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LVER
SILVER 등급의 판매자 자료

[한의학 원전 안과]補腎丸 기령환 오퇴산 간허작목 고풍작목 간허목암 동의보감 안편

동의보감 외형편 안과 원문 및 해석 補腎丸 기령환 오퇴산 밀몽화산 충화양위탕 당귀탕 발운퇴예환정환 원예 빙예 활예 삽예 산예 횡개예 부예 침예 언월예 조화예 황심예 흑화예 태환 오풍변 뇌두풍 경진 녹풍 오풍 흑풍 청풍 간허작목 고풍작목 간허목암
7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06.06.28 최종저작일 2006.06
7P 미리보기
[한의학 원전 안과]補腎丸 기령환 오퇴산 간허작목 고풍작목 간허목암 동의보감 안편
  • 미리보기

    소개

    동의보감 외형편 안과 원문 및 해석 補腎丸 기령환 오퇴산 밀몽화산 충화양위탕 당귀탕 발운퇴예환정환 원예 빙예 활예 삽예 산예 횡개예 부예 침예 언월예 조화예 황심예 흑화예 태환 오풍변 뇌두풍 경진 녹풍 오풍 흑풍 청풍 간허작목 고풍작목 간허목암

    목차

    補腎丸 기령환 오퇴산 밀몽화산 충화양위탕 당귀탕 발운퇴예환정환 원예 빙예 활예 삽예 산예 횡개예 부예 침예 언월예 조화예 황심예 흑화예 태환 오풍변 뇌두풍 경진 녹풍 오풍 흑풍 청풍 간허작목 고풍작목 간허목암

    본문내용

    高風雀目217
    고풍작목
    ○ 與前證雖同 但纔至黃昏 便不見物 經年瞳子如金色 名曰 黃風 不治(得效).
    앞 증상과 비록 같으나 다만 잠시 황혼에 이르면 곧 물체를 보지 못하고 오랜 해 경과하여 눈동자가 금색과 같으니 이름하여 황풍이라고 하고 불치증이다.(세의득효방)
    ○ 雀目之證 暮則不見物 至曉復明何也? 曰,肝虛也.
    작목의 증상은 저물면 물체를 보지 못하고 새벽에 이르면 다시 밝아짐은 어째서인가? 대답하여 말하길 ‘간이 허약해서입니다.’
    <經>曰 “目得血而能視”
    내경에서는 눈이 혈을 얻으면 볼 수 있다.고 했다.
    肝旣無血 則目瞀而不明矣.
    간이 이미 혈이 없으면 눈이 어둡고 밝지 않다.
    其暮暗而曉復明者何也?
    저물때 어둡고 새벽에 다시 밝아짐은 어째서인가?
    曰木生於亥而 旺於卯絶於申 至於酉 戌之時 木氣衰甚.
    말하길 목은 해에서 생성하고 묘에서 왕성하고, 신에서 끊어지며, 유와 술의 때에 이르면 목기가 쇠약함이 심하다.
    故瞑至於卯之分 木 氣稍盛而目復明矣.
    그래서 눈어둠이 묘의 시간에 이르면 목기가 조금 왕성해져서 눈이 다시 밝아진다.
    曰雀目 終變爲黃脹而死何也?
    묻길 작목이 마침내 변하여 황색으로 붓고 죽음은 어째서인가?
    曰木絶於申 乃水土長生之地.
    대답하길 목이 신에 끊어지나 수와 토가 기르고 탄생하는 곳이다.
    木衰而土盛 故變爲黃脹.
    목이 쇠약하고 토가 왕성하므로 변하여 누렇게 붓는다.
    宜平胃散方見內傷 以平土氣.
    의당 평위산(처방은 내상에 나타난다)으로 토기를 평평하게 한다.
    四物湯方見血門 以補肝虛(正傳).
    사물탕(처방은 혈문에 나타난다.)으로 간의 허증을 보한다.
    ○ 高風雀目 宜還睛散(類聚).
    고풍작목은 환정산이 의당하다.(의방유취)

    肝虛目暗217
    간허목암
    간허증으로 눈이 어두워짐
    ○ 遠視不明 眼前花子頻起 眥目赤痛 有時看一成二 宜補肝散(得效).
    멀리 보면 밝지 않고, 눈 앞에 안화가 자주 일어나고, 눈꼬리와 눈이 붉고 아프며, 때로 한 개가 두개로 보이면 보간산이 의당하다.(세의득효방)
    ○ 與眼暗 參看.
    간허목암은 안암과 함께 참조하여 보아라. 烏風
    오풍
    眼雖痒痛而頭不旋 但漸漸昏暗 如物遮睛 全無瞖膜 或時生花.
    눈이 비록 가렵고 아프며 머리가 돌지 않고 다만 점차로 캄캄해지길 물체가 눈동자를 가리듯이 하고, 완전히 예막이 없고 혹은 때로 안화가 발생한다.
    此肝有實熱 宜瀉肝散方見下 肝虛目暗 (得效).
    이는 간에 실열이 있음이니 사간환이 의당하니, 처방은 아래에 나타나고, 간이 허약하고 눈이 캄캄함이다.(세의득효방)
    黑風
    흑풍
    此與綠風相似 但時時黑花起.
    흑풍과 녹풍은 서로 유사하나 다만 때때로 흑색 안화가 일어난다.
    乃腎受風邪 熱攻於眼 宜凉腎(得效).
    흑풍은 신이 풍사를 받아서 열이 눈을 공격함이니 신을 차게 함이 의당하다.(세의득효방)
    靑風
    청풍
    此眼不痛不痒 瞳人儼然 如不患者 但微有頭旋 及生花轉加昏蒙.
    儼(의젓할, 삼가다, 공손하다 엄; 人-총22획; yǎn)
    이 청풍은 눈이 동통이 없고, 소양도 없고 눈동자가 공손한

    참고자료

    · http://cafe.daum.net/homeosta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제공한 자료는 정보가 풍부하고, 내용이 명확하게 정리되어 있어 과제를 작성하는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매우 추천할 만한 자료입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4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