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전기방사에 의한 탄소섬유제조

전기방사에 의한 탄소섬유제조하는 실험보고서입니다. 실험중에 찍은 사진 및 자세한 실험 과정 포함되어있습니다.
43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06.11.17 최종저작일 2006.06
43P 미리보기
전기방사에 의한 탄소섬유제조
  • 미리보기

    소개

    전기방사에 의한 탄소섬유제조하는 실험보고서입니다.
    실험중에 찍은 사진 및 자세한 실험 과정 포함되어있습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2-1. 탄소섬유
    2-2. 전기방사
    2-2-1. 전기방사 메카니즘
    2-2-2. Taylor식의 유도
    2-3. 흡 착
    2-3-1. 흡착의 정의
    2-3-2. 흡착에너지
    2-3-3. 물리흡착(physorption)
    2-3-4. 화학흡착(chemisorption)
    2-4. PAN(polyacrylonitrile)
    2-5. DMF(N,N-Dimethyl formamaide)
    Ⅲ. 실 험
    3-1. 시 약
    3-1-1. PAN(polyacrylonitrile)
    3-1-2. DMF(N,N-dimethylformamide)
    3-1-3. AEROSIL
    3-2. 실험 장치
    3-2-1. Hot plate
    3-2-2. Clamp
    3-2-3. Syringe & needle - 30cc., 18G
    3-2-4. A balance
    3-2-5. Electrospinning reactor & Electrospun process controller & Electrospun system controller
    3-2-6. Oxidation reactor
    3-2-7. Carbonization reaction
    3-2-8. BET
    3-3. 실험방법
    3-3-1. 방사용액의 제조
    3-3-2. 용액의 거치
    3-3-3. 용액의 방사
    3-3-4. 산 화
    3-3-5. 탄 화
    3-3-6. 후 처리

    본문내용

    가는관 속으로 폴리머 용액을 통과시키면 용액자체는 일반적으로 표면장력을 받아 완전한 형태를 유지한다. 그 때 동 용액에 전하가 걸리고 집속판 부근에 위치한 관 끝에서 용액 방울이 낙하하게 되면, 전압강하가 일어나면서 표면장력보다 전기력이 커지게 된다. 따라서 용액 방울의 낙하는 늦어지며, 집속판 쪽으로 뿜어지게 된다. 뿜어지는 궤적은 초기에는 rectolinear의 형식을 띄지만 이후 빠르게 회전하면서 집속판 부근까지 나선형으로 몇 미터를 뻗어나가게 된다. 뻗어나가는 길이는 폴리머 용액의 증발시간에 달려있으며, 길고 가는 섬유형태로 남게 된다. 결국 집속판에는 불규칙 형태로 섬유가 모아지게 되어 부직포형태와 비슷한 섬유의 배열이 나타난다[1].
    전기방사는 매우 가는 섬유를 제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분자의 응용 범위가 매우 넓고, 설비비가 저렴하고, 장치가 간단하며, 방사 공정이 복잡하지 않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 실험에서는 PAN(polyacrylonitrile)을 DMF(N,N-dimethylformamide)에 녹인 다음 silicon souce인 TEOS(tetraethly orthosilicate)를 녹여서 전기방사로 탄소 섬유를 제조하고, silicon을 불산에 녹임으로서 만들어지는 기공에 의한 비표면적 변화를 알아본 다음 산화 과정과 탄화과정의 전과 후 질량 변화를 측정해 보았다.

    참고자료

    · 1. http://kcfa.or.kr/jboard/?code=gi5&p=detail&id=23
    · 2. http://cgi.chol.com/~swethom/technote/read.cgi?board=cinema&y_number=207&nnew=2
    · 3. http://epic.kdi.re.kr/epic/epic_view.jsp?num=74021&menu=2
    · 4. J. Doshi and D. H. Reneker, "Electrospinning Process and Applications of Electrospun Fibers", J. Electrostatics, 35, 151-160(1995).
    · 5. Y. M. Shin, M. M. Hohman, M. P. Brenner, and G. C. Rutledge, "Experimental Characterization of Electrospinning: the Electrically Forced Jet and Instabilities", polymer, 42, 9955-9967(2001).
    · 6. J. M. Deitzel, J. D. Kleinmeyer, J. K. Hirvonen, and N. C. Beck Tan, "Controlled Deposition of Electrospun Poly(Ethylene Oxide)Fibers", polymer, 42, 8163-8170(2001).
    · 7. 조용준, 장덕례, 허기석, 최창남, “첨가물 함량 및 종류에 따른 PAN/DMF 용액의 전기방사에 의한 나노섬유 제조 및 특성”, Applide Chemystry, Vol 9, No 1, (2005)
    · 8. http://www.qrsc.or.kr/news/no14/survey1.pdf
    · 9. http://www.banax.co.kr/main.asp
    · 10. J.B. Donnet, R.C. Bansal, "Carbon fibers", Marcel dekker, Inc., 27-30 (1984)
    · 11. 朴永泰 編, 活性炭, 東和技術, 15-30 (1996)
    · 12. D. H. Reneker and I. Chun, “Nanometre Diameter Fibres of Polymer, Produced by Electrospinning”, Nanotechnology, V(7), 216∼223(1996)
    · 13. J. Doshi and D. H. Reneker, “Electrospinning Process and Applications of Electrospun Fibers”, J. Electrostatic, V(35), 151∼160(1995)
    · 14. L. Larrondo and St. John Manley R,“Electrostatic Fiber Spinning from Polymer Melt. Ⅰ. Experimental Observation on Fiber Formation and Properties”, J. Poly. Sci., Polymer Physics Edition, V(19), 909∼920(1981)
    · 15. L. Larrondo and St. John Manley R, “Electrostatic Fiber Spinning from Polymer Melt. Ⅱ. Examination of the Flow Field in an Electrically Driven Jet”, J. Poly. Sci., Polymer Physics Edition, V(19), 921∼932(1981)
    · 16. L. Larrondo and St. John Manley R, “Electrostatic Fiber Spinning from Polymer Melt. Ⅲ. Electrostatic Deformation of a Pendant Drop of Polymer Melt”, J. Poly. Sci., Polymer Physics Edition, V(19), 933∼940(1981)
    · 17. J. H. Shin, “용융전기방사법을 이용한 폴리에스테르 섬유 제조 및 그 특성”, pp.4-10(2003)
    · 18. G. Taylor, “Disintegration of Water Drops in an Electric Field”, Proc. R. Soc. pp.383-397(1964)
    · 19. G. Taylor, “Electrically Driven Jets”, Proc. R. Soc. A. V(313), pp.453-475(1969)
    · 20. R. L. Burwell Jr., Adv. Catal., 26, p.351(1997)
    · 21. Y. A. Kang, “Dynamic adsorption behaviors of DMMP on ACF packed column”, pp.16-18(2003)
    · 22. Y. R. Lee, “표면처리 활성탄소섬유에 의한 U(VI)의 전기흡착”, pp.4-5(2004)
    · 23. http://www.cheric.org/ippage/d/ipdata/2001/05/file/d200105-02.hwp
    · 24. http://mbel.kaist.ac.kr/lecture/che201/2002-3.ppt
    · 25. http://pslc.ws/mactest/pan.htm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는 과제에 직접 활용할 수 있는 유용한 내용이 많아,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계속 좋은 자료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함께 구매한 자료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