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청소년]청소년의 정체성

논문형식의 미국 청소년의 정체성이다.
44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06.01.17 최종저작일 2005.10
44P 미리보기
[청소년]청소년의 정체성
  • 미리보기

    소개

    논문형식의 미국 청소년의 정체성이다.

    목차

    I. 서론 1
    A. 연구 성과와 동향 2
    B. 연구범위와 방법 2

    II. 청소년의 개념과 범위 3
    A. 미국 청소년의 용어와 개념 3
    1. 사전적 의미 3
    2. 사회적 의미 3
    B. 미국 청소년의 범위 4
    1. 연령 4
    2. Generation-Y 4
    3. Twixters 5
    C. 미국 청소년 문제의 유형과 양태 5
    1. 마약. 술 7
    2. 자살 10
    a) 우울증 10
    b) 중독성 물질 남용 11
    3. 비행 11
    4. 학업 12
    5. 폭력과 집단 15
    6. 문화적 갈등 18

    III. 미국 청소년 문제의 해결책과 문제점 24
    A. 국제적 대안 24
    B. 문제점 25
    C. 학교 상담의 4 가지 구성 요소 26


    IV. 복음의 관점에서 미국 청소년문제 해결책 27
    A. 성경속의 청소년과 그 실존 28
    1. 렘넌트 정체성 회복 방안 - 20 visions 31
    a) 5가지 기초 32
    b) 5가지 훈련 33
    c) 5가지 조직 33
    d) 5가지 미래 34
    2. 21세기 미국 렘넌트 공동체의 정의와 적용 35
    a) 공동체의 의미 35
    b) 공동체 훈련장의 의미 36

    V. 결론 38
    참고문헌 39

    본문내용

    II. 청소년의 개념과 범위

    A. 미국 청소년의 용어와 개념

    1. 사전적 의미
    일반적으로 청소년을 ‘사춘기’ 라고 말 한다. ‘사춘기’ 의 사전적 의미는 ‘성장하다’로 어린이에게서 어른의 중간기로 우리는 흔히 ‘과도기’ 라고 말한다.Alken, Nick. [Working with teenagers] (Marshall Pickung, 1994), p. 71. 청소년기는 아동기로부터 성인기로 나아가는 과도기로서, 개인적으로는 생리적, 심리적, 정서적으로 많은 내적 변화를 수반할 뿐만 아니라 사회적인 기대 역할에로의 수행도 중요한 과업으로 나타난다.정우식, [청소년 문제, 그 실상과 대책] (서울: 삼성출판사, 1986), p. 4. 청소년 곧 영어의 ‘adolescence’라고 하는 말은 라틴어의 동사 ‘adolescere’에서 유래한 말이며 그것은 성장한다(to grow up), 또는 성숙에 이른다 (to grow in maturity)란 의미를 갖고 있다.정인석, [청년심리학] (서울: 재동문화사, 1966), p. 27.

    2. 사회적 의미
    청소년기는 사회적으로 볼 때 의존의 시기인 아동기를 벗어나 자립적인 성인기로 가는 전환기라고 할 수 있다. 자신에 대한 자제력이 약하기 때문에 문제를 일으키기도 쉬운 때다. 객관성이 결여되기 쉬운 때이기 때문에 정상적인 상태에서 벗어나기 쉬운 때라고 할 수 있다.정수영, [청소년 이해와 목회 상담] (총회신학 석사학위 논문, 2001), pp. 5-6. 실제로 청소년의 시기와 범위는 사회에 따라, 청소년에 접근하는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되고 있다. 아동기 때 보다 넓은 친구를 구하게 되며, 또래 집단 (peer group)에 대한 소속을 통해 소속감 (feeling of belonging)을 가지려 한다.Byunm, Bill. [Teaching Youth with Confidence 청소년 이해와 기독교 교육], 윤형복 역 (서울: 엠마오, 1993), p. 35.

    참고자료

    · Texts
    · 강경호, [위기와 상담 II] (경기: 한사랑 가족 상담 연구소, 2000)
    · 김상철, [자살문제의 심각성과 해결책 제시] (총회신학교 학부 논문, 2001)
    · 류광수, 2004년9월 학원복음화 메시지
    · 맹달재, [청소년 이해와 학교사역의 효율적인 방안 – 학교사역을 중심으로] (총회신학교 성사학위 논문, 2004)
    · 옥수옥, [청소년 위기에 대한 렘넌트 공동체 훈련을 통한 해결방안] (총회신학교 석사 학위논문, 2004)
    · 정수영, [청소년 이해와 목회 상담] (총회신학 석사학위 논문, 2001)
    · 장우섭, [복음을 혼미케 하는 사단전략의 고찰과 그 대안. 복음적 사고 중심으로] (총회신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4)
    · 정우식, [청소년 문제, 그 실상과 대책] (서울: 삼성출판사, 1986)
    · 정은주, [류광수 다락방과 교회성장] (A.U.C. 목회학 박사 학위 논문, 2004).
    · 정인석, [청년심리학] (서울: 재동문화사, 1966)
    · 최현묵, [비행 청소년에 대한 성경적인 치유상담] (총회신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2)
    · Nick Alken, [Working with teenagers] (Marshall Pickung, 1994)
    · Roy Allan Anderson, D.D., F.R.G.S, The Illuminati 666 Book 2 (Brushton, New York: TEACH services, Inc., 1995)
    · Bill Byunm, Teaching Youth with Confidence [청소년 이해와 기독교 교육], 윤형복 역 (서울: 엠마오, 1993),
    · Lev Grossman, TIME Magazine Archive Article – Grow up? Not So Fast – Jan. 24, 2005.
    · Deborah P. Kim, [Bridging cultures in Head Start] (California State University M.A. in Education, Early Childhood Education, 2003)
    · John Jay Wilson, Juvenile Justice Bulletin. [U.S. Department of Justice], August 2000
    · Ronald F. Youngblood, Nelson’s New Illustrated Bible Dictionary, 1995.
    · Voices of American-Korean Students by Eun-Ja Kim Park
    · Websites
    · http://www.onpoint-marketing.com/generation-y.htm
    · http://slate.msn.com
    · http://www.jbresearchco.com/GenYand Culture.html
    · http://focusas.com/resources.html
    · http://www.teensncrisis.org/html/bibliography.html
    · http://www.focusas.com/alcohol.html
    · http://www.focusas.com/Suicide.html http://huebler.blogspot.com/
    · http://www.census.gov/population/www/socdemo/school/cps2004.html
    · http://apsapolicysection.org/vol10_4/tatalovich.htm
    · http://www.wikipedia.com
    · http://www.capaa.wa.gov/koreanamericans.html
    · http://www.asianweek.com/2001_12_14/feature.html
    · http://www.findarticles.com
    · http://iremnant.com/community/qna.php
    · http://www.jcking.net/download/document/1Kings 39(05-09-24)Heksim.pdf
    · http://www.drugabuse.gov/infofacts/HSYouthtrends.html
    · http://www.darakwen.net
    · http://www.naver.com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콘텐츠는 다양한 주제를 깊이 있게 다루고 있어 지루할 틈이 없습니다. 매번 새로운 인사이트를 제공해 주어 학습이 즐거워지고 있습니다. 학습 후 실제로 과제나 레포트에 활용할 수 있어 매우 만족스럽습니다. 앞으로도 계속해서 이용할 예정입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함께 구매한 자료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1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