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참고문헌
· 강길현(2003). 청소년 여가활동 참여정도와 여가제약 요인에 관한 분석. 한국사회체육학회지, 19, 851-865.
· 강동성(2005). 청소년의 체육활동참여에 따른 여가만족 및 학교생활만족의 관계.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한국체육대학교 사회체육대학원.
· 강효민(2004). 정보화 사회, 한국 청소년의 여가행위에 관한 조사연구. 한국체육학회지, 44(2), 525-535.
· 공계순, 박현선, 오승환, 이상균, 이현주(2003). 아동복지론. 서울: 학지사
· 구태훈(2005). 청소년의 여가만족과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대구한의대 대학 원.
· 권재원(2004). 청소년의 여가․문화를 위한 몰입․중독 컴퓨터게임 선별준거 연구. 미간행 박사학 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 권지성, 김교연, 김지혜(2004). 종합사회복지관 초임 사회복지사의 직업경험에 대한 현실기반 이론적 접근. 사회복지연구, 제24권, 봄호, 5-44.
· 김광일(2004). 근로청소년의 여가참여와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목포대학 교 교육대학원.
· 김귀순(2003). 여가인식, 태도, 참여 및 만족간의 영향관계.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동아대학교 동북 아 국제대학원.
· 김민정(2004). 청소년들의 스포츠참여 활동에 따른 스트레스와 여가만족의 관계.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세종대학교 교육대학원.
· 김성천(2001). 가족복지의 이론체계 구성을 위한 연구. 사회복지, 통권, 101호.
· 김송석(2005). 장애인 여가문화에 관한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 김영금(1996). 정상가정 아동과 성격특성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관동대학교 대학원.
· 김영종(2000). 사회복지 조사방법론. 서울 : 학지사.
· 김재현, 박정훈(2001). 직장인의 여가활동 유형과 여가태도의 관계. 한국스포츠리서치, 12(3), 333-334.
· 김정호(2002). 결손가정 아동의 학습활동에 대한 문화기술적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인천교육 대학원.
· 김준호(2003). 청소년비행론. 서울: 청목출판사.
· 김행숙(2004). 청소년의 여가의식 및 여가활동 실태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호서대학 교 행정대학원.
· 김희정(2000). 여가인식이 여가 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동아대학 교 대학원.
· 나성훈(2001). 중학생의 여가의식과 활동분석.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
· 나재권(2002). 프리랜서의 여가인식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 남희은(2005). 저소득층 노인의 여가교육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 학교 대학원.
· 두산 세계대백과사전(2000). 두산동아.
· 류청렬(1999). 인문·실업계열 고등학생간 자아정체감과 비행 충동과의 관계.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 문화관광부(2004). 청소년백서.
· 문숙재, 윤소영, 차경욱, 천혜정(2005). 여가문화와 가족. 서울: 신정.
· 박석권(2004). 현대적 여가의 특성과 그 내재적 의미.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
· 박세창(2003). 청소년의 실제 여가시간과 여가활동의 실태분석.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 교육대학원.
· 박수정, 박봉섭(2004). 여가스포츠 참여자의 특성에 따른 여가인지에 관한 문화기술적 분석. 한국스 포츠리서치, 15(2), 599-612.
· 박수정, 추건이(2004). 청소년의 여가태도와 여가기능의 인과적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학회지, 43(2), 223-230.
· 박연자(2004). 청소년의 여가인지와 유익환경 시설 이용 실태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행정대학원.
· 박용범, 이재형, 조병만(2004). 청소년의 여가활동 실태 및 만족도 분석. 한국스포츠리서치, 15(5), 1189-1208.
· 박진경(2001). 청소년의 여가태도 및 여가참가동기와 여가행동의 관계. 한국스포츠 사회학회지, 14(2), 399-410.
· 배영옥(2003). 정신지체 청소년의 여가실태와 여가장애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대구대 학교 교육대학원.
· 서병세, 안인준, 김찬룡(2003). 주 5일 수업제에 따른 남자 중학생의 여가활동 활성화 방안. 한국체육 학회지, 42(1), 317-326.
· 서영숙, 황은숙(2004). 한부모가정과 이혼 이해교육. 경기도: 양서원.
· 송성자(2002). 가족과 가족치료. 서울: 법문사.
· 송혜영(2002). 형태적 결손가정, 기능적 결손가정 그리고 정상가정 자녀의 감성지능 비교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공주대학교 대학원.
· 신수정(2004). 노인의 여가실태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인하대학교 행정대학 원.
· 심아라(2005). 청소년의 여가제약이 학교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명지대 학교 대학원.
· 안동진(2003). 청소년들의 여가 활동 실태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용인대학교 교육대학 원.
· 오승환(2001). 저소득 결손가정 청소년의 적응 결정요인.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 오영재, 백경숙, 조선화(2004). 뉴밀리니엄시대의 청소년복지론. 서울: 대왕사.
· 유동균(2004). 서울 강북지역 대학생들의 여가활동 참여 실태 및 여가장애 조사.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 유순희(2004). 컴퓨터(인터넷)가 도시와 농촌지역 청소년 여가시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 위논문. 대전대학교 교육대학원.
· 유철호(2005). 노인복지회관의 여가프로그램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아주 대 공공정책대학원.
· 원형중, 이성철(1993). 수원지역 학생의 여가기능도 분석,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10, 112-122.
· 윤소영, 차경욱(2004). 여가인식, 활동유형 및 여가제약의 세대간 비교.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2(2), 97-107.
· 이경훈(2004). 도시지역 청소년들의 여가문화 활성화 방안 연구. 2003년도 한국스포츠사회학회 동 계워크숍 및 후기학술대회 자료집, 59-72.
· 이구상(2005). 정신장애인의 여가활용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 위논문. 숭실대학교 대학원.
· 이미라(2005). 결손가정 청소년의 사회지지체계가 진로 결정 과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질적 연 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대학원.
· 이상룡(2004). 청소년들의 여가활용 실태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서남대학교 교육대학 원.
· 이성훈(2004). 보호시설 청소년의 여가활동유형과 여가만족도.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
· 이세원(2004). 노인의 여가활동실태와 여가정책방향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 대학교 정책대학원.
· 이소임(2002). 결손가정 청소년의 멘토링 프로그램 초기 관계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미간행 석사 학위논문. 전북대학교 대학원.
· 이은숙(2004). 여가로서 그룹원예활동이 독거여성노인의 고독감과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미 간행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
· 이은희, 민현선(2004) 청소년의 여가활동 특성과 여가장애에 따른 여가만족도 차이. 대한가정학회지, 42(12), 231-251
· 이철원(2001). 여가의 재해석. 서울: 대한미디어.
· 이철원, 여인성(2001). 한국사회의 여가소비 형태에 관한 분석. 2001 Seoul International Sport Science Congress. Aug. 23-25. 2001.Korea.
· 이철원, 조상은(2001). 청소년의 여가만족과 제약에 관한 질적분석. 한국여가레크레이션학회지, 21, 179-194.
· 이철원, 이만형(2001). 5일제 수업제에 따른 청소년 여가활동 활성화 방안 연구. 체육연구논문집 2001. Vol.8.No.1.
· 이철원(2002). 현대 여가학. 서울: 대한미디어.
· 이철원(2004). 여가연구 이야기. 서울: 대한미디어.
· 이철원(2005). 월빙을 원한다면 여가를 경영하라. 서울: 이치.
· 전민정(2004). 도시 근교형 실버타운 옥외여가공간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대학원.
· 정창석(2003). 결손가정과 정상가정 학생간의 방과후 여가시간 활동 비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 조국남(2005). 청소년 여가활동의 실태 및 시설수요에 관한 조사연구. 시민교육연구, 37(1), 169-192.
· 조상은(2001). 중등청소년의 여가만족에 관한 질적 분석.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교육대 학원.
· 조아미(2004). 강남구 청소년의 여가활동에 있어서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여성가족생활연 구, 8, 207-225.
· 조은호(2003). 청소년의 여가 활동 실태에 관한 조사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국민대학교 교육 대학원.
· 주연선(2004). 장애인의 여가제약, 여가권태가 음주행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 학위논문.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 최석호(2004). 한국사회의 여가변동에 관한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
· 최성균, 고명석, 승금희(2005). 사회복지개론. 서울: 대왕사.
· 최성훈, 이연주(2005). 여가활동 유형과 여가만족 분석: 국가통계자료 이용. 한국체육학회지, 44(1), 567-575
· 최인근(2004). 노인의 여가선용과 여가시설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세종 대학교 행정대학원.
· 하도선(1999). 고등학생의 환경요인이 일탈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 한상철(1998). 청소년학 개론. 서울: 중앙적성출판사.
· Crawford, D. W., Godbey, G.(1987). Reconceptualizing barriers to family leisure. Leisure Science, 9, 119-127.
· Crawford, D. W.,Jackson, E. L., Godbey, G.(1991). A hierarchical model of leisure constraints. Leisure Science, 13, 309-320.
· Francken D., Van Raiji, M.(1981). Satisfaction with leisure time activities, journa of Leisure Reseach, 13, 337-252.
· Glaser, B. G.(1978). Theoretical sensitivity. Mill Valley, CA: Sociology Press.
· Jackson, E. L.(1993). Recognizing patterns of leisure constraints: Results from alternative analysis, Journal of Leisure Research, 25.
· Mason, J.(2004). 질적 연구방법론(3판)(김두섭 역). 서울: 나남.(원저: Qualitative Researching. 1996)
· Maykut, P., Morehouse, R.(1994). Beginning Qualitative Research. London : The Falmer Press.
· Padgett, D.(2001). 사회복지 질적 연구방법론(유태균 역). 서울: 나남.(원저: Qualitative Methods in Social Word Research: Challenges and Rewards. 1998)
· Patton, M. Q.(1990). Qualitative evaluation and research methods, NewburyPard, CA: Sage.
· Schreiber, R. S, Stern, P. N.(2003). 근거이론 연구방법론(신경림, 김미영 공역). 서울: 현문사.(원저: Using Grounded Theory in Nursing, 1999)
· Stebbins, R. A.(1992a). Amateur, professionals, and serious leisure. Montreal: McGill Queen`s University press.
· Stebbins, R. A.(1992b). Costs and rewards in babershop singing, Leisure Studies, 11, 123-133.
· Strauss, A., Corbin, J.(2000). 근거이론의 이해(신경림 역). 서울: 한울아카데미.
· (원저: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Grounded Theory Procedures Techniques, 1990)
· Strauss, A., Corbin, J.(2001). 근거이론의 단계(신경림 역). 서울: 현문사.
· (원저: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2nd ed.). 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