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TINUM
PLATINUM 등급의 판매자 자료

[한의학 원전 안과]골眼凝睛 녹로전관 검경정통 통여침자 동의보감 안과 원문 및 해석

골眼凝睛 녹로전관 피물당타 당자생예 혈관동인 미목비진비사 천행적목 적안후생예 태풍적란 풍적창질 충풍루출 폭풍객열 검경정통 통여침자 허준의 동의보감 외형편 안과 원문 및 해석
7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06.07.04 최종저작일 2006.06
7P 미리보기
[한의학 원전 안과]골眼凝睛 녹로전관 검경정통 통여침자 동의보감 안과 원문 및 해석
  • 미리보기

    소개

    골眼凝睛 녹로전관 피물당타 당자생예 혈관동인 미목비진비사 천행적목 적안후생예 태풍적란 풍적창질 충풍루출 폭풍객열 검경정통 통여침자
    허준의 동의보감 외형편 안과 원문 및 해석

    목차

    골眼凝睛 녹로전관 피물당타 당자생예 혈관동인 미목비진비사 천행적목 적안후생예 태풍적란 풍적창질 충풍루출 폭풍객열 검경정통 통여침자

    본문내용

    外以貝母大而白膩者一枚 加胡椒七粒 不犯銅鐵 硏爲細末 臨臥點眼妙(子和).
    충풍루출은 외용으로 패모 크고 백색으로 기름진 것 1매에 호초 7알을 가미하여 동과 쇠에 침범하지 않게 하고 갈아서 가늘게 가루내어 잘 때 점안하면 좋다.(장자화)
    ○ 眵淚熱而交流 兩瞼赤者 屬肝熱之甚 食後 呑當歸龍薈丸
    눈꼽과 눈물이 뜨거워 교류하고 양쪽 안검이 붉으면 간열이 극심함에 속하니 식후에 (처방이 五藏에 나타나는) 당귀용회환을 삼킨다.
    肝虛客熱 迎風冷淚者 歸葵湯 木賊散(入門).
    간이 허하고 객열과 영풍하면 찬 눈물이 나면 귀계탕과 목적산이다.(의학입문)
    ○ 眼出冷淚 虛則四物湯加木賊 防風 甘菊 白芷, 實則用蒼朮散(類聚).
    눈에 냉루가 나면 허하면 사물탕(方見上 肝虛目暗)에 목적과 방풍, 감국, 백지를 가미하고, 실하면 창출산을 사용한다.(의방유취)
    【當歸飮子】
    治目淚不止
    當歸身 大黃 柴胡 人參 黃芩 白芍藥各40g 滑石20g
    剉細 每服12g 至20g 淸水一盞, 加生薑3片 煎至七分 去滓溫服(證治準繩).本方未詳 辭典880 轉載(編者)
    【白殭蠶散】
    治肺虛遇風冷淚出 冬月尤甚
    黃桑葉40 木賊 旋覆花 白殭蠶 荊芥穗 甘草各12g 細辛20g,
    爲剉 取28g 水煎 食後服 或爲末 取8g 荊芥湯調下(入門).
    【歸葵湯】
    治視物昏花 流淚隱澁 目中溜火 惡日與火光
    升麻4g 黃芪 酒芩 防風 羗活各3g 蔓荊子 連翹 生地黃 當歸 人參 紅葵 生甘草各2g 柴胡1g
    爲剉作一貼 水煎 食後溫服(入門).
    【當歸龍薈丸】治肝臟實熱 脇痛(綱目).
    當歸 草龍膽 梔子 黃蓮 黃栢 黃芩各40g 大黃 蘆薈 靑黛各20g 木香10g 麝香2g
    爲末 蜜丸 小豆大 薑湯下 20~30丸(入門). 五藏門 轉載
    【木賊散】
    治眼多冷淚
    木賊 木耳燒存性 等分爲末 每8g熱米泔 調下(入門).
    【蒼朮散】
    治肝藏風熱盛 眼出冷淚不止
    蒼朮 木賊 白蒺藜 防風 羗活 川芎 甘草各等分 爲末 每8g 溫米泔調下 食後(醫鑒).

    暴風客熱
    폭풍객열
    ○ 眼爲暴風熱所攻 白睛起障 覆黑珠 瞼腫痒痛.
    눈이 갑작스런 풍열의 공격을 당해서 백정에 장애가 일어나니 흑주를 덮고 안검이 붓고 소양감이 있고 아프다.
    宜服瀉肝散 淸肺散 (得效).
    폭풍객열에는 사간산(方見上 肝虛目暗)과 청폐산(方見上 突起睛高)을 복용함이 의당하다.(세의득효방)

    瞼硬睛痛
    검경정통
    ○ 瞼中紅赤而堅硬 眼睛疼痛而淚出 怕目[日]羞明.
    안검 속에 홍적색이고 단단하고 안정이 아프고 눈물이 나고 햇볕을 싫어하고 밝음을 무서워한다.
    宜通肝散, 若有瞖障 點春雪膏(得效).
    검경정통에는 세간산(方見上肝虛目暗)이 의당하니 만약 예장이 있으면 춘설고(方見下 點眼藥)를 점안한다.(세의득효방)

    痛如鍼刺
    통여침자
    ○ 睛忽然疼痛如鍼刺 雙目根緊急 坐臥不安 此熱毒在心.
    눈동자가 갑자기 침으로 찌르듯이 아프고 양쪽 눈의 뿌리가 긴급하고 앉으나 누우나 불안함은 이는 열독이 심에 있음이다.
    宜先服洗心散 次服 還睛散 (得效).
    통여침자는 세심산을 복용하고 다음에는 환정환(方見上 肝虛目暗)을 복용한다.(세의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는 과제에 적용할 수 있는 유용한 내용이 많아,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