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영근·남기심, 「표준 국어 문법론」, 탑출판사, 1985.
· 권재일, 「한국어 통사론」, 민음사, 1992.
· 김승동, 「현대국어 부정문의 의미해석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 1995.
· 김동식, 「현대 국어 부정법의 연구」, 국어연구 42, 국어연구회, 1980.
· ― , 「부정 아닌 부정」, 한국언어학회, 1981.
· ― , 「부정법」, 동아출판사, 1990.
· 김성화, 「‘- 지/다가/고 말-’의 의미 기능」, 국어국문학 10, 147-74, 1989.
· 김석득, 「한국어 부정법에 대하여」, 국어국문학 53, 47-58, 1971.
· 김영욱, 「국어 부정문의 유형」, 선청어문 14·15, 서울대 사대 국어과, 1986.
· 박순함, 「A transformational Anlysis of Negation in Korean」, 백합출판사, 1967.
· 백봉자, 「한국어의 부정과 그 범주」, 연세어문학 6, 연세대 국문과, 1975.
· 서정수, 「국어문법」, 뿌리 깊은 나무, 1994.
· 성광수, 「부정-변형에 대하여」, 국어국문학 52, 75-99, 1971.
· 송석중, 「Some Transformational Rules in Korean」, Indiana Univ. 1967.
· ― , 「동의성 -언어학자의 Frankenstein-」, 국어학 2, 65-82, 1974.
· 신원재, 「현대국어 부정표현에 관한 연구」, 국어국문학 논문집 27, 서울대국어과, 1987.
· 오준규, 「On the Negation of Korean」, 어학연구 7-2., 45-66. 1971b.
· 이상복, 「동사 ‘말다’에 대하여」, 연세어문학 12, 연세대 국문과, 1979.
· 이영헌, 「국어 부정법의 통어적 특성-부정의 범위와 부정소의 상호관계를 중심으로-」, 외국문화연구, 조선대 외국문화연구소, 1979.
· 이정민, 「부정명령의 분석」, 어학연구 13.2., 105-14, 1977.
· 이창용, 「국어 부정문 연구」, 세종대학, 1990.
· 이홍배, 「On negation in Korean」, 어학연구 6.2., 33-59, 1970b.
· ― , 「국어 부정문 기술에 있어서의 문제점」, 어학연구 8.2., 60-77, 1972.
· 임홍빈, 「부정의 양상」, 서울대학교 교양과정부, 1973.
· ― , 「국어 부정문의 통사와 의미」, 국어연구소, 1987.
· 장경기, 「국어 부정의문문과 전제」, 어학연구 22-1, 1986.
· 장석진, 「국어의 부가 의문문: 형식과 기능」, 언어 9.2., 259-77, 1984.
· 정원수, 「부정형태 ‘잖(찮)’- 대하여」, 국어국문학 100, 283-94, 1988.
· 천기석, 「부정표현 ‘못하다’의 의미 체계」, 어문논지 3, 충남대 국문과, 1978a.
· 누리그물 한말글 모임 (127호) , 「현대 국어 부정문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