD44, CD69, 그리고 CD122와 같은 activation/memory cell marker를 발현한다.
    이 세포는 thymus, liver, bone marrow 등의 기관에서 많이 존재하고, spllen, lymph node 와 blood에서 소량 존재한다. 일반적인 T cell은 주조직적합항원 MHC class 1 또는 MHC class 2에 제시되는 작은 peptide 항원을 인지하는데 반하여 NKT 세포는 MHC class 1과 유사한 구조의 monomorphic 한 단백질인 CD1d에 의해 제시되는 다른 여러 포유동물 종간에 conserved sequence를 갖는다. 이 MHC class 1 like moleculer 은 주로 hematopoietic 세포들 즉, tymocytes, B cells, macrophages, dendritc cells, hepatocytes에서 발현된다. 그러나, 이 molecule에 binding 해서 NKT 세포를 활성화 시킬 수 있는 physical ligand 는 아직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고 있다.

    참고자료

    · 1. Roncarolo, M. & Levings, M. K. (2000) The role of different subsets of T regulatory cells in controlling autoimmunity. Curr. Opin. Immunol. 12, 676-683.
    · 2. Shevach, E. M. Regulatory T cells in autoimmmunity (2000) Annu. Rev. Immunol. 18, 423-449.
    · 3. Godfrey, D.I.,Hammond,K.J.,Poulton,L.D., Smyth, M. J. & Baxter, A. G. (2000) NKT cells: facts, functions and fallacies. Immunol. Today 21, 573-583.
    · 4. Kronenberg, M. & Gapin, L. (2002) The unconventional lifestyle of NKT cells. Nature Rev. Immunol. 2, 557-568.
    · 5. Taniguchi, M., Harada, M., Kojo, S., Nakayama, T. & Wakao, H. (2003) The regulatory role of Vα14 NKT cells in innate and acquired immune response. Annu. Rev. Immunol. 21, 483-513.
    · 6. Brigl, M. & Brenner, M. B. (2004) CD1: antigen presentation and T cell function. Annu. Rev. Immunol. 22, 817-890.
    · 7. John J, O’Shea, Averil Ma, Peter Lipsky Cytokines and autoimmunity. Nat Rew Immunol. Jan;2. Review (2002).
    · 8. Akbari O, Stock P, Meyer E, Kronenberg M, Sidobre S, Nakayama T, Taniguchi M, Grusby MJ, DeKruyff RH, Umetsu DT. (2003) Essential role of NKT cells producing IL-4 and IL-13 in the development of allergen-induced airway hyperreactivity. Nat Med. 9, 582-588.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는 내용이 풍부하고 깊이 있는 분석이 돋보입니다. 과제에 바로 활용할 수 있는 내용이 많아 매우 만족합니다. 감사드립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함께 구매한 자료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05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