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LVER
SILVER 등급의 판매자 자료

火部第六卷 燧火 상시화 탄화 노화 죽화

火部第六卷 燧火 상시화 탄화 노화 죽화
5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07.06.16 최종저작일 2007.06
5P 미리보기
火部第六卷 燧火 상시화 탄화 노화 죽화
  • 미리보기

    소개

    火部第六卷 燧火 상시화 탄화 노화 죽화

    목차

    火部第六卷
    燧火
    상시화
    탄화
    노화
    죽화

    본문내용

    火部第六卷 火之一 蘆火、竹火
    화부 제 6권 첫째 화 노화, 죽화
    (《綱目》)
    강목
    【主治】
    주치
    宜煎一切滋補藥(時珍)。
    일체의 자보약에 달인다. 이시진
    【發明】
    발명
    (時珍曰︰凡服湯藥,雖品物專精,修治如法,而煎藥者鹵莽造次,水火不良,火候失度,則藥亦無功。)
    이시진이 말하길 탕약을 복용함에 비록 품물이 오로지 정밀하나 법대로 수치하고 약을 달임에 성질이 거칠고 물과 불이 불량하여 화가 방도를 잃으면 약이 또한 공로가 없게 된다.
    觀夫茶味之美惡,飯味之甘渴,皆系于水火烹飪之得失,即可推矣。
    차 맛의 좋고 나쁨과 밥맛의 달고 목마름을 보면 모두 물과 불을 끓이고 삶는 득실에 관계함을 유추할 수 있다.
    是以煎藥須用小心老成人,以深罐密封,新水活火,先武後文,如法服之,未有不效者。
    그래서 달이는 약에 반드시 소아, 노인, 성인 양을 사용하여 깊은 항아리로 밀봉하여 새로운 물로 불을 살리고 먼저 센 불로 다음은 약한 불로 법대로 복용하면 효과가 있지 않음이 없다.
    火用陳蘆、枯竹,取其不強,不損藥力也;
    불은 묵은 갈대, 썩은 대나무를 사용하여 강제로 하지 않음을 취하고 약력을 손상하면 안된다.
    桑柴火取其能助藥力;
    뽕땔감불은 약력을 도움을 취한다.
    桴炭,取其力慢;
    부나무 탄은 힘이 완만함을 취한다.
    櫟炭,取其力緊;
    상수리나무탄은 힘이 팽팽함을 취한다.
    溫養用糠及馬屎、牛屎者,取其緩而能使藥力勻遍也。
    온양에 쌀겨와 말똥, 소똥을 사용함은 완만하여 약력이 고르게 퍼짐을 취한다.

    참고자료

    · 본초강목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제공하는 자료는 질이 매우 높고, 주제에 대한 깊이 있는 분석이 인상적입니다. 이해하기 쉬운 설명과 다양한 예시 덕분에 활용하기 편했습니다. 정말 감사드립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6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