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태진, 『고종시대의 재조명』, (태학사, 2000).
· 왕현종,「민족적 관점에서의 한국 근대정치사 비판과 ‘고종’의 절대화」, (역사문제연구, 2001).
· 왕현종,「광무개혁」, (역사비평 겨울호 발표예정 논문).
· 김명구,「월남 이상재의 사회운동과 사상」, (연세대학교, 1997).
· 양상현,「제27회 동양학 학술회의록 (1997.10.18) : 강연회초 (공동주제 : 한국근세문화의 특성 ; 개항기 (1) - 한국근대사의 역사적 성격 - ) ; 동도서기론과 광무개혁의 성격」,
· (동양학, 1998).
· 최완기,「서평 : 이태진 저 , 《 조선유교사회사론 》」, (역사학보, 1989).
· 장영숙,「동도서기론의 연구동향과 과제」, (역사와 현실, 2003).
· 李垠松,「高宗의 開化 敎育政策 硏究-1880-1884-」, (한국교육사학, 1999).
· 주강현,「동아시아적 대응 : 동도서기와 중체서용, 화혼양재」, (한국민속문화연구소, 1999).
· 김현철,「박영효의 권력분립론과 입헌군주제 구상」, (한국법사학회, 2000).
· 노명신,「韓末 독립협회의 議會設立運動에 관한 硏究」, (全南大學校 大學院, 1982).
· 최덕수,「독립협회의 정체론 및 외교론 연구」, (민족문화연구13, 1978).
· 김민환,「조선말기 민족운동의 비운」, (정경문화, 1981).
· 김은주,「韓末 鄭喬의 정치활동과 정치개혁론」,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8).
· 정운봉,「甲午改革에 관한 硏究史的 考察」, (檀國大學校 敎育大學院, 1989).
· 朴仁和,「舊韓末 渡日官費 留學生에 관한 考察」, (綠友硏究論集, 1982).
· 楊尙弦 編,『한국근대청치사연구』崔德壽, 「독립협회의 政體論 및 外交論 연구 :
· -독립신문을 중심 으로-」, (사계절출판사, 1985).
· 李玟源, 「大韓帝國의 改革과 그 實態 : -政府와 獨立協會의 皇權認識과 關聯하여-」,
· (한국민족운동사연구, 1994).
· 왕현종,『한국 근대국가의 형성과 갑오개혁』, (역사비평사, 2002).
· 교수신문기획,『고종황제 역사청문회』, (푸른역사, 2005).
· 강만길,『한국근대사』, (창작과 비평사, 1994).
· 吳兢, 催虎 譯,『貞觀政要』, (홍신문화사, 2001).
· 임종국,『실록 친일파』, (돌베게, 1991).
· 한국일보, 2005. 9. 19.
· 국사편찬위원회,「獨立協會輪告」, 『大朝鮮獨立協會會報』, 1896年 11月 30日, 잡저.
· 웹사이트 이용.
· 한국언론인재단,「論說 -1면-」, 『獨立新聞』, 1898年 4月 30日, 웹사이트 이용.
· 大朝鮮人日本留學生親睦會 編纂,『親睦會會報』, 제2호, (明治29 , 1897),
· 서울대학교 전자도서관 이용.