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참 고 문 헌 ▩
· 광해군일기, 국사편집위원회 편, 「조선왕조실록」, 탐구당, 1984
· 사각전 외, 「활자고본소설전집」, 아세아문화사, 1981
· 상사동기,「한국전기소설편」, 을유문화사, 1979
· 소동지젼(세창서관본),「조선후기 우화소설선」, 태학사, 1998
· 숙향전 외,「한국고전문학전집」,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1993
· 연뎡 구운몽 외,「구활자본 고소설 전집」, 인천대 민족문화연구소, 1984
· 오유란전 외, 「조선후기 세태소설선」, 월인, 1999
· 옥낭자전, 김기동 장덕순 공역, 「한국문학소설편」, 정음사, 1986
· 운영전,「17세기 애정전기소설」, 월인, 1999
· 운영전,「단편소설편」, 한국고전문학대계, 민중서관, 1987
· 이해룡전,「한국문학소설편」, 정음사, 1986
· 졍을션젼,「구활자 소설총서 고전소설」. 민족문화사, 1983
· 장화홍련전,「고전국문소설선」, 정음사, 1986
· 화사ㆍ주생전ㆍ서대주전, 통문관, 1965
· 김일근, 「고전소설과 언간」, 『고전소설연구』(황패강교수 정년퇴임기념논총Ⅱ), 일지사, 1993
· 김일근, “언간의 제학적 고찰”, 「학술지」16, 건국대학교 학술연구지, 1975
· 김일근, 「언간의 연구」, 건국대학교 출판부, 1988
· 경일남, 『고전소설과 삽입 문예 양식』, 도서출판 역락, 2002
· 민영대, 「최낭전 연구(1) - 삽입서간을 중심으로」, 한국고소설학회, 고소설연구, 2000
· 조동일,『한국문학통사』, 지식산업사, 1984
· 조진기, “서간체소설연구 1”, 「경남어문학」창간호, 경남대학교 국어국문학과, 1982
· 신정숙, “한국 전통사회의 내간에 대하여”,『국어국문학』, 국어국문학회, 1967
· 이상변, 「문학비평용어사전」, 민음사, 1984
· 이장환, 「고소설에 삽입된 서간연구」, 한남대대학원, 1994
· 이재선, 「변이적 대체현상과 해체」,「한국단편소설연구」, 일조각, 1994
· 정한숙, 「소설기술론」, 고려대 출판부, 1973
· 정희정, “운영전의 액자기능과 서술상황”, 한국언어문학회, 한국언어문학, 2000
· 진필상, 『고대산문문체론』, 심경호 역, 『한문문체론』, 이회문화사, 19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