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인천지역 대학생의 식이태도 및 체형만족도와 비만도와의 비교 연구

인천지역 대학생의 식이태도 및 체형만족도와 비만도와의 비교 연구에 대한 논문입니다. 체형만족도와 식이태도에 대한 검사를 통하여 체성분검사의 상황과 본인이 느끼는 상황에 대한 차이를 고찰하였습니다. Body Dismorphic Disorder (신체이형장애)의 측면에서 고찰하였습니다.
11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07.03.12 최종저작일 2006.07
11P 미리보기
인천지역 대학생의 식이태도 및 체형만족도와 비만도와의 비교 연구
  • 미리보기

    소개

    인천지역 대학생의 식이태도 및 체형만족도와 비만도와의 비교 연구에 대한 논문입니다.
    체형만족도와 식이태도에 대한 검사를 통하여 체성분검사의 상황과 본인이 느끼는 상황에 대한 차이를 고찰하였습니다. Body Dismorphic Disorder (신체이형장애)의 측면에서 고찰하였습니다.

    목차

    I. 서론
    II. 연구대상 및 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방법
    3. 자료분석 및 통계처리

    III. 결과

    1. 신체적 특성 및 식이태도
    2. 체형만족도
    3. 체형만족도와 BMI
    4. 식이태도와 BMI
    5. BMI와 식이태도, 체형만족도와의 상관관계
    IV. 고찰 및 결론
    참고문헌
    (부록 1)

    본문내용

    I. 서론

    체중 감량 뿐 아니라 체형의 변화, 국소비만의 해소에 더욱 관심을 가지고 의료기관을 찾는 환자들이 증가하고 있다. 마른 몸매를 열망하는 것, 신체상 왜곡(Body Image Disturbance)과 비만은 모두 심각한 문제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다1). 그 중 신체상 왜곡은 세가지 측면을 포함하고 있는데, 신체 사이즈에 대한 과대평가와 같은 자각, 주관적 판단, 행동으로의 반영 등이 그것이다1). 신체 사이즈에 대한 과대평가는 일반적으로 식이장애(eating disorder)로 나타날 수 있으며, 정상체중을 가진 사람에서 관련되는 경우가 많다2,3). 성인 여성에서 다이어트에 대한 과도한 집착은 실제 체형과 이상적인 체형과의 불일치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된다4).
    식이장애 환자와 신체이형질환 환자는 정상인에 비해 체중과 체형에 대한 편견을 상당히 가지고 있었으며 그로인한 부정적인 자기평가를 내린다는 보고가 있다5). 신체이형질환(Body Dysmorphic Disorder;BDD)은 1886년 이탈리아의 Morselli에 의해 추형공포증(dysmorphophobia)이라 정의된 이후6),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III-R(DSM-III-R)에서 처음 독립적으로 분류된 질환이다7). 정상적인 외모를 가진 사람이 결함을 가졌다고 생각을 하거나, 가벼운 신체적 결함에 대한 집착 또는 과도한 관심이 신체이형질환의 필수증상이다8-11). 외모에 대한 불만은 특정한 부분일 수도 있지만, 처진 얼굴, 부적절하게 굳은 표정과 같이 매우 막연한 것일 수도 있다12).
    신체이형질환을 가진 환자 중 32.5%가 식이장애가 있으며, 9.0%가 신경성 식욕부진을 가지고 있고, 6.5%에서 신경성 식욕항진, 17.5%에서 진단되지 않는 섭식장애가 있는 것으로 보고12)되었으며, 식이장애를 가진 신체이형질환 환자가 식이장애를 가지지 않은 신체이형질환 환자에서보다 신체상 왜곡과 신체불만족도가 상당히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다12).
    이에 대한 치료방법으로서는 인지-행동치료(Cognitive-Behavioral treatment)13)가 제시되고 있으며, 이는 기존의 행동수정요법(Behavioral Weight Control)과는 달리 인지과정과 인지의 재구조화를 강조하며 폭식이나 신체상 장애, 낮은 자긍심과 같은 비만관련 문제들에 관심을 두고 있다. 한의학에서는 비만의 원인 가운데 內傷七情14)을 언급하였으며, 정서적 문제와 비만과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15,16)가 있었으나 임상증상에 대한 구체적 분석 및 치료방법에 대한 연구는 아직 많지 않다.
    따라서 저자들은 인천 소재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체형만족도 및 식이태도와 실제 체형에 대한 검사를 실시하여 체형만족도와 비만도와의 상관관계 및 식이태도와 비만도와의 관련성 등을 살펴보고 의미있는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고자 한다.

    참고자료

    · 1. Thompson JK. Assessing body image disturbance: measures, methodology, and implementation. In: Thompson JK, ed. Body image, Eating Disorders, and Obesity: An Integrative Guide for Assessent and Treatment.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996:49-81.
    · 2. Thompson JK. Introduction: body image, eating disorders, and obesity-an emerging synthesis. In: Thompson JK, ed. Body image, Eating Disorders, and Obesity: An Integrative Guide for Assessent and Treatment.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996:1-20.
    · 3. Cash TF, Winstead BA, Janda LJ. The great American shape-up body image survey report: Psychol Today. 1986;24:30-7.
    · 4. Broodie SM, Slade PD.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image and body fat in adult women. Psychol Today. 1988;18:623-31.
    · 5. Rosen JC, Ramirez E. A comparison of eating disorders and body dysmorphic disorder on body image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J Psychosom Res. 1998 Mar-Apr;44(3-4):441-9.
    · 6. Munro A , Steward M. Body dysmorphic disorder adn the DSM-IV : The demise of dysmorphophobia. Can J Psychiatry. 1991;36:91-96
    · 7. Phillips KA, McElroy, Keck PE Jr, Pope HG Jr, Hudson JI. Body dysmorphic disorder : 30 cases of imagined ugliness. Am J Psychiatry. 1993;150:302-308
    · 8.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Forth Edition. International Version.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1994, pp466-469
    · 9. Penzel FI. Body dysmorphic dysorder : recognition and treatment. Medscape Mental Health 2. 1997
    · 10. Phillips KA. The broken mirror : Understanding and treating body dysmorphic disorder.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96, pp209-232
    · 11. Veale D. Body dysmorphic disorder. Postgrad Med J. 2004 Feb;80(940):67-71.
    · 12. Ruffolo JS, Phillips KA, Menard W, Fay C, Weisberg RB. Comorbidity of body dysmorphic disorder and eating disorders: severity of psychopathology and body image disturbance. Int J Eat Disord. 2006 Jan;39(1):11-9.
    · 13. Katharine A Phillips. Body dysmorphic disorder: recognizing and treating imagined ugliness. World Psychiatry. 2004 Feb;3(1):12-7.
    · 14. 이병주, 김성동. 비만의 개념 및 변증시치에 관한 문헌적 고찰. 대전대학교 한의학연구소 논문집. 1998;7(1):533-41.
    · 15. 한애리, 송미연, 신현대. 심리적 stressor로서의 칠정과 비만과의 상관관계. 대한한방비만학회지.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는 주제에 대한 깊이 있는 분석이 돋보입니다. 과제를 작성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이런 좋은 자료가 많이 등록되기를 기대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함께 구매한 자료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