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등정 외,『문예독본 곡기윤일랑』, 하출서방신사, 1977.
· 도택수부, 『곡기윤일랑の세계』, 사조사, 1981.
· 미고수야, 『청년기: 곡기윤일랑론』, 소택서점, 1999.
· 무전인웅, 『곡기윤일랑소론』, 앵풍사, 1985.
· 곡기정이, 『명치の일본교․윤일랑の수지』, 신조사, 1967.
· 곡기윤일랑, 『곡기윤일랑 이』, 집영사, 1973.
· 천엽준이, 『곡기윤일랑』, 각천서점, 1982.
· 천엽후이, 『곡기윤일랑: 물어の방법』, 유정당, 1990.
· 중촌광부, 『곡기윤일랑론』, 일본도서センター, 1984.
· 교본방일랑, 『곡기윤일랑の문학』, 앵풍사, 1967.
· 일하경지개,『곡기문학』, 일본도서センター, 1987.
· 복전청인․ 평산성아,『곡기윤일랑』, 청수서원, 1985.
· 안전 효, 『곡기윤일랑の소설』, 한림서방, 1994.
· Herbert Ginsburg․Sylvia Opper(김억환 역),『피아제인지발달론』, 성원사, 1993.
· 길희성, 『일본의 정토사상』, 민음사, 2002.
· 김미향, 『국문학해석と감상』, 지문당, 1983.
· 김용기, 『다니자키 준이치로의 생애와 작품』 , 보고사, 2001.
· 김춘미, 『다니자키 준이치로(곡기윤일랑) : 영원한 여체에의 동경』, 건국대학교 출판부, 1996.
· 유상희 역, 『눈먼연인들』, 시사일본어사, 1995.
· 고호석, 「『춘금초』의 인물 고찰」, 진주전문대학논문집, 2002.
· 김상원,「곡기윤일랑와 이상의 소설 비교연구:『자청』『치인의애』『날개』『봉별기』를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02.
· 김영옥, 「다니자키 준이치로(곡기윤일랑) 문학연구 서설: 여성들의 시․공간을 중심으로」, 동덕여자대학교 동일어문학회 논문집, 2003.
· 문병선, 「곡기윤일랑의 인물묘사에 관한 연구: 춘금초를 중심으로」,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1993.
· 서민경, 「춘금초における《무상の련》の태도양상연구」, 대한일어일문학회 논문집, 2001.
· 신인섭, 「일본 근대소설의 연구양상: 곡기윤일랑를 중심으로」, 한국일본어문학회, 1998.
· 오병우, 「곡기윤일랑の연구」, 국학원대학 박사논문, 1996.
· 이종선, 「곡기윤일랑의 『세설』에 나타난 여성상 고찰: 자매의 결혼관을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03.
· 조성희, 「곡기윤일랑의 『춘금초』고찰 : ‘나’ 의 관점을 통한 작품 분석」,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2002.
· 주세종, 「《춘금초》의 또다른 욕망」, 대한일어일문학회, 1995.
· 하창용, 「곡기윤일랑의 여성관에 관한 고찰:『자청』·『치인の애』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1999.
· 현미재, 「곡기윤일랑 문학에 나타난 여성숭배 세계관」,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