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사회과학]사이버 도박에 대한 고찰 (A+ Report)

A+ 보고서입니다. PPT 자료도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레포트 작성에 많은 도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견해를 덧붙여 좋은 레포트 작성 하시기 바랍니다.
28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06.09.13 최종저작일 2006.06
28P 미리보기
[사회과학]사이버 도박에 대한 고찰 (A+ Report)
  • 미리보기

    소개

    A+ 보고서입니다.
    PPT 자료도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레포트 작성에 많은 도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견해를 덧붙여 좋은 레포트 작성 하시기 바랍니다.

    목차

    Ⅰ. 논의의 필요성

    Ⅱ. 개념

    1. 도박
    1) 정의
    2) 역사
    2. 사이버도박
    1) 정의
    2) 역사
    3) 종류
    4) 문제점

    Ⅲ. 발생현황 및 통계

    1. 영상물 등급위원회의 등급자료
    2. 해외 한글제공 도박사이트 차단요천
    3. 불법 · 유해정보 신고센터를 통해 처리된 신고건수

    Ⅳ. 주요 사례

    Ⅴ. 적용법규

    1. 도박죄의 의의
    1) 단순도박죄
    2) 상습도박죄
    3) 도박개장죄
    2. 복표 발매 · 중개 · 취득죄
    3. 외국의 입법례
    4. 법률개선방향

    Ⅵ. 문제점 및 대응방안

    1. 문제점
    1) 미성년자의 도박행위
    2) 도박중독자
    3) 범죄적 이용
    4) 인터넷상의 문제점
    2. 대응방안
    1) 국가적 차원
    2) 개인적 차원

    Ⅶ. 맺음말

    참고문헌 및 인터넷사이트

    본문내용

    Ⅰ. 논의의 필요성

    90년대 중반부터 컴퓨터 및 인터넷이 일반 가정에 보급되기 시작한 우리나라가, 그로부터 약 10여년 정도의 시간이 흐른 지금, 인터넷 가입자 천만 명 시대를 맞이하며 인터넷 보급률 면에서 세계 최고의 수준을 이루고 있다.
    인터넷 사용이 보편화 되면서 사이버공간은 우리 생활에 있어서 빼놓을 수 없는 영역이 되었고, 이제는 인터넷이 없이는 채 하루도 업무나 학습과 같은 일상 중 중요 부분의 원활한 수행이 곤란할 정도가 되었다.
    이러한 사이버공간은 우리에게 ‘필요한 정보의 신속하고 방대한 검색’, ‘인간관계의 형성 및 유지’, ‘인터넷 쇼핑 등의 편리함’ 등과 같이 여러 가지 이점을 제공해 주지만, 사이버공간의 비중이 커질수록 현실에서 일어나는 각종 범죄 또한 함께 반영되기도 한다.
    사이버공간에서 일어나고 있는 여러 종류의 범죄 중, 사이버도박은 단지 사이버공간에서 스트레스 해소를 위하여 이루어지는 게임으로 끝나지 않고, 현실세계의 도박과 마찬가지로 중독성이 강하며, 이에 중독이 되면 가상의 돈이 아닌, 현금을 이용한 실제 도박행위로 이어지는 형태로 변질되어 문제가 되고 있다.
    이에 사이버 도박의 의의를 시작으로, 실태 및 사례, 관련 법규와 대응책 등을 생각해봄으로써 보다 건전한 사이버문화를 만들어 가는데 이바지할 수 있다.



    Ⅱ. 개념

    1. 도박

    1) 정의
    돈이나 재물을 걸고 따먹기를 겨루는 짓을 일컫는 말로, 노름이나 돈내기로 표현하기도 하며 불가능하거나 어려운 일에 요행수를 바라고 손을 대는 일 동아 새국어사전, 1995, 동아출판사, p.535
    을 말한다.

    2) 역사 두산세계대백과 엔싸이버 http://www.encyber.com/

    도박은 동 ·서양을 막론하고 역사가 길다. BC 1600년에 타우(Tau) ·세나트(Senat)라는 도박이 이집트에 있었고, 고대 로마에는 여러 가지 도박기구가 있었다고 한다. 성서에는 제비뽑기를 하였다는 기록이 있고, 아메리카 대륙의 원시벽화에는 도박을 하는 사람들이 그려져 있다. 동양에서는 도박에 쓰이는 주사위가 고대 인도에서 발상하였다고 하며, 위기(圍碁), 즉 바둑은 요(堯) ·순(舜) 이래로 전해올 만큼 역사가 오래다. 한국의 경우 《삼국사기(三國史記)》 <백제기(百濟紀)>에 의하면 백제의 개로왕(蓋鹵王:재위 455∼475) 때 고구려의 간첩승(間諜僧) 도림(道琳)이 개로왕과 바둑을 두며, 국사를 돌보지 않게 하여 백제를 망쳤다고 한다. 신라는 738년(효성왕 2)에 형도(刑璹)가 당(唐)에서 바둑을 들여왔다고 한다. 그 후 투호(投壺:화살을 병 속에 던져 넣는 놀이), 상희(象戱:장기의 전신) 등이 당나라에서 들어와 고려 ·조선 시대에 전해졌다. 《중종실록(中宗實錄)》에 쌍륙(雙六)에 관한 기록이 있고, 투전(鬪牋)은 청나라 때 들어왔다고 전한다.

    참고자료

    · 동아 새국어사전, 1995, 동아출판사, p.535
    · 두산세계대백과 엔싸이버 http://www.encyber.com
    · 한겨례21, 2001.3.13.
    · 동아일보, 신동아, 김순희, 2004.12.1.
    · KT www.kt.co.kr
    · 권지연, “사이버 도박에 대한 소고”,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소 법학연구 논문 12권 3호 4.
    · 영상물등급위원회 홈페이지 http://www.kmrb.or.kr
    · 정보통신윤리위원회, 정보통신윤리통계, 2003
    · YTN 뉴스 2005.5.1
    · 서울지방경찰청 홈페이지 http://www.smpa.go.kr
    · 정보통신윤리위원회, 정보통신윤리 2006년 1·2월호
    · 연합뉴스 2006.4.30, 2005.5.1 http://www.yonhapnews.co.kr
    · 중앙일보 2005.12.8 http://www.joins.com
    · 경향신문 2005.11.7 http://www.khan.co.kr
    · 세계일보 2005.9.7 http://www.segye.com
    · 아이뉴스 2004.1.24 http://www.inews24.com
    · 사이버범죄총람, 김연수 549면
    · 형법각론, 손동권 603, 605~608면
    · 형법각론, 이재상 643, 647면
    · 대판 1960.11.16, 4293형상743
    · 대판 1983.3.22 82도2151
    · 대판 1983.6.28 83도1044; 1984.4.10 84도194
    · 대판 1978.2.28 77도3999
    · 대판 1995.7.11 95도955
    · 대판 1985.6.11 85도748
    · 대판 2002.4.12 2001도 5802
    · 대판 2003.12.26 2003도5433
    · 정보통신윤리 2003년7월호, 정보통신윤리위원회
    · 배종대, 형법각론(제3판), 1999 홍문사 685면 각주4)
    · 사이버범죄총람, 김연수 761,762면
    · 매일경제 2006.5.4
    · 정완, 수사연구, 사이버도박의 사례와 대응 (2001.8)
    · 대판 2004.4.23 2002도2518
    · 『인터넷 상습도박 방지책 추진』, 한겨레신문, 2000. 3. 19.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는 깊이 있는 분석과 명확한 설명이 잘 어우러져 있어 학습에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과제 작성 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었습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함께 구매한 자료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