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을 총체적인 인간으로 간주하는 인본주의적 접근과 여성의 지위향상, 여권주의운동과 함께 산부인과학, 모성간호학의 범위를 넘어 여성건강은 인간의 전 생애를 중심으로 환경과의 상호작용에서 여성의 불편함을 해결함으로써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확대되고 있다. 또한 여성의 생물학적 특성뿐만 아니라 성적 편견 혹은 차별을 초래하는 사회, 경제, 정치, 문화적인 쟁점이 여성의 건강과 관련됨으로써 여성건강에 대한 인식이 넓어졌다.(이경혜, 1997) 즉, 여성건강을 논하는 관점의 변화를 가져온 것으로써 다양한 사회․문화의 변화와 맞물려 발생하는 사회문제와 여성건강과의 연관성에 대해 논하기 시작했다. 여권신장에 따라 여성의 사회참여율이 높아지고 사회문화적인 흐름의 주체가 되면서 여성이 성차별적인 사회문제의 피해자가 됨으로써 여성의 건강에 대한 새로운 자각이 이루어지게 된 것이다.
여성 건강의 이슈중에서 성특성과 관련하여 임신, 분만, 출산등의 생식건강의 문제는 의학계에서 많은 관심을 기울여 왔으므로 본고 에서는 사회문화적 영향과 관련된 여성 건강의 이슈를 살펴보고 그 중에서도 가정폭력, 성폭력, 아동 성학대, 인공유산의 문제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이러한 문제들은 법과 정책적 이슈, 보건의료 서비스, 보험제도, 정신보건의 이슈, 사회사업서비스 등 다원적인 측면에서 논해야 하지만, 여기에서는 각 문제의 발생빈도와 건강과의 관련문제만을 다루고자 한다. 그러한 문제의 실태와 현황을 통해 우리나라 여성건강의 현주소를 파악하고자 한다.
여성건강의 개념
건강에 대한 개념은 학문적 기반에 따라 각각 다르게 정의하고 있다. Kass(1975)는 건강을 하나의 규범으로 보았고, 몸과 마음의 적합성으로서 개인의 활동에 나타나는 존재의 상태라고 하였으며 boorse(1977)는 건강개념에 정상적인 기능수행능력을 제안했다. 신학자 Tillich(1961)는 건강을 역사적, 정신적, 심리적, 생물학적, 화학적, 신체적의 6가지 차원으로 구성된 것이 통합으로 보아 좀 더 포괄적인 차원에서 건강을 개념을 규정하고자 하였다.
· 김성언(1998), 성폭력의 실태와 원인에 관한 연구(Ⅱ), 한국형사정책연구원.
· 김은경 외2인(2000), 신종성폭력연구-사이버성폭력의 실태 및 대책을 중심으로, 한국형사정책연구원.
· 동아일보, 2001년 4월 30일, “기혼여성 24% - 1회이상 낙태시술”.
· 박순주(1996), 어린이 성폭력 피해자의 경험인식에 관한 연구, 이화여대 대학원 1995년 석사학위
· 청구논문.
· 박자랑(1996), 한국은 낙태와 피임 선진국인가, 한국논단 96.
· 변황혜정(2000), 성폭력예방과 여성의 성적 건강권, [여성건강] 제1권 2호.
· 심영희(1991), 낙태의 실태 및 의식에 관한 연구, 형사정책연구원.
· 심영희(1998), 위험사회와 성폭력, 나남출판사.
· 윤혜미(1999), 청소년 임신․출산의 경향과 사회적 대책, 한국아동복지학 8호.
· 이경혜(1997), 여성건강과 남녀펑등문화, 대한간호학회 여성건강간호학회 학회지 제5권 제2호.
· 이수경, 곽영숙(1994), “소아 성학대에 대한 임상 연구”, [소아․청소년정신의학] 제5권 제1호.
· 이원숙(1997), “국외 성폭력 상담소의 역사적 변천과정”, 국내외 서폭력 연구동향 및 지원체계, 한국 성폭력상담소자료집.
· 이영분(1999), 아동성폭력 현황 및 그 치료와 예방에 관한 연구, 한국아동복지학, 제8호.
· 이원숙(1998), 성폭력과 사회복지, 강남대출판부.
· 이종복(1991), “청소년의 성적 학대에 대한 연구”, [한국청소년연구] 제 6호, 한국청소년개발원.
· 최연순 외(1999), 여성건강간호학 제4판.
· 청소년보호위원회(2000), 10대 여성 임신실태 및 예방대책 연구.
· 통계청(1995, 1999), 사회통계조사, 통계청.
· 한국보건사회연구원(1997), 전국출산력 및 가족보건실태조사.
· 한국성폭력상담소(1998), 1997년도 상담현황분석, 나눔터.
· 한국성폭력상담소(1996) 안전한 어린이, 건강한 서울.
· 한국여성개발원(1999), 성폭력, 가정폭력 관련법의 시행실태와 과제.
· 한국형사정책연구원(1989), 성폭력의 실태 및 대책에 관한 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 한영란(1996), 구타당하는 아내의 경험에 대한 간호학적 탐색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Briere, J.N(1992), Child Abuse Trauma: Thoery and Treatment of Lasting Effect, sage Publication.
· Browne. A.(1987), When battered women kill, New york ; Free Press.
· Courtois, C.A.(1992) The Memory Retrieval Process in Incest Survivor Therapy, Journal of Child Sexual Abuse, Vol.1.
· Diane B, Byingston,(1995). Sexual Assalt, 19th Encyclopedia of Social work.
· Finkelhor, D.& Browne, A.(1985). the Traaumatic impact of Child Sexual Abuse. American Journal of Orthopsychiatry. 55(4).
· Gold, E.(1986), Long-term effect of sexual victimization in childhood: An attributional approach,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Vol, 54.
· Horowitz, M. J.(1986), Stress Response Syndromes: A Review of Post Traumatic and Adjustment Disorders. Hospital and Community Psychiatry, 37.
· Hotte & Rafman.(1992), The Specipic effect of incest on prepubertal girls from dysfunctional Families Child Abuse and Neglect.
· Hunter, M.(1995). Adult Survivors of Sexual Abuse. CA, Sage.
· Maran A. Aguilar,(1995), Women and health care, 19th Encyclopedia of Social work.
· Meichenbaum, D(1994), A clinical handbook for assessing and treating PTSD, Ontario, Canada.
· Putnam. F. W.(1986), The Clinical Phenomenology of multiple Personality Disorder, Rewiew of 100 recent cases, Joural of clinical Psychiatry, 47(6).
· Russel, D.E.H(1986), The Secret Trauma : Incest in the Lives of Girls and Woman, New York: Basic Boo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