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유비쿼터스의 개요
2. 미래형 선진산업 분야
2.1 전력산업
2.2 위치기반서비스(LBS
2.3 U 헬스케어
2.4 스마트 타이어
2.5 스마트 디스플레이
2.6 홈 네트워킹
2.7 차세대 네트워크(NGN)프로젝트
3. 유비쿼터스의 영향
3.1 미래의 u우체국
3.2 유비쿼터스에 의한 가정내의 변화
4. 국내 기업 및 연구소의 지능형 홈 네트워크 개발 현황
4.1 삼성전자의 Digital Home
4.2 LG전자의 Dream Home
4.3 광주과학기술원의 UbiHome
Ⅲ 우리나라 주거문화의 변천사 및 브랜드 아파트의 탄생
1. 과거의 주거
2. 현대의 주거
3. 정보화 시대의 주거
4. 브랜드 아파트의 탄생과 유비쿼터스 시대의 개막
Ⅳ 연구방법
1. 연구문제
2. 조사대상 및 방법
3. 연구결과 분석
4. 논의-아파트 소비자 만족도 결정 요인
Ⅴ 결론 및 제언
1. 결론
2. 제언
참고문헌
부록
본문내용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지능형 홈 네트워크는 정부의 차세대 신 성장 동력산업의 하나로 육성되고 있으며, 디지털 TV, 지능형 로봇 등 신규성장산업과 상호 연결고리에 있는 산업분야이다.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정부는 IT839전략을 통해 서비스, 인프라 및 성장 동력산업이 홈 네트워크 분야와 연결되어 있고 다양한 산업의 기반이 되는 중요한 산업기술로 국민소득 2만불 달성을 견인하는 수단으로 육성하고 있다.
사회의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다. 인터넷이 확산된 정보화 사회에서, 서비스가 통합되고 공유 · 융합되는 지식기반사회로 그리고 가까운 미래에는 언제 어디서나 네트워크와 접속되는 유비쿼터스 환경의 지능기반사회로 변화하고 있다.
홈 네트워크의 목적은 홈서비스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수많은 홈서비스와 관련된 정보통신기술과 건축기술을 융합하기 위해서 2003년부터 홈 네트워크 시범사업이 시작되었고, KT컨소시엄과 SKT컨소시엄으로 서비스를 제공하였으며, KT컨소시엄은 700세대에 19개의 홈서비스를 시연하였고, SKT컨소시엄은 600세대에 20개의 서비스를 제공해 보았는데 서비스에는 원격제어, 원격검침, 가정방재, 가정안전, 원격의료, 원격교육 등이 있었다.
홈 네트워크 홈서비스는 삶의 질 향상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몇 년 전부터 4개의 범주로 즐거운 삶, 안전한 삶, 편리한 삶, 윤택한 삶을 표방하고 있으며, 양방향 디지털 TV, 네트워크게임, 재난방지, 침입탐지 출동, 정보가전제어 및 생활기기 제어, 원격영상의료상담, 지능형운동관리 등의 서비스가 시연되었다.
컨소시엄 형태로 구성된 곳에서는 홈 네트워크 시범사업을 통해 서비스를 체험하는 붐 조성과, 홈서비스를 평형과 지역에 관계없이 주택에 접목해 보았고 기기의 표준화, 건축 환경 표준화 및 인프라로서 홈 네트워크 기반구축의 중요성을 알게 되었으며, 건축계획 단계부터 반영되어야 U-life를 실현하는 유비쿼터스 환경을 대비 할 수 있게 되었다.
홈 네트워크는 홈서비스를 제어하는 홈오토메이션, 다양한 유무선의 홈 네트워크 기술, 초고속정보통신망의 3요소가 있어야 한다. 또한 이 3요소는 주택에서 구현되므로 이에 걸 맞는 주택환경이 요구된다. 홈 네트워크 아파트는 주택건설사, 인터넷서비스공급업체, 관리업체, 거주자의 4박자 구성요소가 있으며 상호 연관성이 서비스의 지속적인 동급과 개발 등 성공여부가 달려있다.
한편, 정보통신 분야의 라이프사이클은 매우 짧아 신규제품이 개발되어 시장에서 사용되고 또 급격히 사라지지만, 주택은 설계부터 입주까지 2~3년 이상의 장기간이 소요되며, 설계당시 미래기술에 대한 사전계획이 미비하면 콘크리트구조물의 특성상 가변이 용이치 못해 홈서비스의 수용에 한계가 있다는 점이 정보통신과 건설의 큰 차이점이라고 할 수 있다.
홈 네트워크를 홈서비스로 신규 건설시장에서만 한정적으로 적용된다면 연간 공급수량이 한정적이며, 홈 네트워크가 적용된 주택에서 거주하다가 적용치 않은 다른 주택으로 이사했을 경우 홈 네트워크 홈서비스의 단절이 생길 수 있다. 연간 30~50만호의 주택 신규공급으로는 활성에 걸림돌이 있으며, 기축 주택에 맞는 홈 네트워크 기술이 필요하다.
요즘 첨단 U-City가 화두이다. 분당, 일산, 평촌, 산보 등의 신도시에는 비디오폰과 일반전화만이 설치되었지만 새로 건설되는 파주, 판교, 화성, 아산, 수원 이의 등에는 초고속정보통신 특 등급 시설과 홈 네트워크가 적용될 것이다.
홈 네트워크가 구현되는 첨단신도시에는 도시 전역에서 24시간 실시간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유무선 통신망이 구축되어 있으며, 방재·환경·교통·에너지· 구급 등을 실시간 모니터링 하는 도시통합관리시스템이 있고, 전자상거래, 원격교육, 원격진료, 재택근무가 가능한 홈 네트워크 복지시설이 구현되어야 한다. 또한 첨단 정보통신 인프라 환경이 구축된 첨단도시에서는 정보고속화도로인 광대역 통합망과, 세대에서 고속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광케이블, 휴대인터넷 무선 와이브로, 차량의 텔레매틱스 서비스 등이 제공되어야 한다. 아울러 환경, 국토, 교통, 주거 등 공공시설이 종합관리되는 도시 종합 네트워크센터에서 방재, 의료 등이 종합서비스되어야 한다.
유시티 에는 주거와 공공이 IT기술로 연계된 복지도시가 되어야 한다. 즉, 원격진료, 전자민원, 원격교육, 원격검침 등 주거와 공공이 홈네트워크와 연계되어야 한다. 또한 IT무료 공공서비스가 제공되는 문화도시도 되어야 하고, 교통안내시스템, 디지털박물관, 도서관 등이 있으며, 인터넷과 접속되는 디지털 키오스크가 공원에 설치되는 등 공공 IT 복지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한다.
홈 네트워크 시범사업을 통해 건설사들은 홈서비스가 적용되기 어려운 건축 환경을 이해하게 되었다. 홈 오토에 게이트웨이 연동배선, 세대단자함 규격협소, 설치장소의 유연성 부족 등 주택에서 서비스 구현을 위한 구내배선의 중요성을 알게 되었음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그리고 함, 스위치가 매입 되어있지 않아 서비스가 곤란하거나, 가스밸브가 불과 가까워 설치가 곤란했으며, 블로킹필터 설치 공간부족, 무선LAN 설치시 거리한계로 설치위치 고려 등 디바이스 위치 표준화의 필요성이 있음을 인지하게 되었다.
홈 네트워크는 편리, 안전, 윤택, 즐거운 삶을 담는 그릇이다. 다양한 홈 네트워크 서비스를 다양한 과일로 비유하면, 기기는 서비스를 담는 손에 해당될 것이며 건축은 담는 그릇이 될 것이다. 그릇이 없으면 서비스를 담을 수 없으며, 건축의 담는 그릇이 있고 접속할 수 있는 기기가 있다면 어떤 새로운 홈서비스라는 과일도 담을 수 있을 것이다. 유성훈 유비쿼터스 시스템연구센터 연구원 하우진. 2005년 6월호
이에 본 연구에서는 최근의 부동산 시장을 뜨겁게 달구고 있는 유비쿼터스 기술의 주택시장에의 접목에 의한 가격상승 및 소비자의 욕구요인으로 평가되고 있는 유비쿼터스 주택이 각광을 받고 있다.
이러한 기술의 진보가 우리나라의 주거문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의 여부에 대한 연구를 진행 하고자 한다.
참고자료
· 금강기획, “브랜드 자산의 가치 측정 및 전략적 활용” 마케팅 전략 연구소, 1997
· 금강기획, “광고인을 위한 브랜드 지식” 마케팅 전략 연구소, 1996
· 경남발전연구원, 지능형 홈 네트워크 산업클러스터 조성방안, 2003. 10.
· 김동석, “신도시 아파트 사업을 위한 주택사업자의 마케팅 전략에 관한 연구”한양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0
· 김영환, “상표이미지가 구매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노장오, “브랜드 마케팅”. 서울 : 김영사, 1997
· 동아일보, “주요 아파트의 브랜드 유형” 2000, 6, 5
· 문동진, “브랜드 개성이 소비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9
· 이범렬, “홈네트워킹 기술/시장 분석”, 벤처기술평가센터 2002. 4. 27
· 임선희, “상표명이 제품평가 및 구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연구” 서울여자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4
· 안광호, “광고원론”, 1999
· 조명전기설비학회지, 홈 네트워크와 정보통신 기반기술, 2001
· 파이낸셜신문, “브랜드 이미지” 2003, 10, 30
· 파이낸셜신문, “루 하우징 파워 브랜드”2003, 10, 30
· 하봉준, “제품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신문방송학과 박사학위 논문, 1999
· 한창희 “신문광고가 아파트 구매행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9
· Andrew S. Tanenbaum. Computer Networks. 4th ed. New Jersey : Publishing as Prentice Hall PTR, 2003
· http://my.netian.com/~nobum/2.htm#홈네트워크
· http://kiturami.co.kr/company_magazine/2002_winter/2002_winter/digital_world/ contents2.html
· http://mis.chungbuk.ac.kr/board/delform.asp?idx=7405&ref=7405
· http://www.iec.org/online/tutorials/home_net/index.html
· http://www.imokpo.co.kr/~bando/pc/homenw/
· http://www.hswap.com/application/Homeapp.htm
· ETRI IT 정보센터, 최근의 홈네트워크 기술동향 및 시장 전망, 2003
· 마산밸리, http://www.gmvalley.org/program/runiboard/run.asp?board=smart
· 중소기업청, http://emedia.smba.go.kr/news/press/read.asp?id=030922000003
· 한국전파진흥협회, http://www.rapa.or.kr/korean/data/2002/12/2002_12_02.htm
· 기업나라, http://nara.sbc.or.kr/200307/project/project01.htm
· 차세대통신, http://acer.com.ne.kr/uvquatus.htm
· 충주대학교, http://210.119.147.69/cyberbook/yang/com_ppt/cah16.ppt
· KAIST, http://vr.kaist.ac.kr/DMS_home/list/132.htm
·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http://www.tta.or.kr/weekly/weekly_contents.jsp?id=224
· 유스팟, http://www.u-spot.co.kr/franchise/web/popup/u_info/sensor.html
· S&C, http://www.esenci.com/wireless_homenet.html
· 광운대학교, http://adams.gwu.ac.kr/lecture2003/spring/smarthome.files/frame.htm#slide0210.htm
해피캠퍼스에서는 자료의 구매 및 판매 기타 사이트 이용과 관련된 서비스는 제공되지만, 자료내용과 관련된 구체적인 정보는 안내가 어렵습니다.
자료에 대해 궁금한 내용은 판매자에게 직접 게시판을 통해 문의하실 수 있습니다.
1. [내계정→마이페이지→내자료→구매자료] 에서 [자료문의]
2. 자료 상세페이지 [자료문의]
자료문의는 공개/비공개로 설정하여 접수가 가능하며 접수됨과 동시에 자료 판매자에게 이메일과 알림톡으로 전송 됩니다.
판매자가 문의내용을 확인하여 답변을 작성하기까지 시간이 지연될 수 있습니다.
※ 휴대폰번호 또는 이메일과 같은 개인정보 입력은 자제해 주세요.
※ 다운로드가 되지 않는 등 서비스 불편사항은 고객센터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찾으시는 자료는 이미 작성이 완료된 상태로 판매 중에 있으며 검색기능을 이용하여 자료를 직접 검색해야 합니다.
1. 자료 검색 시에는 전체 문장을 입력하여 먼저 확인하시고
검색결과에 자료가 나오지 않는다면 핵심 검색어만 입력해 보세요.
연관성 있는 더 많은 자료를 검색결과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검색결과가 너무 많다면? 카테고리, 기간, 파일형식 등을 선택하여 검색결과를 한 번 더 정리해 보세요.
2. 검색결과의 제목을 클릭하면 자료의 상세페이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썸네일(자료구성), 페이지수, 저작일, 가격 등 자료의 상세정보를 확인하실 수 있으며 소개글, 목차, 본문내용, 참고문헌도 미리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검색기능을 잘 활용하여 원하시는 자료를 다운로드 하세요
자료는 저작권이 본인에게 있고 저작권에 문제가 없는 자료라면 판매가 가능합니다.
해피캠퍼스 메인 우측상단 [내계정]→[마이페이지]→[내자료]→[자료 개별등록] 버튼을 클릭해 주세요.
◎ 자료등록 순서는?
자료 등록 1단계 : 판매자 본인인증
자료 등록 2단계 : 서약서 및 저작권 규정 동의
서약서와 저작권 규정에 동의하신 후 일괄 혹은 개별 등록 버튼을 눌러 자료등록을 시작합니다.
①[일괄 등록] : 여러 개의 파일을 올리실 때 편리합니다.
②[개별 등록] : 1건의 자료를 올리실 때 이용하며, 직접 목차와 본문을 입력하실 때 유용합니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