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졸업작품]USN을 이용한 산불 방재 모니터링 시스템(논문)

산학협동대전에서 가족회사상을 수상한 작품으로 USN을 이용한 산불 방재 모니터링을 설계하고 이를 바탕으로 쓴 졸업 논문 입니다. 한글 파일이고 제가 썼던 원문을 그대로 올렸기 때문에 아이디어를 얻으시거나 논문 양식이 필요하시거나 빠르게 작성이 필요하신분들께 유용하게 사용될 것입니다. USN을 이용한 산불 방재 모니터링과 관련한 질문 및 상담도 가능합니다. 자료 문의에 글을 남겨 주세요.
80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07.06.11 최종저작일 2006.10
80P 미리보기
[졸업작품]USN을 이용한 산불 방재 모니터링 시스템(논문)
  • 미리보기

    소개

    산학협동대전에서 가족회사상을 수상한 작품으로 USN을 이용한 산불 방재 모니터링을 설계하고
    이를 바탕으로 쓴 졸업 논문 입니다. 한글 파일이고 제가 썼던 원문을 그대로 올렸기 때문에 아이디어를 얻으시거나 논문 양식이 필요하시거나 빠르게 작성이 필요하신분들께 유용하게 사용될 것입니다. USN을 이용한 산불 방재 모니터링과 관련한 질문 및 상담도 가능합니다. 자료 문의에 글을 남겨 주세요.

    목차

    제 1 장 서 론
    제 1 절 연구 배경 및 목표
    제 2 절 USN 관련 연구 및 응용 사례
    1 USN 관련 연구
    2 USN 관련 응용 사례
    제 3 절 논문 구성

    제 2 장 USN 과 ZigBee 기술
    제 1 절 USN 기술
    1 USN 개념 및 특징
    2 시스템 설계 시 고려사항
    3 프로토콜 스택
    제 2 절 ZigBee 기술
    1 ZigBee 개념 및 특징
    2 IEEE 802.15.4 LR-WPAN 표준
    3 ZigBee 시장조사

    제 3 장 USN 응용 산불 방재 시스템 구성 및 구현
    제 1 절 산불 방재 시스템 구성 .
    1 요구사항 분석
    2 시스템 구성
    3 시스템 기능
    제 2 절 산불 방재 시스템 구현
    1 시스템 구현
    2 시스템 평가

    제 4 장 결론 및 향후 계획

    참고문헌

    본문내용

    제 1 절 연구 배경 및 목표

    무선 센서네트워크는 최근 대두하고 있는 유비쿼터스 컴퓨팅 연구에 힘입어 현재 광범위하게 설치되어 있는 유무선 네트워크 인프라에 상황인지를 위한 다양한 센서 디바이스를 결합하여 센서로부터 감지된 환경데이터를 응용서비스 서버와 연동하는 기술이다......

    무선 개인화 네트워크에 대한 표준화는 주로 IEEE 802.15 WG (Working Group)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802.15.1(Bluetooth), 802.15.2(Coexistence between WPAN and WLAN), 802.15.3 (High-rate WPAN), 802.15.4 (Low-rate WPAN) 등의 TG(Task Group)들이 활동하고 있다.....

    그 중 ZigBee(IEEE 802.15.4)는......

    사람들은 점점 편리를 추구하며 주변 환경 변화에 대한 불안감 해소 욕구 또한, 점점 강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USN을 응용한 시스템 개발에 일환으로 현재 인력에 의해 직접적으로 감시가 이루어지고 있어 많은 예산의 낭비와 인력의 낭비가 야기 되고 있는 산불방재 시스템에 ZigBee 기반의 무선센서모듈을 이용하여 Ad-hoc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USN 하드웨어를 구성하고, USN 기술을 이용하여 지능적으로 산불을 감시할 수 있는 산불 방재 모니터링 소프트웨어 시스템을 제안한다. 센서 네트워크 기술의 특징을 이용하여 대부분의 감시가 인력에 의해서 이루어지던 기존의 산불 방재 시스템을 개선하고 웹 카메라 모니터링 기능과 휴대폰 알림 메시지 기능을 추가하여 지능적으로 산불을 감시 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성하였으며, 구축된 시스템을 이용한 산불 모의실험을 통해 동작을 확인하고 시스템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해 보겠다.

    참고자료

    · [1] 박종욱, 주학수, 이재일, 이동훈,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의 정보보호 이슈와 동향,” 한국통신학회지 제 21권 6호, 6. 2006, pp. 90-92.
    · [2][ 박재성, 천성일, “ZigBee 기술 및 시장 동향,” 전자부품연구원, 12. 2005, pp. 7-8, 13-15.
    · [3] 엔터키너, “해외 센서 네트워크 기술개발 동향,” KETI. EIC, 10. 2005.
    · [4] 남용섭, 정하경, 권태경, 최양희,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에너지인지 라우팅 프로토콜,” 서울대학교, 10. 2005, pp. 2-3.
    · [5] 강희종, “지그비(ZigBee), 2007년 꽃핀다,” 아이뉴스24 기사, 25. 10. 2005.
    · [6] 박승창, 남상엽, 류영달, 이기혁, 김완석, “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기술,” Jinhan M&B, 9. 2005.
    · [7] 박종태, 이위혁, 조영훈, 나재욱,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에서 위치 측정 기술,” 전자공학회지 제32권 7호, 7. 2005, pp. 3-5.
    · [8] 손승원, “USN 정보보호 기술,” 전자공학회지 제32권 제 7호, 7. 2005, pp. 843-847.
    · [9] 사업기획개발센터, “ZigBee,” 전자부품연구원, 7. 2005, pp. 2-15.
    · [10] 이원준, 이춘화, “저속 WPAN,” 홍릉과학출판사, 6. 2005.
    · [11] 박승창, “USN 센서 노드와 관련된 국내 기업 및 제품의 최근 동향,” KETI. EIC, 5. 2005.
    · [12] 조영복, 정윤수, 김동명, 이상호,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저 전력 상호인증 프로토콜,” 충북대학교, 5. 2005, pp. 189-192.
    · [13] 왕위동, 서창근, 유상조, “애드 혹 네트워크 QoS 지원을 위한 우선순위 기반 MAC 프로토콜,” 한국통신학회논문지 Vol.30 No.2A, 2. 2005, pp. 2-7.
    · [14] 김신효, 강유성, 정병호, 정교일, “U-센서 네트워크 보안 기술 동향,” 전자통신 동향분석 제20권 제1호, 2. 2005, pp.93-94.
    · [15] 김창환, “USN 개념 및 최근 동향 분석,” KETI. EIC, 1. 2005.
    · [16] 이광겸, 윤미연, 손상철, 신용태,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에서 효율적인 에너지 분산을 위한 동적인 다중 라우팅 기법에 관한 연구,”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ol. 32, No.1(A), 2005, pp. 520-521.
    · [17] "RFID/USN 환경에서의 상황인식 기술 개발,“ KETI, 10. 2004, pp. 7-11.
    · [18] 윤성록, 서상호, 최호석, 황용석, 유형준, 박신종, “ZigBee: 저속-저가 저 전력의 무선통신 기술,” 한국정보통신대학교 시스템집적기술연구소, 9. 2004, pp. 3-5.
    · [19] 정성훈, 정호인, “IEEE802.15.4 and ZigBee Protocol,” 경원대학교, 7. 2004, pp. 71-72.
    · [20] 박승창, “U-Sensor의 System-On-Chip 개발 방향(Ⅲ),” KAIST, SIPAC, Vol.4 No.4, 7. 2004, pp. 16-17.
    · [21] 원광호, 김재호, 유준재, “지그비[ZigBee],” 전자부품연구원(KETI) 유비쿼터스컴퓨팅 연구센터, 7. 2004, pp. 112-116.
    · [22] 류영달, “유비쿼터스 관련 네트워크 기술,” 한국전산원 정보화기획단, 4. 2004.
    · [23] 손승원, “네트워크 보안 기술의 현재와 미래,” 한국전자통신연구원, 5. 2003, p. 91.
    · [24] 이성준, "ZigBee를 기반으로한 무선 센서 네트워크 프로토타입의 설계 및 구현,“ KPU, 2. 2003, p. 15.
    · [25] 노무라총합연구소(박우경, 김의 역), “유비쿼터스 네트워크와 신사회시스템,” 전자신문사, 2003.
    · [26] C. Intanagonwiwat et al., “Directed diffusion for wireless sensor networking,” Ieee/Acm Transactions on Networking, Vol.11, No.1, 2. 2003, pp. 2-16.
    · [27] Fan Ye, et al., “A scalable solution to minimum cost forwarding in large sensor networks,” Proc. Ten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uter Communications and Networks, 2001, pp. 304-309.
    · [28] K. Sorabi et al., “Protocols for Self-Organization of a Wireless SensorNetwork,” IEEE Personal Communication, Vol.7, No.5, 2000, pp. 16-27.
    · [29] W.R. Heizelman et al., “Adaptive Protocols for Information Dissemination in Wireless Sensor Networks,” Proc. ACM Mobicom, 9. 1999, pp. 174-185.
    · [30] M. Weiser, "Some Computer Science Issues in Ubiquitous Computing," Comm. ACM, Vol. 36, No. 7. 1993, pp.75-84.
    · [31] M. Weiser, "The Computer for the 21st Century," Scientific American, 1991, pp.94-104.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는 매우 유익하고, 주제가 잘 정리되어 있어 학습에 큰 도움이 됩니다. 특히 자료의 품질이 높고, 내용이 풍부하여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앞으로도 이러한 유익한 자료가 계속 등록되기를 기대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함께 구매한 자료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