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계희열, 「헌법학」, 박영사, 2000
· 권영성, 「헌법학원론」, 법문사, 2004
· 김철수, 「헌법학개론」, 박영사, 2002
· 손동권, 「형법각론」, 율곡출판사, 2004
· 이재상, 「형법총론」, 박영사, 2004년
· 최대권, 「헌법학강의」, 박영사, 1998
· 허 영, 「한국헌법론」, 박영사, 2004
· 경찰청,「수사국디지털증거의 수집과 분석, 경찰청, 2003
· 김동노, 「프라이버시보호 가이드라인」, 함께하는 시민행동, 2002
· 김동원, “개인정보수집에서 프라이버시와 경쟁가치들의 경합과 균형”「정보화정 책」,제10권제4호, 한국전산원, 2003년
· 강성남, “개인정보보호법의 개정문제”, 정보인권운동통합자료실, 2003. 4
· 김 철, “행정정보공동이용과 개인정보보호”,「네트워커」제20회, 서울, 2005, 2
· 류종현, 강장묵, “사이버세계의 진과선:네이즌을 위한 사이버윤리와 규범” 「파 주」, 21세기사, 2005
· 이인호, “개인정보 자기 결정권의 한계와 제한에 대한 연구”, 한국정보보호진 흥원, 2001
· 이재우, “전산망의 총체적 안전 보안 대책”, 「95전산 안전세미나; 전산 안전 어 떻게 해야 하나」, 서울; 한국전산원
· 이창범, 장민영, 「국내외개인정보판례분석,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2004
· 백윤철, 「인터넷과 법학」, 세영사, 2005
· 정보통신부, 「개인정보보호지침」, 한국정보보호센터, 2000년
· 조완제, “인터넷사기 피싱 주의 하세요: 금융사 사칭메일전송 개인정보 빼내” 「뉴스메이커」,제13권, 경향신문사, 2004
· 한국정보진훙원, 「2003 국가정보보호백서」, 2003
· 한국정보보호진흥원, 「2004 개인정보보호백서」, 정보보호진흥원, 2004
· 한국정보보호진흥원, 「2003 개인정보보호백서」, 도서출판 진한도서, 2004
· 한국전산원, 「2005년 3.31일 개인정보보호법제의 현황과 그 발전 방안」,한국전 산원, 2005
· ALvin Toffer/ 김진욱 옮김, 「제3의 물결(The Third Wave」, 범우사, 1992.6
· Lessig, Lawrence/김정호 번역, 「코드:사이버공간의 법이론」,(원제: Code and other Law of Cyberspace), 나남출판사, 2002
· 경건, “정보공개청구제도에 관한 연구 - 일반 행정법이론체계와의 관련에서”, 서울대 박사 학위논문, 1998
· 권형준, “헌법상의 자기결정권”,「한국헌법학의 현황과 과제」, 김철수교수 정년 기념 논문집, 박영사, 1998
· 권헌영, “전자정부시대 개인정보보호 법제의 쟁점” 「정보화정책」, 한국전산원, 2004
· 김남진, “행정조사와개인정보보호,「정보의수집․관리와사생활보호」, 한국공법 학회, 1989년
· 김대현, “개인정보보호제도에 관한 헌법적 고찰”, 경희법학, 2003
· 김승환, “정보자기결정권”, 「헌법학연구」제9권 제3호, 한국헌법학회, 2003
· 김연수,「개인정보보호, 고도지식정보사회의 개인정보와 cyber low」, 서울사이 버출판사, 2001
· 「사이버와 사이버범죄의 본질 및 특징에 대한 분석」, 사상, 2003
· 김유향, 「개인정보침해에 대한 법적 정책적 대응」, 국회도서관보, 2005
· 김일환,「개인정보보호법제의 정비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법제연구원. 1997
· 김일환, "정보자기결정권의 헌법상 근거와 보호에 관한연구“.「공법연구」, 제29 집 제2호, 한국공법학회, 2001.5
· 김재훈, “민간부분에서의 프라이버시보호”,「정보법학」, 한국정보법학회, 1998
· 백광훈, “인터넷을 이용한 범죄의 유형과 처벌법규”,「범죄방지포럼」통권 제13 호, 한국범죄방지재단, 2003.10
· 손영수, “정보화촉진에 따르는 개인정보 및 프라이버시 보호의 문제에 관한 소 고”, 「한국법학논문총서」, 헌법, 2001
· 심영희, “사이버성폭력과 윤리”,「범죄방지포럼」통권제13호, 한국범죄방지 재 단, 2003
· 안경옥, “사이버범죄의 현황과 대응방안”,「경희법학」제38권, 경희법학연구 원, 2003
· 오영근, “인터넷범죄에 관한연구”,「형사정책연구」제14권, 한국형사정책연구 원, 2003
· 우제태, “사이버공간과 사이버범죄”,「사회과학논총」16, 전주대사회과학연구 소, 2000
· 은숭표, “정보화사회와 Luhmann의 법이론”,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01
· 이관기, “알권리와 프라이버시권의 관계에 관한연구”, 한양대 박사학위논문, 1993.2
· 이강혁, “정보화사회에서의 정보접근의자유화 개인정보의 보호”,「외법논집,」제 16집, 한국외국어대학교외국학종합센터법학연구소, 2004
· 이민영,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리의 재조명”, 정보통신정책제17권 16호, 2005
· 이승천,강용석, “사이버범죄에대한고찰”,「논문집」제8집, 대구미래법학, 2003
· 이병열, “정보화사회에 있어서 행정조직변화에 관한 연구”, 「논문집」,제12집, 전주우석대, 1990.12
· 이창무, “정보화사회에서의사이버범죄”,「과학사상」통권49호, 서울:범양사, 2004
· 임지봉, “전자정부에서의 프라이버시보호에 대한 검토”, 「인터넷법률」제19호, 법무부, 2003.9
· 정태호, “개인정보자결권의 헌법적근거 및 구조에대한 고찰”, 「헌법논총」제14 집, 헌법재판소, 2003
· 정연수, 김희은, “2003년 개인정보침해 신고․상담사례분석” 「개인정보보호연 구」, 한국정보보호진흥원, 2004
· 조광희, “정보사회에 있어서 개인의 정보공개와 프라이버시보호와의 관계에 관 한 연구“ 중앙대학교언론연구소, 언론연구, 1997
· 조동기, 김성우, “인터넷이 일상화와 개인정보보호”, KISDI 이슈,리포트, 정보통 신정책연구원, 2003, - 법원 1998.7.24 산거 96디42789판결-
· 조동기, “정보화사회와 프라이버시”,「정보화시대 미디어와 문화」,세계사, 1998
· 정태호, “현행 인구주택총조사의 위헌성-독일이 인구조사판렬의 법리분석과 우 리의 관련 법제에 대한 반성-”, 「법률행정논총」제12집, 전남대학교 법률행정연구소, 2000
· 통신개발연구원, “정보화 사회에 대비한 프라이버시 보호대책에 관한 연구”, 1989
· 차맹진, “프라이버시보호와 자기정보통제권”「한국통신경영과기술」,한국통 신, 1992
· 최상희, “인터넷상의 명예훼손”,「비교사법」, 한국비교법학회, 2004
· 최창학, “한국전자정부정책의현재와미래”「정보과학회지」제22권제11호, 한국정 보과학회, 2004.11
· 황인호, “개인정보보호 제도에서의 규제에 관한 연구-제도의 재구조화를 위한 입법론을 중심으로”, 「공법연구」제30집 제4호, 한국공법학회, 2002
· 황인호, “공공기관 개인정보보호법익 개정방안 고찰”,「중앙법학」제5절 제3호, 중앙법학회, 2003
· 한국법제연구원, “전자정부구현을 위한 법제동향과 과제”, 한국법제연구원, 2001
· 한상희, “사이버스페이스에서의 프라이버시권”,「사이버스페이스에서의기본권」, 헌법학술발료자료집, 2003
· Edward Bloustine, "Privacy as an Aspect of Human Dignity", 39New York Univ.Law Review, 1964
· Joel R, Reidenberg, "Lex Inofrmatica: The Formulation of Inofrmatica Policy Rules Through Technology", Texar Law Reivew Vol .76 Num.3,1988
· Alan F, Wesin "Privacy and Freedom,(New Yirk :Atheneum)",1967
· John S. Mill," On Liberty",in : Utilitarism, ed Mary Warmock, Glasgow: Fontana,19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