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TINUM
PLATINUM 등급의 판매자 자료

[동양철학 춘추전국]呂氏春秋 맹춘기 여불위 동양철학

중국 진(秦)나라의 재상 여불위(呂不韋 : ?~BC 235)가 선진(先秦)시대의 여러 학설과 사실(史實)·설화를 모아 편찬한 책. 26권. 진나라 장양왕(莊襄王)의 즉위에 공을 세우고 시황제(始皇帝) 초기까지 재상으로 재임했던 여불위가 식객 3,000명에게 저술을 맡겨 편찬했다고 하는데, 일종의 백과전서라 할 수 있다. 후대의 가필도 약간 포함되어 있다. 〈십이기 十二紀〉·〈팔람 八覽〉·〈육론 六論〉으로 구성되어 있다. 〈십이기〉의 춘하추동(春夏秋冬)에서 `여씨춘추`라는 명칭이 생겼으며, 〈팔람〉에서 이름을 따 `여람`(呂覽)이라고도 한다. 〈십이기〉는 4계절의 순환과 만물의 변화, 인사(人事)의 치란(治亂)·흥망·길흉의 관계를 기록하고 있다. 〈팔람〉은 유시(有始)·효행(孝行)·신대(愼大)·선식(先識)·심분(審分)·심응(審應)·이속(離俗)·시군(恃君) 등 8부로, 〈육론〉은 개춘(開春)·신행(愼行)·귀직(貴直)·불구(不苟)·사순(似順)·사용(士容) 등 6부로 되어 있다. 도가(道家)·유가(儒家)·법가(法家)·음양가(陰陽家)·농가(農家) 등의 여러 설과 시사(時事)를 수록하고 있어 선진시대의 사상사 등을 연구하는 데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자료이다. 주석서로 윤중용(尹仲容)의 〈여씨춘추교석 呂氏春秋校釋〉 등이 있다. 呂氏春秋의 맹춘기 원문 및 해석
6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06.07.20 최종저작일 2006.07
6P 미리보기
[동양철학 춘추전국]呂氏春秋 맹춘기 여불위 동양철학
  • 미리보기

    소개

    중국 진(秦)나라의 재상 여불위(呂不韋 : ?~BC 235)가 선진(先秦)시대의 여러 학설과 사실(史實)·설화를 모아 편찬한 책.

    26권. 진나라 장양왕(莊襄王)의 즉위에 공을 세우고 시황제(始皇帝) 초기까지 재상으로 재임했던 여불위가 식객 3,000명에게 저술을 맡겨 편찬했다고 하는데, 일종의 백과전서라 할 수 있다. 후대의 가필도 약간 포함되어 있다. 〈십이기 十二紀〉·〈팔람 八覽〉·〈육론 六論〉으로 구성되어 있다. 〈십이기〉의 춘하추동(春夏秋冬)에서 `여씨춘추`라는 명칭이 생겼으며, 〈팔람〉에서 이름을 따 `여람`(呂覽)이라고도 한다. 〈십이기〉는 4계절의 순환과 만물의 변화, 인사(人事)의 치란(治亂)·흥망·길흉의 관계를 기록하고 있다. 〈팔람〉은 유시(有始)·효행(孝行)·신대(愼大)·선식(先識)·심분(審分)·심응(審應)·이속(離俗)·시군(恃君) 등 8부로, 〈육론〉은 개춘(開春)·신행(愼行)·귀직(貴直)·불구(不苟)·사순(似順)·사용(士容) 등 6부로 되어 있다. 도가(道家)·유가(儒家)·법가(法家)·음양가(陰陽家)·농가(農家) 등의 여러 설과 시사(時事)를 수록하고 있어 선진시대의 사상사 등을 연구하는 데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자료이다. 주석서로 윤중용(尹仲容)의 〈여씨춘추교석 呂氏春秋校釋〉 등이 있다.
    呂氏春秋의 맹춘기 원문 및 해석

    목차

    없음

    본문내용

    田事旣飭, 先定準直, 農乃不惑.
    飭(신칙할, 경계하다, 칙; 食-총13획; chì): 되풀이하여 밝히다.
    準直: 準平과 같음. 쌀값이 비싸면 방출하고 싸면 매수하여 곡물 가격을 안정시키는 것. 이로써 곡물 가격이 하락하여 농민이 피해를 입는 것을 막을 수 있음.
    밭일을 이미 몸소 하고 먼저 공평하게 준칙을 결정하여야 농사에 의혹이 없다.
    是月也, 命樂正入學習舞.
    樂正: 樂官의 우두머리. 陽月에 예악을 익히고, 陰月에 악기 연주를 익히는데, 봄과 여름에는 양기가 많으므로 음악을 익힘으로써 음기를 불러오는 것임.
    이 맹춘월에는 악정에게 명을 내려 춤을 학습하게 한다.
    乃修祭典, 命祀山林川澤, 犧牲無用牝.
    山林川澤: 만물이 생겨나는 곳이고 또 구름과 비를 일으키는 곳이므로 여기에 제사지내는 것임. 암컷은 번식을 시켜야 하므로 제사에 쓰지 않음.
    제사 의전을 수리하고 산림과 하천 못에 제사지내라 명령하고 희생에는 암컷을 사용치 않는다.
    禁止伐木, 無覆巢, 無殺孩蟲胎夭飛鳥, 無麛無卵, 無聚大衆, 無置城郭, 揜骼霾髊.
    胎夭: 갓 태어난 짐승
    麛(사슴 새끼, 짐승의 새끼 미; 鹿-총20획; mí)
    揜(가릴, 붙잡다 엄; 手-총12획; yǎn)
    骼(뼈, 치다, 때리다 격; 骨-총16획; gé,gǔ)
    霾(흙비 올 매; 雨-총22획; mái,mài)
    髊(骴(삭은 뼈, 살이 붙어 있는 뼈 자; 骨-총15획; zì)와 同字 磋와 通字; 骨-총20획; cī,cuō,zì)
    벌목을 금지케하고 새집을 뒤집지 말게 하고, 아이 벌레와 태어난 짐승과 갓 나는 새를 죽이지 않게 하고, 대중을 모으지 않게 하고, 성곽을 세우지 않게 하고 골격을 가려 삭은 뼈를 매장해준다.
    是月也, 不可以稱兵, 稱兵必有天殃.
    이 맹춘월에는 병사를 일으킬 수 없으며 병사를 일으키면 반드시 하늘의 재앙이 있다.
    兵戎不起, 不可以從我始.
    兵戎不起: 兵戎之起.
    병사를 일으키지 않으면 재앙이 나로부터 시작되지 않는다.
    無變天之道, 無絶地之理, 無亂人之紀.
    하늘을 변화하는 도리가 없게 하고, 땅을 끊는 이치가 없게 하고, 사람을 어지럽히는 벼리가 없게 한다.
    孟春行夏令, 則風雨不時, 草木早槁,國乃有恐.
    맹춘월에 여름의 시령을 시행하면 바람과 비가 때에 맞지 않고 초목이 일찍 마르고 나라에 공포가 있게 된다.
    行秋令, 則民大疫, 疾風暴雨數至, 藜莠蓬蒿竝興.
    莠(강아지풀, 추하다, 고돌빼기 유; 艸-총11획; yǒu)
    가을의 명령을 시행하면 백성이 큰 역병에 걸릭, 빠른 비와 폭우가 자주 오고, 명아주와 강아지풀과 다발쑥과 쑥이 함께 일어난다.
    行冬令, 則水潦爲敗, 霜雪大摯, 首種不入.
    首種: 보리 보리는 늦가을이나 초겨울에 파종하고 다음해 여름에 수확하므로 파종과 수확이 가장 이르다.
    겨울의 시령을 시행하면 물이 장마가 들어 패하고 서리와 눈이 크게 이르고 보리가 들어가 수확하지 못한다.
    孟春紀第一,凡五篇,卷第一一曰孟春終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이 자료는 깊이 있는 설명과 다양한 예시 덕분에 과제를 작성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이런 유익한 자료가 계속 등록되기를 바랍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