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TINUM
PLATINUM 등급의 판매자 자료

[동양철학 춘추전국시대 여씨춘추]여씨춘추 여불위 계春紀第二 끝 봄달기 제2

중국 진(秦)나라의 재상 여불위(呂不韋 : ?~BC 235)가 선진(先秦)시대의 여러 학설과 사실(史實)·설화를 모아 편찬한 책. 26권. 진나라 장양왕(莊襄王)의 즉위에 공을 세우고 시황제(始皇帝) 초기까지 재상으로 재임했던 여불위가 식객 3,000명에게 저술을 맡겨 편찬했다고 하는데, 일종의 백과전서라 할 수 있다. 후대의 가필도 약간 포함되어 있다. 〈십이기 十二紀〉·〈팔람 八覽〉·〈육론 六論〉으로 구성되어 있다. 〈십이기〉의 춘하추동(春夏秋冬)에서 `여씨춘추`라는 명칭이 생겼으며, 〈팔람〉에서 이름을 따 `여람`(呂覽)이라고도 한다. 〈십이기〉는 4계절의 순환과 만물의 변화, 인사(人事)의 치란(治亂)·흥망·길흉의 관계를 기록하고 있다. 〈팔람〉은 유시(有始)·효행(孝行)·신대(愼大)·선식(先識)·심분(審分)·심응(審應)·이속(離俗)·시군(恃君) 등 8부로, 〈육론〉은 개춘(開春)·신행(愼行)·귀직(貴直)·불구(不苟)·사순(似順)·사용(士容) 등 6부로 되어 있다. 도가(道家)·유가(儒家)·법가(法家)·음양가(陰陽家)·농가(農家) 등의 여러 설과 시사(時事)를 수록하고 있어 선진시대의 사상사 등을 연구하는 데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자료이다. 주석서로 윤중용(尹仲容)의 〈여씨춘추교석 呂氏春秋校釋〉 등이 있다. 여씨춘추 여불위 계春紀第二 끝 봄달기 제2 원문 및 한글번역
6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06.07.28 최종저작일 2006.07
6P 미리보기
[동양철학 춘추전국시대 여씨춘추]여씨춘추 여불위 계春紀第二 끝 봄달기 제2
  • 미리보기

    소개

    중국 진(秦)나라의 재상 여불위(呂不韋 : ?~BC 235)가 선진(先秦)시대의 여러 학설과 사실(史實)·설화를 모아 편찬한 책.

    26권. 진나라 장양왕(莊襄王)의 즉위에 공을 세우고 시황제(始皇帝) 초기까지 재상으로 재임했던 여불위가 식객 3,000명에게 저술을 맡겨 편찬했다고 하는데, 일종의 백과전서라 할 수 있다. 후대의 가필도 약간 포함되어 있다. 〈십이기 十二紀〉·〈팔람 八覽〉·〈육론 六論〉으로 구성되어 있다. 〈십이기〉의 춘하추동(春夏秋冬)에서 `여씨춘추`라는 명칭이 생겼으며, 〈팔람〉에서 이름을 따 `여람`(呂覽)이라고도 한다. 〈십이기〉는 4계절의 순환과 만물의 변화, 인사(人事)의 치란(治亂)·흥망·길흉의 관계를 기록하고 있다. 〈팔람〉은 유시(有始)·효행(孝行)·신대(愼大)·선식(先識)·심분(審分)·심응(審應)·이속(離俗)·시군(恃君) 등 8부로, 〈육론〉은 개춘(開春)·신행(愼行)·귀직(貴直)·불구(不苟)·사순(似順)·사용(士容) 등 6부로 되어 있다. 도가(道家)·유가(儒家)·법가(法家)·음양가(陰陽家)·농가(農家) 등의 여러 설과 시사(時事)를 수록하고 있어 선진시대의 사상사 등을 연구하는 데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자료이다. 주석서로 윤중용(尹仲容)의 〈여씨춘추교석 呂氏春秋校釋〉 등이 있다.
    여씨춘추 여불위 계春紀第二 끝 봄달기 제2 원문 및 한글번역

    목차

    없음

    본문내용

    罘(사슴그물, 그만하다 부; 罓-총9획; fú)
    羅(새그물, 깁, 벌릴 라{나}; 罓-총19획; luó)
    網(그물의 일반적인 이름, 무늬, 규칙 망; 糸-총14획; wǎng)
    餧(먹일, 기르다, 잡다 위; 食-총17획; weì)
    이 계춘월에는 물과 땅의 관리에게 명령하여 말하길 때맞춰 비가 내리게 하고, 하수가 위로 오르게 하고 나라와 도읍을 순행하고, 두루 고원과 들을 보고, 제방을 수리하고, 도랑을 인도하여 준설하고, 도로를 개통케 하고, 막힘이 없게 하고, 사냥함에 족대와 주살 그물을 사용하고, 짐승을 잡는 약은 천자의 12문 중에서 서쪽, 남쪽, 북쪽의 9문으로 나가지 못한다.
    是月也, 命野虞, 無伐桑柘.
    野虞: 목재를 주관하는 관리
    柘(산뽕나무, 산상, 적황색 자; 木-총9획; zhè).
    이 계춘월에는 야우에게 명령하여 누에치는 뽕나무와 산뽕나무는 벌채하지 못하게 한다.
    鳴鳩拂其羽, 戴任降于桑.
    우는 비둘기에 그 깃을 떨쳐서 올라가고 대임[뻐꾸기]는 뽕나무에서 하강한다.
    具栚曲[竹+豦]筐, 后妃齋戒, 親東鄕躬桑, 禁婦女無觀.
    栚(누에 시렁대,나무이름 짐; 木-총10획; zhèn): 망치
    曲: 잠박(蠶箔)ꃃ〖농업〗 =누에 채반.
    [竹+豦]: 바닥이 둥근 대그릇 거,
    筐(광주리, 침상, 비녀 광; 竹-총12획; kuāng): 바닥이 네모난 광주리
    망치와 누에채반과 광주리를 갖추고 후비가 재계하면서 친히 동쪽으로 향하여 몸소 뽕나무 누에를 치고 부녀들이 일 없이 노는 것을 금지하게 한다.
    省婦使, 勸蠶事, 蠶事旣登, 分繭稱絲效功, 以共郊廟之服, 無有敢墮.
    省: 줄이다.
    使: 事와 같다. 다른 일을 줄이고 누에 치는 일에 몰두토록 권면한다.
    登(오를 등; 癶-총12획; dēng): 완성된다.
    分繭: 고치의 질을 평가하다.
    繭(고치, 이어지다 견; 糸-총19획; jiǎn)
    稱絲: 실의 양을 달아서 평가하다.
    效功: 성적을 평가하다.
    共: 供(이바지할 공; 人-총8획; gōng,gòng)과 같음, 공급하다.
    郊(성 밖, 국경 교; 邑-총9획; jiāo): 하늘에 제사지내는 일
    廟(사당 묘; 广-총15획; miào): 조상에 제사지내는 일
    墮(떨어질 타; 土-총15획; duò,huī): 惰(게으를 타; 心-총12획; duò,huī)와 같음.
    부녀들의 사역을 덜고, 누에치는 일을 권고하여 누에일이 이미 완성되면 고치를 구분하여 실의 양을 달아서 공로를 평가하여 하늘 제사와 종묘의 복장을 공급하니 감히 게으름을 피움이 없다.
    是月也, 命工師, 令百工, 審五庫之量, 金鐵、皮革筋、角齒、羽箭幹、脂膠丹漆, 無或不良.
    幹: 桿(杆(나무 이름 간; 木-총7획; gān,gǎn)의 俗字; 木-총11획; gǎn,gān)과 같음, 화살대
    이 계춘월에는 공사에게 명령하고 모든 공인에게 시켜서 5곳간의 수량을 헤아리게 하니, 쇠와 철이 한 곳간을 이루고, 피혁과 근육이 한 곳간을 이루고, 뿔과 치아, 깃과 화살대가 한 곳간을 이루고, 비계 아교 붉은 옷칠이

    참고자료

    · 여씨춘추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제공한 자료는 전문 지식를 바탕으로 한 내용이 많아, 과제에 쉽게 적용할 수 있었습니다. 매우 만족스러웠습니다. 정말 감사드립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함께 구매한 자료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