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명세,「4․15 총선과 정치발전」,『관훈저널』, 2004년 여름호
· 강원택a,「탄핵정국과 17대 총선」,『관훈저널』, 2004년 여름호
· 강원택b,「제17대 총선에서 민주노동당 지지에 대한 분석」, 서울대학교 정치연구소,『제17대 총선과 한국 민주주의 : 분석과 전망』, 2004년 9월 24일
· 김동춘,「17대 총선이 남긴 희망과 과제」,『기독교사상』, 2004년 5월호
· 김상희 외,「좌담 : 4․15 총선, 민주노동당, 그리고 시민운동」,『창작과비평』, 2004년 여름호
· 김성구,「4․15 총선 평가와 민중운동의 대응 방향」,『진보평론』, 2004년 여름호
· 김수진,「위기의 민주주의 구해낸 ‘참여’의 힘」,『노동사회』, 2004년 5월호
· 김영래,「17대 총선결과와 17대 국회의 과제」, 한국선거학회 연례학술회의
· 김용호,「2004년 총선과정과 결과에 대한 종합적 분석」, 한국정당학회 춘계학술회의
· 김의영,「제17대 총선에서 시민단체의 선거참여」, 서울대학교 정치연구소,『제17대 총선과 한국 민주주의 : 분석과 전망』, 2004년 9월 24일
· 김일영,「17대 총선의 의미와 정당체계의 재편 전망」, 한국정치학회 총선분석특별학술회의
· 김정훈,「4․15 총선과 한국정치」, 물갈이연대 총선평가 토론회, 2004년 4월 16일
· 박영호,「민주노동당은 왜 패배했는가?」,『동향과전망』, 제45호(2000년 여름호)
· 박찬욱,「제17대 총선에서 2표 병립제와 유권자의 분할투표 : 선거제도의 미시적 효과 분석」, 서울대학교 정치연구소,『제17대 총선과 한국 민주주의 : 분석과 전망』, 2004년 9월 24일
· 박홍민․이준한,「제17대 국회의원 선거와 의원 교체」, 서울대학교 정치연구소,『제17대 총선과 한국 민주주의 : 분석과 전망』, 2004년 9월 24일
· 백창제,「정치자금제도 개선의 효과와 정치적 결과」, 서울대학교 정치연구소,『제17대 총선과 한국 민주주의 : 분석과 전망』, 2004년 9월 24일
· 손혁재,「탄핵과 총선」,『월간중앙』, 2004년 4월호
· 송호근,『한국,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나 : 세대, 그 갈등과 조화의 미학』(서울: 삼성경제연구소, 2003)
· 안병욱,「한국사회의 변화와 2004년 총선」,『역사와 현실』, 2004년 6월호
· 오세제,「2004년 총선, 여론조사 추이분석」, 4․15 총선평가와 전망 토론회
· 윤상철,「이념의 정치와 권력경쟁의 정치 : 노정권의 출범에서 총선까지」,『경제와사회』, 2004년 여름호
· 이문일,「17대 총선과 인천」,『황해문화』, 2004년 여름호
· 이준한․임경훈,「과연 ‘중대선거’인가? -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의 유권자 투표결정요인 분석」, 서울대학교 정치연구소,『제17대 총선과 한국 민주주의 : 분석과 전망』, 2004년 9월 24일
· 이현우,「정당투표제 도입의 정치적 효과」, 한국정치학회
· 정대화,『포스트 3김시대의 한국정치』(개마고원, 2002)
· 정해구,「상향정치, 세대교체, 그리고 탈지역주의 : 4․15 총선 결과, 원인, 의미」,『황해문화』, 2004년 여름호
· 정호영,「역대 총선결과의 특성 비교」,『국회도서관보』, 2004년 4월호
· 조현연,「이제는 실력과 역량으로 판갈이할 때 : 4․15 총선 민주노동당 평가와 전망」,『노동사회』, 2004년 5월호
· 조희연,『비정상성에 대한 저항에서 정상성에 대한 저항으로』, 아르케, 2004
· 한호석,「민주노동당 중심의 통일전선이 전개한 총선투쟁의 의의와 한계」,『농민의길』, 2004년 5월호
· 2004 총선시민연대,《2004년 총선 낙선대상자 명단 발표 기자회견》자료집(2004. 4. 6)
· 2004 총선물갈이 국민연대,『물갈이연대백서』
· 중앙선거관리위원회,『제17대 국회의원선거 투표율 분석』,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