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참고문헌>
· 권미선(2006), 입소문의 진원지 얼리 리뷰어를 잡아라, www.chosun.com, 7월 2일.
· 뉴스와이어(2006), 여성 네티즌 절반, 인터넷에서 화장품 구입, www.newswire.co.kr, 6월 28일.
· 손찬, 한성수(2006), 인터넷쇼핑몰 시장 특성과 사업자 대응전략 , www.itfind.co.kr, 4월 5 일.
· 심화영(2006), 온라인쇼핑몰, 인터넷쇼핑 트렌드 선도 ‘트윈슈머’ 각광, www.dt.co.kr, 3월 3일.
· 연합뉴스(2003), 인터넷 ‘상품평’ 영향력 커져, http://article.joins.com, 5월 26일.
· 통계청(2006), 사이버쇼핑몰 통계조사 결과, www.nso.go.kr, 8월.
· 김창원(2000), 인터넷 마케팅, 학문사, 254.
· 김창호, 황의록(1997), 구전정보의 특성과 구전 효과의 관계, 광고연구, 35(여름호), 55-77.
· 로버트 치알디니(2002), 설득의 심리학, (주)북21, 184.
· 윤성준(2002), 온라인 소비자 행동의 이론과 실증, 집문당, 11.
· 예종석(2003), 인터넷 쇼핑몰 이용자의 불평행동, 집문당, 36.
· 주진윤, 김정일(2002), 가치 창출의 e마켓, 부키, 97.
· 커트 모텐슨(2006), 설득의 힘, (주)황금부엉이, 146.
· 김은혜(2005), 화장품 온라인구전이 소비자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 대학교 대학원 경영학과 석사학위논문.
· 박철, 정수연(2006), 온라인 소비자 구전에 대한 내용분석, 광고연구, 제 70호, 112.
· 박혜선(2004), 온라인 구전 커뮤니케이션의 정보특성이 제품의 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경영학과 석사학위논문.
· 이태민, 박철(2006), 온라인 구전정보의 방향성과 유형이 구매영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 과 미국의 국제비교, 마케팅연구, 21권 1호, 49-50.
· 전성률, 박현진(2003), 부정적 구전정보의 유형에 따른 구전효과의 차이에 관한 연구, 소비 자학연구, 14권 4호,
· 전성률, 허종호, 김종수(2006), 수직적 브랜드확장 시 구전정보의 방향성과 전달자의 전문성 이 확장제품 태도에 미치는 영향, 광고연구, 제 72호, 192-193.
· 지운철(2005), 온라인 쇼핑몰에서 사용 후기 메시지가 신뢰에 미치는 영향, 충북대학교 대 학원 경영학과 석사학위논문.
· 최경임(2006), 소비자 상품리플이 쇼핑구매에 미치는 영향 연구, 연세대학교 언론홍보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 <국외 참고문헌>
· Carson, Stephen J, Joann J. Peck, and Terry L. Childers(1996), Preliminary Results on the Determinants of Technology Assisted Shopping(TAS): A Model, Measure Development, and Validation, Proceedings of AMA Educators` Conference, AMA, Winter, 229-239.
· Chatterjee, P.(2001), Online reviews: Do consumers use them?,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28, 129-133.
· Chiou, Jyh-Shen & Cathy Cheng(2003), Should a Company Have Message Boards on Its Websites?, Journal of Interractive Marcketing, 17(3), 50-61.
· Donthu, Naveen and Adriana Garcia(1999), The Internet Shopper,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Vol.39 (3), 52-58.
· Maheswaran D. and J. Meyers-Levy(1990), The influence of Message Framing and Issue Involvement,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27(August), 361-367.
· Eagel, J. F, Kollat, D. T., & Blackwell, R D. (1968), Consumer Behavior(New York: Holt, Rinehart and Winston).
· Ratneshwar, S. & Chaiken, S.(1991), Effect on the Persuasive Impact of Source Cue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8(June), 52-62.
· Richins, Marsha L. (1979), Consumer Complain Process: A Comprehensive Model, Proceeding of the Conference on Consumer Satisfaction/ Dissatisfaction and Complaining Behavior, 30-34.
· Singh, & R. D. Howell(1985), Consumer Complaint Behavior, A Review and Prospectus, Journal of Consumer Satisfaction, Dissatisfaction and Complaining Behavior, Vol. 1, 41-49.
· Stauss, B.(1997), Global Word of Mouth: Service bashing on the Internet is a thorny issue, Marketing management, 6(3), 28-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