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의학 안과]오륜과 팔곽학설 안의 자양물질 안의 병리 병인병기 안의 진단
- 최초 등록일
- 2006.05.19
- 최종 저작일
- 2006.05
- 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소개글
한의학적인 눈병의 원인 및 개요
오륜과 팔곽학설 안의 자양물질 안의 병리 병인병기 안의 진단
목차
오륜과 팔곽학설
안의 자양물질
안의 병리 병인병기
안의 진단
망진
문진
절진
안병의 난치 및 불치
본문내용
1. 안과 오륜
오륜에서 오는 오장육부의 정화가 발한 것이고 륜은 안의 모양이 차륜과 같이 목상이 원활하게 운동하는 것이다.
1) 오륜의 형성
기륜(기정): 백정 폐
풍륜(근정): 흑정 간
혈륜(혈정): 대소자-심
육륜(육정):상하안검 비위
수륜(골정): 동인-신
2) 오륜과 오장의 작용
(1) 육륜
포검, 안검, 목비라 하여 비토에 속하고 비는 기육을 주관하므로 안의 상하검에 작용하여 동정하며 중앙무기와 진술축미에 응한다.
(2) 혈륜
심화에 속하고 남방의 병정과 사오에 응하며 혈을 주관하므로 대자 또는 내자, 예자 또는 외자에 작용한다.
(3) 기륜
백정, 백안, 백인 백주라 하여 폐금에 속하고 서방의 경신과 신유에 응하며 백정에 작용하여 기를 주관한다.
(4) 풍륜
흑정, 흑주, 오정, 오주, 청정 또는 황인이라 한다. 간기가 조화하고 간음이 충족하게 되면 그 륜이 청영하고 표면이 광활하다.
(5) 수륜
오륜중에서 오직 수륜만이 물체를 볼 수 있다. 선천의 정액, 조시의 원령, 인신의 지보로서 천의 일월이 되며 신정이 충만하면 동신이 청영하고 안광이 광채를 띤다.
3) 오륜의 병기 및 병리
(1)육륜
음식부조, 노권등으로 비위허약이 되면 안검의 색은 정상이나 부종 혹은 하수, 거첩이 무력하며 또 시물이 혼청하거나 시물이 시정반사, 시대위소, 시직위곡으로 변형되거나 작맹도 나타나는데 간열이 있으면 감적상목도 발생된다.
(2) 혈륜
음혈손상으로 심음이 부족되면 안삽, 시물불청, 안화가 발생하거나 또는 자부에 담홍한 적맥이 나타난다.
참고 자료
http://cafe.daum.net/homeost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