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남식외, 「여성학강의」,(서울:동녘), 1991.
· 기독여민회 신학위원회,「성서가 보는 여성 여성이 보는 성서」
· -창세기에서, (서울:녹두), 1994.
· 김용옥, 「여자란 무엇인가」, (서울:통나무), 1989.
· 김윤옥, 「여성해방을 위한 성서연구」, (서울:한국신학연구소), 1988.
· 김희은 역, 「여성해방사상의 흐름」, (서울:백산서당), 1983
· 남세진, 「인간과 복지」, (서울: 한울 아카데미), 1992.
· 박경진,「선에 나타난 여성과 진리」, (인천:치국평천하), 1991.
· 박혜란, 「삶의 여성학」, (서울: 또 하나의 문화), 1993.
· 배경숙, 「여성과 법률」, (서울: 박영사), 1990.
· -----, 「한국 여성 법제사」, (서울:박영사), 1989.
· 백남운, 「조선사회경제사」, (서울: 이성과 현실), 1989.
· 서관모, 「한국 사회 계급 구성의 사회 통계적 연구」, 김진균 외, 「산업 사회연구」, (서울: 한울), 1986.
· 서진영, 「여자는 왜?」, (서울:동녘), 1993.
· 신인령, 「여성.노동.법」, (서울:풀빛), 1985.
· 오욱환, 「학교교육의 불평등」,(서울: 교육 과학사). 1990.
· 윤태림, 「한국인」,(서울: 현암사), 1991.
· 윤후정외, 「법 여성학」, (서울: 이화여대출판부), 1989.
· 이우정,「여성들을 위한 신학」,(서울:한국신학연구소), 1990.
· 이현희, 「여성의 개화와 그 활동」, (서울:명문당), 1990.
· 진덕규, 「현대정치학」, (서울:학문과 사상사), 1993.
· 최만자, 「한국역사에 나타난 성차별」- 함께참여하는 여성신학 (서울:
· 대한기독교서회), 1991.
· 한국 여성 신학회 엮음,「성서와 여성신학」,(서울:대한기독교서회), 1995.
· 한국여성연구회, 「여성학 강의」, (서울:동녘), 1995.
· 황필호, 「철학적 여성학」, (서울:동녘), 1984.
· 권미경, “예수운동의 주체로서의 여성”, <여성, 평화연구 총서 2집>,
· (서울: 기독교여성평화연구원), 1991.
· 김태종, “여성의 인간회복에 관한 신학적 고찰”, 장로회 신학대학원
· 석사 학위논문.
· 이부영, “70년대의 한국사회와 언론”, <언론과 사회>, (서울:민중사).1983.
· 장 상, “초기 기독교 운동에서의 여자들의 위치와 역할 - 마가복음서를 중심으로” , <이화여대 논총48집>, (서울:한국문화연구원). 1986.
· 정현백, “새로 쓰는 여성의 역사”,「여성 2호」, (서울:창작과 비평사) 1989.
· 한국 여성 유권자 연맹, “한국 유권자의 정치적 태도와 행태의 남녀 비교 연구”, 1993.
· 한정숙,“혁명, 그리고 여성해방”, 「여성 2호」, (서울: 여성사 연구회 편).
· H.슈네어, 강기원 역, 여성의 권리, (서울:문학과 지성사), 1981.
· H.하이디하트만외, 김헤령외, 여성해방이론의 쟁점,(서울:태암), 1990.
· J.M.할케스, 안상임외, 「여성신학입문」,(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83.
· J.미첼, 이형랑외 공역,「 여성의 지위」,(서울:동녘), 1984.
· J. F. C. 해리슨, 이영석 역, 「영국 민중사」, (서울:소나무). 1989.
· J, 예레미아스, 「예수시대의 예루살렘」,(서울: 한국신학 연구소), 1988.
· Kay Deaux, 「남녀의 행동연구」, (서울: 이화여대 출판부). 1993.
· 클로디 블로이엘, 김주영 역, 「하늘의 절반」, (서울: 동녘). 1985.
· S.화이어스톤, 김예숙 역,「성의 변증법」,(서울:풀빛), 1983.
· 리우스, 이은순 역, 「페미니즘」, (서울:오월), 1991.
· 피오렌자,「크리스챤 기원의 여성신학적 재건」, (서울: 종로서적), 1986.
· R,류터,「페미니즘문학과 여성운동」-여성해방의 문학,(서울:평민사),1991.
· 대한민국 법전.
· 개혁성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