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건축]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폴리머 기반 보수재료의 사용과 선정기법

"[건축]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폴리머 기반 보수재료의 사용과 선정기법"에 대한 내용입니다.
11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07.06.17 최종저작일 2005.08
11P 미리보기
[건축]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폴리머 기반 보수재료의 사용과 선정기법
  • 미리보기

    목차

    1. 서 론 1
    2. 재료의 선택에 대한 상세 설명 1
    2.1 선택기준 1
    2.2 재료 특성 2
    2.3 시공 인자 5
    2.4 시험방법 6
    2.5 시방 명세 및 규정 7
    3. 폴리머계 재료를 사용하는 데 있어서 발생하는 문제점들 7
    3.1 재료의 상이한 공학적 특성과 복합재료의 성능 8
    3.2 폭넓게 분포하는 폴리머 특성/성능 9
    3.3 온도 및 시간 이력 특성 9
    3.4 양생조건 10
    4. 결 론 10
    참고문헌 10

    <표 차례>
    표 1 유기계 폴리머 그라우트재의 전형적인 특성 2
    <그림 차례>
    그림 1 탄성계수가 상이한 두 재료의 거동: (a) 계면에 대해 하중이 수직으로 작용하는 경우, (b) 계면에 하중이 평행하게 작용하는 경우 3

    그림 2 전기화학적 비호환성으로 인한 패칭재의 양단부에 형성된 양극영역 5

    본문내용

    2. 재료의 선택에 대한 상세 설명
    보수 재료를 선택하는 과정은 미래의 성능 혹은 내구성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이를 예측하여 행하는 노력이다. 그러므로 재료를 선택할 때는 반드시 물리적 화학적 특성과 설계자가 의도하는 재료의 기능 그리고 그러한 재료들이 설치될 환경의 특징과 그 영향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을 기반으로 하여 행해 져야한다. 즉 거의 모든 보수 작업은 사례별로 매우 다양한 환경 혹은 적용 조건을 보이며 조건에 부합되는 특별한 요구사항들을 필요로 한다.
    일단 이러한 다양한 기준 중에서 선택 기준들이 정해지면 종종 같은 적용 결과를 낳는 하나 이상의 여러 재료들의 사용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어떤 특정 재료를 선택하거나 혹은 재료의 조합체들을 최종적으로 선택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적용성, 코스트, 가용 인력 및 숙력도, 그리고 장비들을 필수적으로 고려해야 한다.(Mailvaganam and Alexander 1996)

    2.1 선택기준
    결합 기지가 폴리머 수지인 폴리머계 재료나 혹은 기지가 라텍스와 시멘트계 재료로 구성된 폴리머 개질 보수재료의 경우 콘크리트, 벽돌 그리고 철골과 같은 전통적인 건설재료들과 비교하여 볼 때 성능을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이 그다지 명확하게 정립되어 있지 않다. 그러므로 일반 엔지니어들이 재료를 선택하기 위해 필요한 친절한 안내서가 부족하다고 볼 수 있다. 보수를 목적으로 폴리머계 재료를 선택하기 하는 경우 아래와 같은 중요한 사항들이 평가되어져야 한다.
    표 1 유기계 폴리머 그라우트재의 전형적인 특성

    참고자료

    · Alfred, R., Alfred, H., and Gustave, P. (1984). "Experiences on barrier layer on the surface of concrete." Proc., RILEM Seminar on Durability of Concrete Structures under Normal Outdoor Exposure, Hanover, Germany, 116-125.
    · American Concrete Institute (ACI). (1968). "Epoxies with concrete." ACI Publication S.P. 21, ACI, Detroit, 5-8, 29-36, and 93-106.
    · Cusson, D., and Mailvaganam, N. P. (1996). "Durability of repair materials."Concr. Int., 26(9), 35-38.
    · Hewlet, P. C., and Hurley, S. A. (1984). "The consequences of polymer-concrete mismatch." Proc., The Design Life of Buildings, Joint Institute of Civil Engineers/Concrete Society/RIBA Symp. Thomas Telford, London, 26-27, and 179-196.
    · Hewlet, P. C. (1993). "Assessment & evaluation of polymer-based repair materials." Concr. Int., 22(3), 35-38, and 39-41.
    · Kuhlmann, I., and Walters, G., eds. (1993). "Polymer modified hydraulic-Cement mixtures." STP 1176, ASTM, Baltimore, 7-18, and 35-43.
    · Mailvaganam, N. P., ed. (1992). "Repair and protection of concrete structures." The science of concrete and polymeric building materials, Chap. 1, CRC, Boca Raton, Fla., 31-42.
    · Mailvaganam, N. P., and Alexander, A. (1996). "Selection of repair materials using expert advice." Concrete Repair Bulletin, 12(3), 12-15.
    · Ohama, Y. (1996). "Polymer-based materials for repair and improved durability: Japanese experience." Constr. Build. Mater., 10(1), 77-82.
    · Plum, D. (1991). "Materials-what to specify?" J. Constr., Maintenance Repair, 6(2), 3-7.
    · Revie, R. W. ed. (2000). "Corrosion of steel in concrete." Uhlig’`s corrosion handbook, 2nd ed., Interscience, New York, 581-600.
    · Sasse, H. R., ed. (1986). "Adhesion between polymers and concrete." Proc., RILEM International Symp., Paris, 144-151, and 230-244.
    · Schupack, M. (1980). "Divorces and ruptured relations between epoxies and concrete." Concr. Constr., 735-738.
    · Warner, J. (1984). "Selection of repair materials." Concr. Constr., 72-74.
  • 자료후기

      Ai 리뷰
      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를 통해 새로운 인사이트를 얻고, 과제의 내용을 보강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정말 추천할 만한 자료입니다! 감사드립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함께 구매한 자료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8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