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기본자료
· 김중식, 『황금빛 모서리』, 문학과 지성사, 1993.
· 2) 단행본
· 가스통 바슐라르, 정영란 옮김,『공기의 꿈- 운동에 관한 상상력 연구』, 민음사, 1993.
· , 김현 옮김, 『몽상의 시학』, 기린원, 1989.
· , 이가림 옮김,『물과 꿈』, 문예출판사, 1985.
· 김준오, 『시론』,문장사, 1982.
· 니이체, 『운명의 별이 빛날 때』, 문예출판사, 1986.
· 뷰먼, 셀리, 김유원 옮김, 『운명』, 청조사, 1987.
· 장석주, 『풍경의 탄생 - 한국시의 이미지 계보학을 위해』, 인디북, 2005.
· 조르쥬 나티프, 김정란 옮김, 『상징 ․ 기호 ․ 표지』, 열화당,
· 3) 평론
· 강상희, 「사막 가는 길, 자유의 길 - 따뜻한 비관주의자를 이해하기 위하여」,『황금빛 모서리』, 문학과 지성사, 1993.
· 김정란, 「베이스 캠프인 삶, 비참의 장엄」,『현대시』, 한국문연, 1993. 3.
· 김혜순, 「죽음을 해체중인 시인들 - 채호기, 함민복, 김중식, 노태맹의 시」, 『현대시학』, 현대시학사, 1992. 4.
· 구모룡, 「억압된 타자들의 목소리 - 1980년대 모더니즘시의 전개」, 『현대시사상』, 1995, 가을.
· 권성우, 「다시, 신세대문학이란 무엇인가」, 『창작과 비평』, 1995.봄.
· 신범순, 「90년대 신세대 시인들의 시적 지평 1 - 작은 세계의 매혹」, 『현대시학』, 현대시학사, 1991. 10.
· 이경철, 「궁핍한 시의 시대, 젊은 시인들」, 『현대문학』, 1993. 9.
· 이숭원, 「서정시의 새로운 물결」, 『현대시』, 한국문연, 1996. 9.
· 오세영, 「점은 시인의 가능성」,『한국문학 1-2 합병호』, 1992.
· , 「보여주기의 몽따쥐」,『시와 시학』,1993. 겨울.
· 정과리, 「기억의 저편 - 점은 시인들의, 세상」,『문학과 사회』, 1993. 겨울.
· 정한용, 「황금빛 새를 찾아서」, 『현대시학』, 현대시학사, 1993. 7.
· 4) 기타
· 김중식, 「주마간산하며 연목구어하기」, 『대중적 전위주의 선언 - 21세기 전망 제 3집』,세계사, 19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